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선천기형', 주기적 산전 검사로 예방해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선천기형이 급증하고 있다. 주기적 산전검사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관심이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최근 7년간(2005~2011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0세’의 ‘선천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에 따른 진료인원은 2005년 1만3786명에서 2011년 3만2601명으로 늘었다. 7년간 연평균 13.2%씩 늘었다.

남아는 2005년 7557명에서 2011년 1만 8451명으로 연평균 16% 증가했고, 여아는 2005년 6229명에서 2011년 1만4150명으로 연평균 14.7% 늘어났다.

‘0세 선천기형’ 의 세부상병별로 진료환자 비중을 살펴본 결과, 2005년에는 순환기계(34%), 근골격계통(19.6%), 눈, 귀, 얼굴 및 목(14.2%)의 선천기형 순(順)으로 진료환자가 많았다. 그러나 2011년에는 소화계통(30.8%), 순환계통(23.5%), 근골격계통(16.6%) 순(順)으로 진료환자가 많았다.

이와 같이 ‘선천기형’ 질환의 의료이용 증가 이유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남에 따라 산모의 출산 연령이 높아져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함께 당뇨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들 수 있다.

분만여성의 연령별 현황의 경우 2005년 대비 2011년 분만여성은 30대 36.3%, 40대 104.2%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30대 미만은 22.4% 감소했다.

산모들의 당 조절과 관련된 임신 중 당뇨병 진료현황의 경우 진료환자는 2007년 1만7188명에서 2011년 4만4350명으로 늘었다. 2011년 분만여성 100명당 임신 중 당뇨병 진료환자는 10.5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2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선천기형’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산전검사 및 임신, 출산 등의 비용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윤신원 교수는 "기형을 발생시키는 물질에는 여러 가지 약물과 화학물들이 있으며, 방사선, 바이러스, 물리적 요인들이 포함된다"며 "기형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는 임신 초기(태아 12주까지)다. 가장 흔한 기형발생 물질은 알코올로 임신 중 알코올 섭취는 선천성 심장질환, 소뇌증, 손발가락 기형과 안면기형과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흡연도 태아의 신경발달 기형과 심장기형을 가져온다.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소뇌증, 심장 등 내장기형에 영향을 미친다. 또 선천성 바이러스 감염(매독, 헤르페스, 풍진등)도 소두증등의 신경계 기형과 눈기형을 일으키며 중금속과 항경련제, 항암제등의 일부 약물 등은 기형유발 약물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 산모가 당뇨 등의 신진대사의 장애가 있을 때에도 선천성 심장기형과 신경계 기형이 높다.

선천기형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잘 알려져 있는 기형 유발 물질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코올 섭취와 흡연을 금한다. 약물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임신 중 투여해도 안전한 약물로 처방 받는다. 방사선 검사 전에는 임신 가능성을 확인해 본다. 임신 중 안정성이 연구되어있지 않은 약제는 먹지 않는다. 천연성분 약제도 중금속 오염과 정제되지 않은 다양한 성분이 태아 독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복용하지 않는다. 임신 중 당뇨는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는다. 임신 전에 풍진 예방접종을 한다.

기형의 위험이 증가 되어 있는 경우 즉 산모가 고령이거나 가족 중에 선천기형의 병력이 있는 경우에는 산전 진단이 필요하다.

임신시 증상은 대부분 없지만 기형이 양수량이나 혹은 태아의 크기와 연관이 있을 경우 산모의 배가 더 불러 오거나 진통이 생길 수 있다.

[인기기사]

·셀트리온 매각 속도…유럽계 제약사로 넘어가나 [2013/05/27] 
·‘사모님의 이상한 외출’ 도운 S대학병원 의사에 네티즌 ‘공분’ [2013/05/26] 
·[포커스] 법원에 간 의사들 “동영상 강의 한 번 했다 날벼락” [2013/05/26] 
·동아제약 공판 내부고발자 증인 출석 [2013/05/27] 
·유럽서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 확대 [2013/05/27]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