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팬택에 530억 투자 … 지분 10% 3대 주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자금난을 겪고 있는 팬택이 삼성전자로부터 53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팬택은 22일 이사회를 열고 삼성전자로부터 팬택의 발행주식 10%(530억원)에 해당하는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퀄컴(11.96%), 산업은행(11.81%)에 이어 팬택의 3대 주주가 됐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퀄컴처럼 팬택의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을 방침이다. 팬택 관계자는 “삼성의 투자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비용과 연구·개발에 주로 쓰일 것”이라며 “삼성이 팬택의 제품력과 기술력을 인정한 만큼 향후 채권단들로부터 추가 투자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팬택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삼성전자로부터 지분 투자를 받은 것을 이례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팬택은 과거 퀄컴으로부터 투자유치를 받은 적은 있지만 퀄컴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주로 만드는 회사로 경쟁관계에 있지 않다.

 이번 투자 유치는 박병엽(51) 부회장이 직접 나서 성사됐다. 박 부회장은 삼성전자 측에 팬택이 삼성전자로부터 매년 2000억원 이상의 스마트폰용 부품을 구매하는 ‘국내 최대 고객사’라는 점을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팬택은 삼성전자로부터 2011년 2067억원, 지난해에는 1822억원어치의 부품을 구매했다. 삼성전기·삼성SDI 등 삼성 계열사까지 포함하면 2011년에는 2532억원, 2012년에는 2353억원어치를 구매했다. 박 부회장은 “삼성이 팬택을 정보통신기술(ICT) 진흥을 위한 상생과 공존의 대상으로 판단한 것 같다”며 “엔저 등 경영 환경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가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책임 있는 결단을 한 것으로 본다” 말했다.

 삼성전자 측도 팬택과의 상생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이번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관계자는 “팬택이 흔들리면 팬택과 거래하는 국내 부품업계도 흔들린다”며 “주요 고객을 보호하기 위한 투자”라고 설명했다.

 앞서 박 부회장은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지난해 적자를 타개하기 위해 목숨 걸고 투자를 유치하겠다. 1000억~2000억원의 투자금을 끌어오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그는 “팬택이 22년간 어떻게 성장해 왔고 어떤 자세로 일해 왔는지를 알리고, 당신들이 투자한다면 이런 가치를 만들 수 있다는 설득을 통해 자금을 유치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지난해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갤럭시 시리즈의 잇따른 히트에 힘입어 시장점유율을 70% 가까이 차지했다. 이 때문에 팬택은 776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5년 만에 적자경영으로 돌아섰다. 특히 올 들어 200억원을 들여 개발해 내놓은 신제품 ‘베가 아이언’마저 통신시장 보조금 금지 등 여파로 판매가 저조하면서 자금 흐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박태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