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홀들 개인 자막기 설치 바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2면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장에서 자막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5년. 높은 무대 위에 자막을 설치할 경우 관객의 시선이 분산된다는 이유 때문에 극장측은 줄곧 사용을 반대해왔다.

좌석 위치에 따라 자막 글씨가 잘 안보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에는'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극구 반대해온 음악감독 제임스 레바인이 끝내 자막 사용을 허락했다.

앞 좌석 의자에 부착하는 전자 액정 모니터'시멀텍스트(SimulText.사진)'의 도입 덕분이다. 2백만달러를 들여 가로 30㎝, 세로 8㎝ 크기의 LCD 형태의 전자 자막(일명 '메트 타이틀')을 3천9백89석에 모두 설치했다.

항공기의 특등석에 딸린 액정 모니터 같이 생긴 이 첨단형 자막은 산타페에 본사를 둔 피가로시스템(www.figaro-systems.com)이 개발한 개인 자막 네트워크(PTN)다.

'메트 타이틀' 설치를 위해 쿠바 출신의 백만장자 알베르토 빌라(62.아메린도 투자자문 대표)가 공사비 전액을 댔다. 옆좌석에서는 보이지 않고 켜둔 채 관객이 일어나 나가면 저절로 꺼진다. 자막을 보기 싫으면 끌 수도 있다.

시멀텍스트를 맨 처음 도입한 곳은 미국 산타페 오페라. 뉴욕 메트에 이어 최근 개.보수 공사를 끝낸 빈 슈타츠오퍼, 런던 로열오페라, 바르셀로나 리체우 극장에 이어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도 설치될 예정이다. 모두 빌라가 오페라 대중화를 위해 사재를 털어 헌납한 것이어서 '빌라 타이틀'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4백50만달러(약 58억원)가 소요된 빈 슈타츠오퍼의 경우 이탈리아 오페라 상연 때는 영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일본어.러시아어 등 8개 국어로 된 자막을 선택해 볼 수 있다. 외국 관광객은 물론 신세대 관객에게 인기다.

'시멀텍스트'의 설치비는 좌석당 약 1천달러(약 1백20만원). 공사기간은 9~18개월 걸린다. 객석 바닥을 교체하는 개.보수 공사와 병행하거나 처음부터 신축 극장에 설치할 경우 8백달러(약 1백만원)정도면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