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부족보다 성실성의 부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 여름 전력부족으로 단전이 부득이하게 되었을 때 60년내의 대한발이 그 원인이라는 당국의 설명에 별다른 반발 없이 수요자들은 협력하였다. 전기요금을 15% 올리면서 지난11월1일부터 다시 금액전과 단전이라는「서비스」악화의 모순을 드러낸데 대하여도 당국자가 거듭 약속하는 내년 봄부터의 전력사정 해결까지 참고 견딜 각오만을 굳혀 왔다.
이것은 국내 전력 수요자증가율이 년33·5%에 달했기 때문이라는 경이적인 이나라 경제의 고도설장설에 국민이 덮어놓고 박수갈채를 보냈기 때문인 것은 아니다. 또 그것은 그 원인이「토마스」조사단의 전력 수요저평가에 있었다는 전력 당국의 발뺌에 동의하였기 때문도 아니다. 전력회사를 비롯하여 상공부 기획원 등 수만명에 달하는 관계자들이 도대체 월급 받아 먹고 않아서 무엇하고 있었기에 이 모양 이 꼴로 만들어 놓았느냐 하는 분노를 느끼지 않았기 때문도 아니다.
이쯤 되었는데 탓하면 무엇이냐. 다행히 전력부족량은 9만Kw 내지 11Kw로서 수요자의 단전운동과 자가발전 시설의 동원 등 긴급 조처로 산업시설에 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겨울을 넘기면 해결된다는 당국자의 다짐을 억지로라도 믿어보려는 심사에서 였을 것이다. 그리고 이번의 쓰라린 경험을 통하여 다시는 이와 같은 무책임한 과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배전의 노력이 있을 것을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후의 처사로 보아서 개선된 점이 보이지 않고 이 사태가 더욱 악화되어 가고만 있는 것은 과오라기 보다는 일종의 횡포에 가까운 태만과 무책임이라고 생각할 때 국민은 분격과 절망을 금할 수 없는 것이다.
일전에는 보고 예고 없는 단전으로 제철소의 기계가 파괴되는가 하면 용광료가 얼어붙어 막대한 손해를 보았다고도 한다. 이것은 중요 국책 사업체에 대하여 단전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므로 발표와 같이 약간의 절전이나 자가발전의 동원으로 끝날 정도를 지나 전력부족은 훨씬 더 심각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로 이와 같은 피해를 입은 예는 정도에 차이는 있을언정 허다할 것으로 보이는데 관계 최고 책임자로부터 말단 직원에 이르기까지 사태가 이에 이른데 대하여 조금도 송구스럽게 생각하거나 부족한 가운데 불편을 최소한도로 국한시켜 보려는 성의가 전혀 없는 것을 보여준다.
설상가상 격으로 오늘부터는 가일층의 단전이 실시될 것을 광고하면서, 이는 지난 여름부터 계속된 가뭄으로 유하량이 대폭 감소되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지난 여름에 비롯된 원인의 결과를 오늘에야 발견하였다는 말인지 기가 막힐 일이다. 이에 이르고 보니, 어느 저도의 악화로 그칠 것인지, 당국의 발표를 믿고 예측할 도리가 없다. 내년 봄의 해결의 진부도 판단할수 없다. 산업활동 전체가 입는 타격이 얼마가 될 것인지 헤아릴 수 없다. 이에 편승한 관계자의 횡포가 또한 어느 정도에 도달할것인지 두렵다.
「디젤」기관차를 발전에 동원한다는 「쇼」와 같은 기발한 착상보다는 당국자의 성실성을 국민은 갈망한다. 최악의 사태에서도 뚜렷한 전망이 개개의 사업가로 하여금 각자 손실을 최소한으로 축소할 방법을 강구할 수 있게 하개 때문이다. 그들의 과오 때문에 불신·불안·초조로 심적·물질손실이 확대되지 않기를 우리는 절망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