식물도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소련 과학자들 실험 발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산야의 주인공인 식물은 자르거나 밟아도 전혀 느끼지 못하거나 아무 표현도 못하는 것일까?
최근 일단의 소련 과학자들은 식물 역시 동물과 같이 신경조직과 지각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하여 화제.
「푸쉬킨」박사는 식물 안에서 이루어지는 전기적 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뇌수X선사진술을 사용했다. 이 기술은 사람이 흥분했거나 정신적 긴장을 느낄 때 나타나는 피부 전기반응을 측정하는 것.
사람의 경우에는 전극 하나는 손바닥에 대고 손등에 나머지 하나 전극을 대어 측정하는데 식물은 손 대신에 잎의 양면에 전극을 대고 뇌수 X선사진기에 신호를 기입한다.
진화의 일반법칙에 의하면 식물 역시 동물과 비슷한 신호조직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생물학교수 「군나르」박사에 따르면 잎을 자를 경우50∼60「밀리볼트」 크기의 반응이 즉시 오는데 이 현상은 곧 식물이 신체 일부가 떨어져 나갔음을 알고있다는 증거라는 것.
식물은 잡아당김에 대해서 반응을 나타내며 음악을 들려주면 식물이 잘 자란다는 사실은 여러 사람이 발표한바 있다.
미국에서도 지난 수년래 30개 이상의 대학에서 식물이 감정을 가졌을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 오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큘리브·박스터」박사가 가장 힘을 기울여 노력중이다.
「잔디에 들어가지 말라」는 표지판은 단순히 잔디가 밟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게 아니고 잔디에 고통을 주지 말자는 인도주의적(?) 조치라는 사실이 밝혀질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