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 중기 저금리 대출, 온라인 장터서 골라 쓰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신용보증기금에서 ‘2013년도 제2차 희망창업아카데미’를 개최했다.

신용보증기금(안택수 이사장·사진)이 2013년 한국서비스대상 금융서비스 부문에서 공공기관으로는 최초로 종합대상을 차지했다.

1976년 신용보증기금법에 의해 설립된 신용보증기금은 1998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위기 시마다 최일선에서 국가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해왔으며, 신용보증 및 신용보험, 경영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기업의 자금융통을 지원하고, 연쇄도산을 방지하는 등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묵묵히 노력해오고 있다.

안택수 이사장

신용보증기금은 중소기업을 둘러싼 대내외 경제상황과 사회적 요구, 현장에서의 기업 간 결제방식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그때마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보증정책을 수립하고 보증 신상품을 개발해 중소기업 지원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고 있다. 또한 청년창업 기업이나 일자리 창출기업, 미래 성장동력 산업 영위 기업에 대한 보증지원을 강화하고, 사회적 기업이나 여성기업 등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증을 확대 운영함으로써 정부의 경제정책에 부응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에 맞추어 신용카드 기능을 갖춘 기업행복카드보증이나 매출채권 보험과 신용보증기능을 연계해 고객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받은 일석e조보험 등의 신상품을 시장에 내놓기도 했다.

또한 신용보증기금은 여타 보증기관과는 달리 기존의 틀을 탈피해 고객의 입장을 생각하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도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기존의 금리결정 방식을 탈피해 중소기업이 낮은 대출금리를 제시한 은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대출장터나 예상 대출금리를 제공해 중소기업의 금리협상력을 높여주는 금리캐스터서비스 등은 이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신용보증기금은 지난 37년간 축적되어 온 신용평가 노하우와 고객을 생각하는 노력에서 나온 최고의 작품으로 “기업가치평가제도”를 꼽는다. 과거 재무실적을 기초로 기업의 신용을 평가하던 기존의 방식을 탈피해 기업의 미래 성장가치를 과학적으로 추정해 실제 보증의사결정에 적용하는 기업가치평가제도를 운영하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강화하되 부실률은 낮아지는 성과를 보여 관련 기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정구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