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공서 등 전화료 14억 체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체신부가 일반 전화 가입자에게는 사용료가 하루만 넘어도 통화 중지를 하면서 관공서나 국영기업체의 전화 사용료는 10여억원이나 체납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체신부의 연간 전화 사용료 1백66억원 (자동식=80억원 자석식=40억원 공전식=46억원)의 약 7%에 해당하며 전체 체납료 14억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대부분 여러 햇 동안 이월 체납된 것으로 이 때문에 체신부는 세수에 차질을 우려, 관공서나 국영 업체의 체납 통신료 징수를 강화하기로 했다.
27일 체신부에서 밝혀진 체납 내용은 내무부가 가장 많아 6억2천8백만원이며 국방부 7천8백만원, 문공부 6천4백만원 등 순이다.
체신부는 관공서나 국영 업체의 통신료 체납 요인이 예산 편성 때 통신료가 전기료·수도료 등과 같은 항목으로 책정되어 각 관서가 전기·수도료를 먼저 내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앞으로 통신료를 별도의 예산 항목으로 짤 것을 관계부처와 협의중이다.
기관별 체납 통신료는 다음과 같다.
▲내무부=6억2천8백만원 ▲국방부=7천8백만원 ▲문공부=6천4백만원 ▲법무부=1천만원 ▲서울시=1천만원 ▲농림부=9백만원 ▲건설부=8백만원 ▲교통부=6백만원 ▲재무부=8백만원 ▲국세청=5백만원 ▲육군본부=8백만원 ▲국영업체=4억5천만원 ▲기타부처=5백만원 이하 짜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