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박근혜 인사, 탕평정신은 어디 갔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 사건’이 10개월 이상 지속되면서 나라가 반쪽으로 쪼개지기라도 했는지 사생결단식 정쟁이 거듭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내놓은 인사 카드는 한 장 한 장 살펴보면 합리적 선택을 한 것 같은데 전체 그림에선 심각한 지역편중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편중 인사는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한다. 분열된 정치를 치유하기도 어렵다.

 박 대통령은 검찰총장 후보에 경남 사천 출신인 김진태씨, 감사원장 후보에 마산 출신인 황찬현씨를 지명함으로써 사정라인 두 곳의 빈자리를 모두 이른바 PK(부산·경남) 사람으로 채웠다. 전문성과 국정철학을 고려해 사람을 선택하다 보면 사흘 만에 이뤄진 연속 인사라도 우연히 같은 지역 출신이 나올 수는 있을 것이다. 그렇다 해도 박 대통령이 집권 초부터 되풀이한 이 같은 인사가 누적되면서 이 정부에서 ‘탕평의 정신’이 실종됐다는 비판만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지난 정부 때 임명된 양승태 대법원장을 포함해 정홍원 국무총리·박한철 헌법재판소장 등 5개 헌법기관 중 3부 요인이 PK 출신인 데다 청와대의 김기춘 비서실장, 홍경식 민정수석 등 권력운용의 핵심 요직이 모두 PK 동향 인사들로 짜여 있다. 청와대는 “지역·학연을 고려하지 않고 적임자를 찾다 보니 생긴 결과”라고 해명하고 있는데, 한두 번도 아니고 그 적임자들은 왜 늘 PK에 몰려 있는가.

 탕평은 분열이 깊은 곳에서 통치자의 불가피한 선택이다. 정치가 특정 세력들의 정파적 이익 때문에 공동의 국익을 추구하는 게 불가능해졌을 때 통치자가 취하는 ‘인사의 예술’이 탕평책이다. 대선 후보 시절 박 대통령이 “저는 모든 공직에서 대탕평 인사를 하겠다. 박근혜정부는 어느 한 지역이 아니라 모든 지역에 100% 대한민국 정권이 될 것이다”(2012년 10월 23일)라고 말했다.

 그런 박 대통령이 집권 뒤 인사에선 전문성과 국정철학만 중시했지 탕평의 정신은 별로 의식하지 않았다. 거기다 청와대 2기 체제로 김기춘 비서실장이 등장하면서 탕평의 가치는 자취마저 감추었다. 박 대통령이 초심을 되찾고 인사위원장이기도 한 김 실장에게 탕평의 가치를 각별히 주문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