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납수산물' 공포 되살아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납꽃게' 파동으로 빚어진 중국산 수산물에 대한 공포가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8일 두달여만에 중국산 냉장 갈치에서 납조각이 검출된 이후 불과 일주일만에 또다시 냉동 참조기에서 볼트가 검출된 것은 한.중 수출입수산물위생관리약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양국은 지난해 '납꽃게' 파동 이후 수출입 수산물에 대한 위생관리 약정을 체결,지난 7월부터 협정이 발효됐지만 이후에도 이번에 볼트가 검출된 냉동 참조기까지모두 8차례나 수산물에서 납 등이 검출됐다.

◇원인 규명도 못해= 정부는 협정 발효 이후에도 계속 납 등이 검출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지난 11일부터 일주일 동안 해양수산부 관계자 등 4명이 중국 베이징(北京), 다이렌(大連), 칭다오(靑島) 등을 방문해 중국 가공공장의 위생관리 실태를 점검한 이후 잇따라 중국산 수산물이 문제되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해양부 관계자는 "점검 지역 대부분의 공장은 유럽연합 및 미국 관계 당국에도등록된 공장으로 가공설비가 양호했다"며 "자체 품질 관리를 위한 실험실 등을 갖추는 등 국내 가공업체보다 더 우수한 곳이 많았다"고 말했다.

해양부는 우수 시설을 갖춘 중국 공장의 가공 수산물에서 이물질이 검출되자 어민들이 무게를 속이기 위해 납을 넣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어민 지도에 힘써줄 것을 중국에 요구한 상태다.

그러나 어민들이 납을 넣었더라도 가공 및 수출과정에서 꼼꼼하게 검사했다면충분히 발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런 주장도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이다.

해양부 관계자는 "중국 일부 지역의 검사 시스템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은 탓도있다"며 "불과 몇 그램 차이로 포장 단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어민들이 납을 넣었을가능성이 커 중국측에 이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소극적 정부 태도= 해양부는 잇따라 납과 볼트가 검출되자 오히려 국내 검역망이 안전하다며 사태가 확산되는 것을 막는데 급급해하고 있다.

해양부 관계자는 "납이 든 수산물이 유통되는 것도 아니고 국내 검역 과정에서모두 걸러지는 데 문제될 게 뭐있느냐"며 "일이 확대되면 중국과 무역 마찰을 빚는등 문제가 복잡해진다"고 말했다.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관계자는 "한달에 2~3차례 있는 일이다"라며 "다음달에도검출될텐데 자꾸 문제가 커지면 국민들이 불안해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민들에게 중국산 수산물의 위생실태를 알리고 중국 당국에 원인 규명을 촉구하기보다는 국내에 파문이 확산되는 것을 기피하는 듯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어민들이 납을 넣었다면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등 한.중 수출입 수산물 위생관리 약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해양부 관계자는 "중국측에 재발 방지를 강력히 요구했지만 아직 지방까지 충분히 협조가 이뤄지지 않아 계속 납이 검출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2~3개월 정도 지나면 충분히 단속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해명했다.(서울=연합뉴스) 이광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