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비자코리아 김영종 사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비자코리아의 김영종(58.사진) 사장은 지난해 이미 "국내 마그네틱 카드를 2006년까지 집적회로(IC) 카드로 바꿔야 카드 보안유출 사고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었다.

최근 카드사고가 터지자 이젠 너나없이 IC카드로의 전환이 궁극적인 대책이라고 말하고 있다.

金사장은 그러나 "이구동성으로 IC카드로의 전환을 떠들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들어가면 아무도 나서는 사람이 없다"며 "말보다 실질적인 대책을 차분히 점검하는 게 문제해결의 지름길"이라고 2일 지적했다.

그는 IC카드 운영체제(OS)의 표준화 문제를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IC카드 형태로 도입되기 시작한 교통카드와 사이버 캐시의 경우 지역별로 표준이 달라 호환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金사장은 "IC카드의 승인.결제시스템을 따로따로 개발한 결과 부산에서 발행한 IC교통카드를 대전에서 쓰지 못하고 해외로 나가면 완전히 무용지물"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프랑스는 물론 일본.호주.대만 등의 경우 IC카드로 전환하는 작업을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전문가를 참여시켜 복잡한 승인.결제.정산 시스템을 단일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IC카드 사업은 국가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내에서 발급된 마그네틱 카드는 1억장을 넘어섰지만 순수 IC카드 보급률은 아직 2백만장 수준이다. 이처럼 IC카드의 보급이 저조한 것은 활용도가 낮고, 카드 제조 비용이나 가맹점의 카드 단말기를 IC용으로 바꾸는 데 들어가는 비용은 많이 들기 때문이다.

金사장은 "소비자가 IC카드를 절실히 원하도록 만드는 카드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IC카드의 부가 서비스를 많이 개발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또 "승인.결제.정산 체계를 단순화해 여기에서 절감된 돈을 IC용 단말기 보급에 써야 한다"고 말했다.

金사장은 "마그네틱 카드의 비밀번호를 아무리 잘 관리해도 금융기관 내부 공모(고객정보 유출)까지 막을 수 없는 만큼 카드 보안사고를 원천 봉쇄하려면 IC카드로 가는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