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 날… 오늘도 대통령 일정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근혜 대통령의 정부조직개편안 처리 촉구에도 불구하고 민주통합당이 오히려 “일방통행”이라고 반발하면서 국정 공백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더구나 오늘(5일)이면 임시국회가 끝난다. 3월 임시국회를 다시 소집할 수 있지만 현재로선 3월 국회가 시작되더라도 타결의 물꼬가 트이긴 어려워 보인다. 과거엔 야당이 계속 버티면 여당 단독 처리라는 강수를 뒀지만 이번엔 이 카드마저 쓸 수가 없다. 지난해 5월 18대 국회 임기 막바지에 여야가 몸싸움 없는 국회를 만들자며 ‘국회선진화법’이란 걸 통과시켰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 단독 처리를 하려면 국회의원 5분의 3(180명)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새누리당 의원 수는 153명에 불과하다. 단독 처리는 할 수 없단 얘기다. 결국 방법은 여야가 어떻게든 절충안을 마련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박근혜 정부가 온전히 출범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6일 국회 인사청문회가 끝나고 나면 17개 부처 중 12개 부처 장관은 우선 임명장을 줘 일을 시작할 수 있다. 당초 민주당이 청문회 개최를 거부하던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8일 청문회가 열린다.

 하지만 경제부총리와 미래창조과학·산업통상자원·해양수산부 장관 등 4개 부처 수장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인사청문회 자체를 열 수 없다. 게다가 김종훈 후보자가 4일 전격 사퇴하면서 새 얼굴을 다시 찾아야 해 미래창조과학부를 이끌 초대장관이 청사로 출근하려면 3월을 넘길 가능성이 커졌다. 결국 박근혜 정부가 완전한 모습을 갖추려면 앞으로도 한 달 가까운 시간이 더 필요하다. 당분간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동거(同居)체제’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4일 대국민담화 직후 이어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각 부처는 장관이 취임하는 즉시 금년 대통령 첫 업무보고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고 주문했다. “경제부흥·국민행복·문화융성·평화통일을 위한 기반 구축을 위해 100일 안에 기초를 쌓는다는 각오로 정책역량을 집중 투입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청와대는 각 부처 장관이 정상 출근을 하기 전까지 각 수석비서관이 부처 업무를 직접 챙기도록 할 방침이다.

 ◆5일에도 공식 일정 없어=박 대통령은 취임 9일째인 5일에도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 지난달 28일과 지난 2·3일에 이어 네 번째다. 이에 따라 매주 화요일에 열리던 국무회의도 지난달 26일에 이어 두 번 연속 열리지 않게 됐다.

허진 기자

[관계기사]

▶ 박 대통령 대국민 담화에 공감 57%, 아니다 30%
▶ 대통령·야당 불통의 정치, 취임 8일 만에 대치 정국
▶ 박 대통령 "식물정부 된다" vs 문 위원장 "국회 존중을"
▶ 여야 힘겨루기 본질은 MSO 관할권 향방
▶ 설득 없이 원안 밀어붙여…박근혜식 원칙 리더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