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어 원산지표시 "좋은 방법 없나요"

중앙일보

입력

해양수산부가 내년초부터 활어에 대해서도 원산지 표시를 추진, 그 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해양부는 우선 국내산 활어의 원산지 표시방안을 이달 안에 마련한 뒤 수입산 활어의 원산지 표시도 산업자원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해양부는 이를 위해 15일로 예정된 공청회를 앞두고 어민들의 의견을 수렴 중이다. 해양부가 최근 인터넷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90.9%가 활어의 원산지 표시에 찬성했었다.

해양부가 활어의 원산지 표시를 위한 행정절차에 착수하자 양식 어민들로 구성된 경남 통영 해수어류양식수협은 '수입 활어 처리절차'라는 건의서를 해양수산부에 제출했다.

해수어류양식수협은 활어 수입선박이 입항하면 통관절차를 거친 뒤 세관직원의 입회 아래 '수입활어 운송'이 명기된 차량으로 운반토록 하고 시중 횟집에서도 수족관을 별도 마련토록 할 것을 건의했다.

특히 통관 때도 보세구역 등에 '수입활어'구역을 지정, 함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해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이 모두 받아들여지더라도 수입활어를 국내산 수족관에 넣어 판매할 경우 규제방법이 사실상 없는 셈.

이에 대해 해수어류수협 이기호(李奇鎬)지도과장은 "관련 규정을 만들어 놓고 단속하면 지금보다는 원산지를 속이는 경우가 훨씬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원산지 표시의무 수산물은 1백1개 품목에 이르고 있으나 수입활어에 대해서는 그동안 표시가 곤란하다는 이유로 제외돼 왔다.

통영=김상진 기자 daed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