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차관 1,500만불 도입계획에 이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67년도 대한 SA수조 규모가 66년보다 1천 5백만「달러」 삭감되었으나 도착「베이스」의 소화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한편, 이러한 정세 하에서 정부가 애써 도입하려는 「프로그램·론」(원자재차관)의 타당성의 논란의 대상으로 「클로스·업」되고 있다.
경제기획원에 의하면 67년도의 수자 도착예정 액은 5천만「달러」(「프로그램·론」제외)로 66년도 도착 액 중에서는 비료의 신규 구매 분이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원자재부문은 상대적으로 67년도가 66년에 비해 6백만「달러」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그만큼 이 자금소화는 작년에 이어 더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66년에 6백60만「달러」(도착기준)였던 「프로그램·론」이 금년에는 1천만「달러」로 늘어날 전망이며 그만큼 총체적 자금소화부담은 1천만「달러」이상이 가중되는 셈이다.
따라서 이 자금소화촉진을 위해 AID품목의 확대까지 교섭하고 있는 정부가 굳이 「프로그램·론」을 1천 5백만「달러」(장 기획 언명)나 도입하려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이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업계는 외환보유고의 급증을 이유로 「달러」소화가 어려워진 지금 굳이 「프로그램·론」을 도입하는 것은 충자세입「커버」를 위한 고식적인 방편이라고 지적, 수자 도입정책의 근본적인 재검토를 촉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