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신원확인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국립과학수사연구소(국과수)가 19일 대구 지하철 화재 현장의 시신 신원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김해 중국민항기 추락사고에서 시신 전원의 신원을 밝혀냈던 '집단사망자 관리단'이 다시 가동을 시작한 것.

이원태(李垣兌.50)법의학부장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모든 시신의 신원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신원 확인은 시신의 상태에 따라 전통적 기법에서 첨단 과학기법까지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지문 채취가 불가능한 경우 희생자들의 옷가지나 소지품, 신체적 특징이 1차 판단 기준이다. 우선 부검과 치아검사 등으로 나이.성별.수술여부를 알아내고, 넓적다리 뼈나 팔.다리의 장골 크기로 대략적인 키를 가늠한다.

이번 사건에는 시신 대부분이 심하게 훼손된 상태여서 유전자(DNA) 검사기법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유골에서 채취한 DNA의 특정부분을 증폭시켜 실종자 가족들의 것과 비교하는 방식이다.

시신에서 얻어진 모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실종자 가족들의 진술 등과 일일이 맞춰보는 것이다. 두개골 사진을 컴퓨터에 입력한 뒤 생전 사진과 비교해 두개골의 주인을 찾아내는 '수퍼 임포즈' 기법도 동원된다.

그러나 정밀 유전자 감식은 최소 한달이 걸리는 데다 희생자 수가 많아 최종 확인이 마무리되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李부장은 "가능한 한 빨리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선 실종자 가족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족들이 실종자의 병력.치과진료 기록.방사선 사진 등 생전자료를을 제시하거나 사망 당시 옷 등을 정확히 알려주면 작업이 쉬워진다는 설명이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