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 일하는 생산 근로자, 비만 위험 높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오랜 시간 일하는 생산직 근로자가 비만의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만과 근로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장태원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0년 자료를 이용해 25세~64세의 대상자 중 임산부, 시간제 근로자, 군인, 학생, 주부를 제외한 총 8889명을 선정하고 남성 5241명과 여성 3648명으로 나누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생산직과 사무직으로 구분했다. 생산직은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농림어업숙련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건설과 광산기술자)였고, 사무직은 관리자, 정부 공무원, 전문가, 사무종사자였다.

이후 근로시간과 비만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1주 근로시간을 40시간미만, 40-48시간, 49-60시간, 60시간 초과로 구분하고 비만(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남성 생산직의 경우 1주 40~48시간 일하는 근로자보다 1주 60시간을 초과한 근로자의 비만이 발생할 비차비(odds ratio, OR) 어떤 집단과 비교해 다른 집단의 확률이 얼마나 높은지 나타내는 수치로 비교위험도와 비슷한 개념이다. 즉 남성 생산직의 경우 1주 40~48시간 일하는 근로자보다, 1주 60시간을 초과한 근로자의 비만이 발생할 비차비가 1.647인데, 이는 비만해질 위험이 약1647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7년까지 한국의 근로자들은 OECD 국가 중 가장 오랜 시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랜 근로시간은 운동 부족, 불규칙한 식습관, 수면 부족 등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비만의 위험성이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처럼 한국사회에 문제가 되고 있는 비만으로 야기된 근로자들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계획했다.

장태원 교수는 “생산직 근로자가 장시간의 육체노동을 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의 혈중농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식욕이 증가하여 지방이 축적돼 비만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무직 근로자의 장시간 근로는 이상을 유발할 정도의 육체적 피로를 유발하지는 않고, 또한 여성의 경우 장시간 근로보다 신진대사, 월경, 출산, 폐경 등에 의한 호르몬 변화에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에 근로 시간과 비만의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경수 교수(가정의학과)는 “최근 우리국민의 비만 유병률은 30% 이상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체지방 및 복부지방이 많은 것이 특징으로 비만은 외모적인 문제뿐 아니라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관절염,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시키는 건강의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간헐적 단식과 같이 식사제한에 의존하는 단기간의 감량은 탈모, 피로, 생리불순, 지방간 등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평소 과식하지 않고 물을 많이 마시며 스트레스를 극복하려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는 것이 비만관리에 좋은 자세이며, 고도 비만 환자일 경우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직업환경의학분야 국제학술지 ‘직업건강저널(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013년 7월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증가하는 조기암, 형광물질로 잡는다’ [2014/01/21] 
·"의료계 어려움, 한의계 탓으로 돌리지 마라" [2014/01/21] 
·홍준표 도지사 재선 도전에 “진주의료원 재개원부터 하라!” [2014/01/21] 
·여성 10명 중 4명 "볼 때마다 ○○하고파" [2014/01/21] 
·인터넷서 건강기능식품 살 때 한글표시 확인해야 [2014/01/21]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