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 경제장관회의 신설

중앙일보

입력

`아세안+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브루나이를 방문중인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은 5일 센터포인트 호텔에서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 및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와 조찬을 겸한 3국 정상회동을 갖고 경제장관회의 신설 등 5개항에 합의했다.

이날 회동에서 3국 정상들은 ▲경제장관회의 신설 ▲기업인 협력체제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 포럼 창설 ▲경제협력방안 공동연구 확대 ▲환경협력 공동산업과 IT(정보기술) 협력사업의 발굴, 추진 ▲국민.문화 교류사업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정상들은 특히 경제위기 극복 및 경제활력 회복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3국의 재무장관과 통상장관이 참석하는 경제장관회의를 이른 시일내에 신설, 내년부터 정례화하기로 했다고 오홍근(吳弘根) 청와대대변인이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재무장관들은 3국간 경제금융 협력과 주요 거시경제에 대한 공조강화 방안을 주로 협의하고, 통상장관들은 무역원활화를 비롯, 3국간 통상협력증진과 통상마찰 예방방안을 중점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비즈니스 포럼은 3국의 주요 경제단체 및 기업들의 활발한 인적교류와 투자.무역 등과 관련된 정보 교류를 강화하는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3국 정상은 이와함께 테러리즘, 국제범죄, 환경 등 초국가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3국 경찰당국간 협조체제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아세안과의 협력문제에도 긴밀히 협의,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가기로 했다.

또 세계경제의 위축을 고려, 지난해 설치된 한.중.일 국책연구기관간 협력사업을 3국간 투자증진과 교역확대 사업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김 대통령은 이어 이날 낮 개막된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 창설 ▲`아세안+3' 정상회의의 `동아시아 정상회의'로의 전환 ▲동아시아 포럼 설치 등 3개항을 제안했다.(반다르 세리 베가완=연합뉴스) 이래운 정재용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