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소비가 억제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올해 원당 수입 한도 규제 방식을 금액 기준에서 수량 기준으로 변경키로 한 상공부 당국의 조치는 원당 수입 한도를 약간 확대시켜 줄 것이지만 여러 가지 설탕 소비 억제 시책이 동원됨으로써 앞으로 국민의 설탕 소비 「패턴」에는 많은 변화가 생길 것 같다.
금명간 구체적인 요령이 발표되겠으나 관계 당국의 방침에 의하면 올해 원당 수입 한도는 지난해 소비 실적 23만3천t보다 1만t이 적은 22만3천t으로 책정될 전망인데 이것은 당초 금액 기준으로 작년과 같은 규모로 책정했던 때 보다 8만t 가량 많아지는 것이며 국제시세 앙등으로 외화 지출 면에서는 약1천6백만 불이 더 든다.
그러나 상공부의 이 같은 조치는 당초 수입 억제 시책에 너무 집착했던 나머지 국제 원당 시세의 엄청난 상승을 무시하고 수입 한도를 지나치게 낮춰 잡았던 잘못을 일부 시정한 것일 뿐 원칙적으로 설탕 소비를 억제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수입 억제의 실효도 거두려는 방침에는 변동이 없다. 약간의 수입 한도 확대 조치와 동시에 강력한 소비 억제책을 쓰기로 한 것이 바로 그 증거다.
현재 국내 설탕 소비 구조는 공업용 60%, 가정용 32%, 그리고 다방 8%의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정부는 앞으로 공업용 실수요자에게 일정량의 포도당 사용을 의무화 할 방침이다.
그 결과 각종 과자류와 청량음료의 당도가 낮아질 것이다. 다음에는 원칙적으로 다방에서는 봉지 설탕이나 각 설탕만 쓰되 봉지 설탕 무게를 12g에서 10g으로 줄이고 일반 가정용은 최대 6kg짜리만 제조 공급할 계획으로 있어 최근의 설탕값 인상 조치와 함께 앞으로 설탕 소비는 2중 3중의 제약을 받게 될 전망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