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경제장관회의 의미]

중앙일보

입력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5일 중국,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동에서 3국 경제장관회의 신설에 합의한 것은 중국의 WTO(세계무역기구) 가입 및 WTO 뉴라운드 출범 등 새로운 국제 경제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브루나이를 방문중인 김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센터포인트 호텔에서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와 조찬회동을 갖고 경제장관회의 신설, 경제협력방안 공동연구 확대, 기업인간 비즈니스 협력체제 구축, IT(정보기술) 협력사업 발굴 및 환경협력 공동사업 추진, 국민.문화.교류사업 확대 등 5개항에 합의했다.

특히 관심을 모으고 있는 대목은 한.중.일 3국간 경제장관회의를 신설키로 한부분이며, 이는 김 대통령의 제안을 주룽지 총리와 고이즈미 총리가 수용하는 형식으로 합의됐다.

한.중.일 3국 경제장관회의 신설은 장기적으로는 `동아시아 경제협력체' 구축을 지향하는 한편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WTO 가입을 계기로 다자간 통상문제에 3국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사전포석으로 해석된다.

3국 통상장관과 재무장관들이 멤버로 참여하는 경제장관회의는 ▲무역 원활화를 비롯한 지역차원의 통상협력 증진 방안 ▲통상마찰 예방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다자 통상문제에 대한 공동대처 ▲3국간 경제.금융협력 ▲주요 거시경제 공조방안등을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관계자는 "세계 경제여건이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동아시아 3국이 경제장관회의를 신설하기로 합의한 것은 적지않은 의미가 있다"면서 "경제장관회의는 3국간 교역증진 문제, 무역분쟁 예방, WTO 등 다자간 통상문제에 대한 정책공조 등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장관 회의는 연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으며, 시기와 장소는 3국 실무자간 협의를 통해 논의하기로 했다.(반다르 세리 베가완=연합뉴스) 이래운 정재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