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태 순종심요법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24일 고려대 중앙 도서관이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 이라고 발표한 동교소장의「청량태순종심요법문」은 간기가 없고 단지 발문의 기사로 간행 연대를 추정했기 때문에 학자들 사이에 심각한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 같은 원간본 또는 고려간본의 논쟁은 앞으로 보다 다각도의 신중한 연구를 거쳐야 할 것 같다.관계자들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이병당 박사 (학술원 회장) =「중앙대부 숭복사별부화」엔 많은 문제점이 있다.원본이 원이라고 고려인본이 아니랄 수도 없다.실물의 엄격한 검토와 그 밖의 연구가 있어야겠다.
▲김상기 박사=발문에 의한 연대추정은 간기가 없으면 신중해야 한다.「별부화」의 관직은 원사의 기록대로 원의 것이 틀림없다.보다 면밀한 고충이 필요하다.
▲김두종 박사=이책의 발문한강은 분명한 고호 금속활자 인쇄다.종이의 지질은 물론 활자의 글자체도 고려 말의 특징을 가진 것이다. 단지 간년은 충렬옥때가 아니고 원에서 책을 가져와 새로 찍은 것이므로 그 뒤다. 계선이 없다고 고여주자본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이가 있으나 계선 없는 고려 복각본은 많으며 불교 관계책에선 계선을 안 쓰는 게 장례다.
▲손보당 박사=고려금속 활자본에 틀림 없다.일부에서「고려간본 아닌듯」하다고 한 것은 잘못이다.이 책의 목 활자로 된 본문이나 금속활자로 된 발문이 모두 같은 종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