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차 뒤 나팔」 연장 반대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재경위의 국장감사기간 연장은 『감사기간을 연장하지 않는다』는 공화당 방침 때문에 22일 열린 공화당 당무회의에서 논란됐다.
감사기간 연장은 「위원회의 요청이 있을 때 하기로」 지난 21일 양당 총무간에 막연히 합의를 해놓았던 것인데 신민당의 재경위원들이 『불충분한 감사를 이대로 끝낼 수 없다』면서 연장을 주장했고, 이를 공화당 쪽이 받아들여 26, 27일 이틀간 연장키로 결정했던 것.
그러나 20일의 당무회의에서 일부 당무위원들은 『왜 재경위가 당 간부와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야당에 양보하느냐』고 추궁했으며 김진만 총무도 재경위소속 공화당 간사들에게 따졌으나 이미 연장이 결정된 일이기 때문에 결국 연장 반대론은 「행차 뒤 나팔」이 되었다.
○····선거관계법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인 선거인명부 이관 문제에서 공화당은 내무부를, 신민당은 중앙선관위를 업고 있는 인상이다.
22일 여·야 중진회담에서 야당은 연간 5억 5천 50만원만 더 있으면 선관위 이관이 가능하다는 선관위의 견해를 제시한 반면 공화당은 연간 22억 2천만원이 든다는 내무부의 계산을 가지고 이관 불가를 주장했다.
선관위의 계산은 평소 도시 개표구 5명, 지방 개표구 3명씩의 간사와 상근선관위원 2명씩 도합 1천 2백 10명을 더 늘리고 매년 기본 명부작성 시에 한달씩 2천 5백명의 임시직원을 두는 비용 4억 2천 5백 50만원과 사무비등으로 1억 2천 5백만원을 합해 5억 5천 50만원이 더 든다는 것.
그러나 내무부 계산에 의하면 전국 2천 2백 98개 읍·면 당 2명씩 배치비용 11억 4백만원, 개포구 당 6명씩 증원비용 6억 6천만원, 기타 3억 6천만원을 합하면 22억 2천만원에 이른다.
○····전국 1백 46개 지역구중 55개 지구당의 조직책 선정을 끝낸 국민당은 22일 부산진 을구(최상진)에서 첫 지구당을 결당.
신민당의 정해영 원내총무 구역인 부산진 을구 당을 첫 창당지구로 잡고 윤보선 준비위원장, 이정래 조직위원장, 신태악 운영위원 등 고위간부들이 참석한데 대해 어느 간부는 『국민당이 신민당과 대결할 결의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설명.
결당대회를 마친 뒤 윤씨는 기자들과 만나 자신은 대통령후보로 나서지 않겠다는 점과 다음선거에서 신민당과 제휴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했다.
국민당은 서울을 포함한 일부 도시지역의 조직책 선정을 미루고 있는데 이는 재야세력의 포섭을 위해서라는 것.
그래서 어떤 사람은 『사방에서 재야세력을 포섭하겠다니, 우리 정계엔 재야세력이 그렇게도 많은가』고 빈정대지만 신민당이나 국민당이 말하는 재야세력은 반드시 당적 없이 야에 있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게 아닌 듯.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