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주마간산 한 달간의 견문기 신상초<본사논설위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Thank you의 나라」흑백대립-
우리사회에서 아가씨들이 잘생겼다고 칭찬하면 「뭣이요」 「천만에」라고 대답하는 것이 보통이다. 「뭣이요」 「천만에」는 영어의 「I am sorry」에 해당한다. 그러나 미국의 아가씨들이 「당신 미인이요」라고 하면 예외 없이 대답은 「Thank you」이다.
이때 원래의 전통적 영어의 대답은 「I am sorry」라고 한다. 잘 생기지도 못했는데 잘생겼다고 추켜주니 미안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겸손과 수줍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내심의 기쁨을 감추기 위한 가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감사」가 생활의 기조>
미국 아가씨의 경우 「I am sorry」가 모두 「Thank you」로 변한 것은 그만큼 미국사회가 솔직하고 개방적이고 가식을 싫어하는 증거라 볼 수 있다.
현대미국어의 회화에 있어서 빈번히 사용되는 「Thank you」 「I am sorry」그리고 「Excuse me」는 모두 화해·친근의 의사표시이지만 각각 「뉘앙스」가 다르다. 그러나 이 3자의 밑바닥에는 공히 인생에 대한 감사의 느낌이 흐르고 있다.
미국사회 대인관계 「모럴」의 기조는 여기 있는 것으로 보아야한다.

<노예해방 형식적인 것>
미국에서의 짧은 여행도 반드시 「Thank you」의 연호에 부닥친다. 「택시」를 타도 「쇼핑」을 해도 여관에 들어도 모조리 「Thank you」이다. 이 「Thank you」의 연발이 설령 형식적인 것이고 입에 바른 표현이라 해도, 우리로서는 본받을 필요가 있다. 우리국민은 고맙다는 말을 좀처럼 해서는 쓰지 않는 탓으로 감사 감각이 둔화되고 마비상태에 빠졌다. 일정한 언어의 부사용 그 언어가 표현하고 있는 사물의 내용 그 자체를 망각케 하고 나중에는 숫제 우리는 비록 고맙다는 말이 사탕발림이라 하더라도 우선 이 말을 빈번히 사용함으로써 무딜 대로 무딘 감사의 관념을 빨리 되찾을 필요가 있다.
「Thank you」의 사회 미국에서 「Thank you」가 통하지 않는 가장 비정적인 장벽이 흑백대립의 문제. 백인의 Frontier 개척의 역사는 바로 원주민이었던 「인디언」과 싸워 이를 멸종시킨 과정이다. 백인과 맞서 끝까지 저항한 용감한 「인디언」족을 소탕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백인들은 노동력의 부족을 메우기 위해 「아프리카」로부터 흑인들을 노예로 데려다가 육체노동을 시켰다. 노예가 오늘날 미국에 살고있는 흑인의 선조이다.
주지하는바 남북전쟁은 흑인노예를 해방시켰다고 하지만 그것은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다.
흑인의정치적·종교적·사회적 해방을 위해서는 미국사회구조의 혁명적 수술이 필요했다. 이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어난 것이 1960년대의 「민권운동」이다. 흑인의 해방이나 지위향상운동은 그 어느 것을 막론하고 백인들의 완강한 저항에 부닥쳤다. 노예해방 운동의 기수였던 「링컨」이 암살 된지 꼭1백년만에 민권운동에 앞장선 「케네디」가 암살 당한 것은 매우 상징적인 것이다.

<원죄보속 받는 백인들>
오늘날 연방의 법률은 사회 생활의 모든 면에서 인종차별을 금지하고 흑백의 혼거 금지나 혼거 금지를 인정치 않는다. 그러나 이 법적인 조치는 다수백인 들의 혐오·반발·저항을 자아내고 있다. 삼대 도시에 흑인들이 집중하고 「워싱턴DC」가 마치 흑인 도시와 같은 인상을 주게된 소이는 그래도 대도시에 있어서는 흑인의 인권이 비교적 잘 보장되었기 때문이다.
흑인의 대도시 진출은 거기 살고있는 백인에게 좌절감이 아니라 공포감을 남겨주고 있다. 백인거주 지구에 흑인이 들어와 거점을 확보하기 시작하면 그 지구의 부동산가격은 폭락하고, 백인들은 재산을 포기하다시피 하면서 다른 지구로 이사한다.
지난날 흑인을 마음대로 내쫓을 수 있었던 백인들이 오늘에 와서는 흑인들에게 쫓기어 다니고 있는 것이다. 오늘의 백인들은 조상들이 저지른 원죄의 보속을 강요당하고있는 셈인데 그 대가는 대단히 비싸다.

<남부 몇 주를 흑인 주로>
미국제2의 대도시 「로스앤젤레스」에서는 몇 달 전 흑인시장이 선출되어 전국적으로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흑인 시민수가 3할 미달인데 어떻게 흑인이 시장으로 당선될 수 있었을까? 어떤 백인은 그 비밀이 유태인과 백인들이 흑인 선거운동을 뒷받침 해 주었기 때문이라고 나에게 속삭였다. 흑인이 대도시 시장으로 선출되었다하여 흑백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흑백통합이나 흑인지위 향상운동은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다. 남부 몇 주를 선정해 주로 흑인만이 사는 흑인 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아마도 항구적인 해결책이 되리라고 나는 판단했다. <계속>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