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신문 주간에 살펴본 주변 이야기|황성 신문 3대 보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가장 오랜 민간 신문의 하나인 황성 신문을 창간호부터 3대에 걸쳐 70여년간 간직해온 김광훈씨 (59·서울 서대문구 남가좌동 269의 1)는 신문을 소중히 여기는 사람이다.
『흔하면 천대받는 다지만 묵은 신문이 저울에 달려 휴지로 팔리는 골목 안 풍경을 보면 서글픈 생각이 든다』는 김씨는 『신문을 소중히 간직하는 사람이 많을 때 신문은 곡 필을 쓸 수 없지 않겠는가』고 반문했다.
김씨가 3대째 보관해온 황성 신문은 창간호 (1898년·광무 2년9월5일자)부터 1900년12월까지 단 한 부도 빠뜨리지 않은 희귀본-. 김씨의 할아버지인 김홍두씨 (당시 관찰 부주사) 가 서울 수구문 밖 (현 광희문)에 살 때 이 신문을 구독, 소중히 모아뒀던 것이다.
나라가 일본 침략으로 어지럽자 김 옹은 고향인 경기도 파주군 교하면 교하리 「함박골」에 신문 뭉치를 들고 낙향, 촌로들을 사랑방에 모아놓고 신문을 읽어주며 나라 안팎 정세를 일러주는 것으로 소일했다.
가로 23cm 세로 31cm에 4호 활자로 찍힌 이 신문은 당시 독립 신문 등 개화기의 신문들이 한글 전용이고 혁신적인데 반해 국한문을 섞은 보수적 취향을 지녔다. 『그러나 남궁억씨가 사장 겸 주필이요 장지연씨 등이 참여한 이 신문은 한반도에서의 일노 각축을 소상히 파헤치고 당시의 부정부패를 매섭게 비판한 민의 상달의 공기였다』고 말했다.
김씨가 9살 때 조부 김 옹은 세상을 뜨면서 『이 신문은 개회기의 산 기록이니 영구 보관하여 후세의 신문 학도에게 물려 주라』는 유언을 남기고 세상을 달리했다. 『할아버지·아버지 그리고 나는 이 신문철을 금쪽 보다 더 귀하게 여기게 됐지요. 한번 읽은 뒤엔 꼭 다림질했고 봉밀을 씌운 두터운 창호지로 책갈피를 만들어 9권으로 된 신문을 사랑방 문갑 속에 소장하게 됐다』고 김씨는 말했다. 일제 말 우리 문화를 한창 말살하던 무렵엔 왜경에 뺏길까봐 천장 속에 보관하기도 했는데 황성 신문제호에 쌍 태극기가 그려져 있었기 때문에 더욱 그러했단다.
남의 손에 넘어갈까 두려워 국사 편찬 위원회에 나가는 장남 창기씨 (35)의 친구에게도 이 신문을 빌려주지 않아 구두쇠 노인이란 말을 듣기도 했다. 그러나 단 한번의 실수로 한 권을 잃었다는 것이다.
6·25때 실종된 박노웅이란 사람에게 빌려준 제9권을 아직도 돌려 받지 못했다. 『신문을 보관해 오는 반세기가 넘는 동안 6남매를 아무탈없이 길렀는데 그 책 한 권 잃은 것이 자식하나를 잃은 것처럼 허전하다』는 김씨는 이번 제15회 신문 주간을 맞아 제9권을 꼭 찾게 해 달라고 호소했다.
잃은 곳은 서울 북아현동 217의 2 북성 국민학교 아랫동네였다는데 김씨는 남은 8권을 개인이 보관하자니 아무래도 미덥지가 못해 작년 10월 중앙일보사에 기증, 현재 본사 도서실에 보관돼 있다. <최규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