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만표의 향대|67년 선거때와 어떻게 달라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개헌안은 표의 심판만을 기다린다. 한달 동안 열띤 찬반 운동을 펴온 여야는 각각 승리를 장담하고 있다. 투표율은 지난 67년 대통령 선거때의 83.6%보다는 낮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민투표유권자는 일천오백사만 투표율이 70%인 경우는 530만표가 통과선이며, 75%인 경우엔 570만 , 80%이면 600표가 통과선이 된다.

<부동표 흡수 노력>
표의 지역편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삼아 운동을 전개해온 공화당은 67년 선거때의 영남과 영동의 앞승을 유지하고 호남에서 표차를 줄여 형평세를 기대한다.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는 25~30%표가 확보된 것으로 보고 약 30%의 부동표를 얼마만큼 흡수하느냐에 따라 표차가 가늠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편 신민당은 지난 대통령선거때의 표만 확보하면 찬표가 50%미만이 되어 개헌안이 부결될 것으로 전망하고 도시의 야당성향증대와 농촌의 현상유지를 기대하고 있다.
조직보다는 선전에 힘을 기울인 야당은 대도시에서 70%의 앞승을 중부 및 호남에서는 67년 선거의 우세를 유지할 것을 기대하며 영남과 강원 지방에서 67년때의 열세를 다소 만회할 수 있다고 본다.

<여야 상반된 분석>
여야의 이같은 상반된 주장은 도시표와 호남표의 향배에 따라 결국 판가름 날 것 같다. 63년의 대통령 선거때보다 67년 선거에 있어 도시의 야당성향이 줄어들어 여야 후보의 득표차가 15만표에서 110만표로 벌어진 점을 고려하면, 이번 국민투표의 결과는 도시표의 성향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 같다.
각 개표구별 국민 투표유권자 수와 67년 대통령선거떄의 여야 득표율을 투표자 수비로 대조해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