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스 보좌관 "대화 위한 대화는 원하지 않는다"

중앙일보

입력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4일 북미 대화에 언급, "우리는 대화를 위한 대화는 원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그럴만한 가치가 없다"고 밝혔다.

라이스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의 한국 등 동북아 3국 순방에 앞서 배경설명을 통해 "우리는 북한에 대한 수많은 대안을 가지고 있다"고 전제하고 "우리는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며 그러나 평양당국과 대화를 위한 대화는 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북한이 왜 '악의 축'의 일환인지는 너무나 자명하다"고 지적,북한을 비롯해 이라크, 이란 등 3개국은 "압제적이고 폐쇄된 체제로 대량파괴무기를 획득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며 이들 3개국은 여러가지 공통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특히 북한의 경우 그같은 대량파괴무기 관련기술을 전세계로 확산하고 있다면서 "부시 대통령이 북한체제를 정확히 비밀스럽고 압제적인 체제라고 칭하는데 전적으로 모순이 있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라이스 보좌관은 북한은 전세계에 탄도탄 미사일기술을 파는 "장사꾼"이라고 비난하면서 특히 대량파괴무기를 획득하려 한다는 점에서 지역 평화와 안전에 "위험"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북한은 "고급 상품선전책자"를 들고 세계를 돌아다니며 구매를 원하는 자에게는 누구든지 이를 팔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북한의 미사일 수출대상 국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녀는 "우리는 북한이 근본적으로 다른 나라들에 이를 팔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가 확인한 사실 등에 관해 너무 많이 언급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덧붙였다.

라이스 보좌관은 "우리 모두는 북한이 현재 하고 있는 행동을 중단토록 압력을 가해야 한다"며 "그들(북한)이 현재 하고 있는 행동은 대단히 위험스러운 일"이라고경고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북한은 아직까지 대화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다"며 "부시 대통령의 발언은 북한과 전세계에 북한의 그같은 행동을 중단토록 하는 문제에 우리가 진지하게 임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라이스 보좌관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대북 화해개방정책을 평가한 뒤 "김 대통령은 위대한 민주발전의 상징"이라면서 그러나 눈을 돌려보면 북한의 주민들은 매일 고통을 견디며 살고 있다고 덧붙였다.

라이스 보좌관은 부시 대통령이 처음부터 북한체제의 본질을 분명히 밝혀왔다면서 그럼에도 미국은 대화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공은 북한쪽에 넘어가 있다"고 말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대북정책 재검토결과 미국은 북한과 미사일 기술이전과 위협, 핵 계획, 한반도 긴장완화 문제 등 대북 현안을 협상테이블에서 논의하기 위해 대화정책을 추진해 왔다면서 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앞으로도 계속 북한체제의 본질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개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워싱턴=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