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규선 '밀항 권유설' 밝혀질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검찰은 최성규씨의 신병이 인도되는 대로 즉각 수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崔씨는 청와대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홍걸씨와 함께 각종 비리를 저지른 최규선씨를 해외로 밀항하도록 권유했다는 소위 '밀항 권유설'을 밝혀줄 핵심 인물로 지목돼 왔다.

그의 미국 도피를 도운 배후세력이 있었는 지도 풀려야 할 대목이다.

◇청와대 밀항 권유 사실일까 = 최규선씨는 지난해 4월 19일 법원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서 "최성규씨가 찾아와 '청와대 대책회의 후 이만영 정무비서관이 출국금지가 돼 있으면 밀항이라도 하라고 했다.

부산에 준비해 놓았다'는 말을 전하며 밀항을 권유했다"고 진술했다. 이 진술은 곧바로 파문을 일으켰지만 검찰에 소환된 李비서관이 조사과정에서 "대책회의를 열지 않았고 밀항을 권유한 사실이 없다"고 강력히 부인했다.

밀항 권유 당사자라는 최성규씨는 그 직전 출국해 달아나버린 상태여서 문제의 발언은 결국 진위를 가려내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다. 검찰 관계자는 "崔씨가 송환되면 청와대 관계자들이 실제 대책회의를 열어 최규선씨를 밀항시키려 했는지 여부 등을 추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피 배후세력 있었나=崔씨의 석연치 않은 도피 행적도 수사 대상이다. 崔씨는 자신과 최규선씨가 강남 ○호텔에서 만난 사실이 보도된 직후인 지난해 4월 14일 돌연 출국해 같은 달 20일 미국에 입국했다. 崔씨는 도피 직전 청와대 관계자들과 접촉을 시도했으며 경찰 수뇌부와 전화를 한 사실도 확인됐다.

崔씨는 도피 중이던 지난해 11월에는 퇴직금 9천8백만원을 받은 사실까지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崔씨를 도운 배후세력이 있는지 여부도 검찰이 밝혀야 할 부분이다.

◇개인 비리=崔씨는 또 서울 강남의 C병원에 대한 경찰 수사 무마의 대가로 이 병원 대표에게서 현금 1억원과 C병원 자회사 주식 4만주(약 2천만원 상당)를 건네받은 혐의가 있다.

이 밖에도 최규선씨의 부탁을 받고 S건설 유모 이사를 청부 수사했다는 의혹과, 대형 의류상가 대표 유모씨와의 수천만원대 금전거래 의혹 등 다른 개인 비리에 대해서도 수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언제쯤 송환될까=崔씨의 송환 시기는 崔씨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달려 있다. 만일 崔씨가 이석희 전 국세청 차장처럼 송환을 거부하고 신병인도재판을 청구한다면 송환은 1년 이상 지체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崔씨가 신병인도재판을 포기하면 미국 법원의 확인절차를 거쳐 수개월 안에 송환이 이뤄질 것으로 법무부는 예상하고 있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