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서 편파인사 방조 언론조사 편파방송 불러"

중앙일보

입력

5일 열린 국회 문광위(위원장 崔在昇) 에서 야당 의원들은 KBS와 MBC 등 방송이 언론탄압 문제를 편파적으로 보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나라당 박종웅(朴鍾雄) 의원은 "한겨레 신문 성한용 기자가 쓴 책엔 'DJ가 KBS에 전북 전주 출신을, 대한매일신문 사장에 목포 출신을 임명했다''박지원씨가 현 정권의 언론분야 정책수립과 집행조정 업무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는 뜻에서 언론부통령이라 비꼬아 부르기도 했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며 "이 정권이 권력기관 핵심요직뿐 아니라 방송사도 특정지역 출신이나 호락호락한 인사들로 교체해 편파보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김정기(金政起) 방송위원장에게 "양 방송의 경영진 인사권을 사실상 쥐고 있는 방송위원회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심규철(沈揆喆) 의원은 "언론사에 대한 재판과정에서 중앙일보는 회계관련 장부 파기에 대해 '서울지방국세청이 두차례에 걸쳐 1995년 사업연도는 세무조사 대상이 아니다는 확인을 해주었기 때문'이라는 새로운 진술을 했음에도 공영방송은 이를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동아일보 김병관 전 회장도 '국세청이 회사 경리부장을 통해 수차례 우회적인 증여방법을 조언해 주었다'고 진술했으나 방송들이 보도하지 않았다"며 "그대신 언론개혁을 외치는 시위나 집회는 이잡듯 찾아 방송했다"고 주장했다.

고흥길(高興吉.한나라당) 의원도 "언론사 세무조사 보도를 앞다퉈 보도하던 방송사들이 성한용 기자에 의해 밝혀진 '언론사 타격용 세무조사'에 대해선 약속이나 한듯 일제히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이는 그동안의 방송보도가 언론개혁을 위한 것이 아니라 정권 홍보를 위한 것임을 입증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남경필(南景弼) 의원은 "공익적인 이유로 올해 지원된 방송발전기금이 정부.여당의 언론탄압에 방조하거나 언론계를 편갈라 갈등을 조장하는 행사 등에 사용된 사례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정기 위원장은 "방송위원들 사이에 편파보도에 대해 논란은 있었으나 명확히 편파보도라는 결론을 못내려 의견 제시만 한 경우가 있다"고 답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