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4일부터 시내 8개 백화점과 1백 29개 시장 및 상가에 일제히 실시한 정찰제가 실시 첫날부터 상인들의 비 협조와 서울시의 시책 빈약으로 차질을 보이고 있다.
4일부터 이틀간 서울시가 1백 37개 시장·백화점·상가 등에 정찰제 실시 현황을 일제히 조사한 바에 의하면 상봉 시장과 청량리시장·동대문 광장시장·금남 시장·문화 시장 등은 정찰 표시도 붙이지 않고 여전히 에누리와 바가지 씌우기 등의 무질서한 상행위를 하고 있으며 용문 시장과 대왕「코너」등은 정찰표 만들어 두었을 뿐이고 후암 시장과 청파 시장·한남동 현대시장 등은 일부의 상품만 정찰표를 붙여 두었다는 것이다.
또 용산 시장은 정찰가격을 상품에 붙이는 대신에 흑판에 정찰가격을 명시했을 뿐이고 이밖의 백화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장은 정찰 가격표를 상품에 붙이지 않거나 일부 상품에만 붙인 상태라는 것이 이날 조사에서 나타났다.
또한 정찰 가격을 이행하지 않는 상인에 대해서는 소비자에게 1만원 이하를 보상토록 한다는 내용을 시장 주변에 고시토록 되어 있는데도 대부분의 시장은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