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대안 모색 ··· 국정 어젠다 조율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박진근 이사장은 "창조경제에 기반한 융복합형 신산업을 발굴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의 정책은 국가의 미래를 결정짓는다. 그래서 국가의 정책은 현실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수많은 기관과 연구소에서 진행되는 모든 정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국내에서는 이 역할을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맡고 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범부처적이며 학제적인 국정 어젠다에 대한 종합연구를 수행하는 국가정책연구의 허브기관이다. KDI·KIEP 등 국내 23개 연구기관의 큰형인 셈이다. 박진근 이사장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국무총리 산하 기관으로 국가의 연구사업 정책을 지원하는 다각적인 연구 기획을 통해 사회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소관연구기관, 주요 학회, 외국 유수 싱크탱크 등과 융합형 정책연구를 기획하고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지난 1년 동안 한국 자본주의 생태계의 새로운 모색을 위한 공생발전 50대 과제를 제안했다. 특히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것을 직시한 후 다양한 연구 활동을 펼쳐 사회 전반에 인식 전환의 기회를 제공해 왔다.

한국의 잠재성장력 종합연구를 통해서는 한국 경제의 장기적 성장을 꾀하는 데 있어 경제민주화의 효용 가치에 대해 연구했다.

또 새 정부의 국정운영 철학인 ‘창조경제’에 대해 선제적으로 정책 대안을 모색해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기존 사업도 이에 발맞추어 보완해 추진하고 있다.

박 이사장은 “창조경제 종합연구는 우리나라가 선진국 추격형 경제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채 지속가능한 성장잠재력 확충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추격형 전략을 탈피해 보다 창조적인 발전 패러다임으로 각 분야별 창조경제 구현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회에서는 창조경제의 시급성을 감안하고 연구의 효과성과 연구결과 공개의 시의성을 고려해 단기에 집중적으로 연구를 수행, 연구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박 이사장은 “창조경제 종합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바로 ‘좋은 일자리 창출’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정구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