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일자리 6만 개 만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산림청 여성 숲해설가(가운데)가 충남 계룡산을 찾은 등산객들에게 나무 종류 등 숲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중앙포토]

김영근(56·전북 무주군 안성면)씨는 최근 실업자 생활을 청산하고 숲해설가로서의 새 일자리를 찾았다. 옛 직장인 서울의 식품회사가 부도로 문을 닫으면서 무주로 내려간 뒤 1년여 동안 실업자로 지내다 산림청 숲해설가 모집에 합격한 것이다. 그는 지리산 등 전북지역 유명 산을 찾는 등산객들에게 숲에 대한 설명을 해 주고 한 달에 120여만원의 보수를 받고 있다.

 김씨처럼 숲에서 일하고 돈을 버는 녹색일자리를 6만 개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산림청은 전국 공유림의 숲 가꾸기와 묘목 생산, 산불 진화 등 업무에 종사하는 일자리를 매년 1만 개 이상 만들어 2017년까지 6만 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첫해인 올해는 숲해설가 등 산림서비스 도우미 1408명, 녹색 숲 가꾸기 1만1891명, 산림재해 예방 및 복원 813명 등 모두 1만4112명을 선발키로 했다. 2912억29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실직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을 우선해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모집은 전국 시·군과 각 지방 산림청에서 연중 실시한다.

 산림도우미는 산림청이 인정하는 단체나 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자격증을 따야 한다. 숲 가꾸기 인력은 산림조합중앙회 등 산림청 산하 기관에서 2주간의 전문교육을 받은 뒤 현장에 투입된다.

간벌, 덩굴 제거, 임도 개설 등 작업강도가 센 숲 가꾸기 인력의 연봉은 3500만원으로 책정됐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임학과·조경학과 등 산림 관련 학과가 있는 전국 지방대학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현장실습 등을 지원해 졸업생들의 취업을 돕기로 했다.

 산림청의 녹색일자리 사업은 1998년 외환위기로 직장에서 떠밀려 나온 1만3000여 명을 공공근로 형태인 산림 가꾸기 사업으로 흡수한 것이 그 시작이다. 이돈구 산림청장은 “농촌·산촌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단순작업 일자리는 경기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유지하되 숲해설가처럼 일정한 자격과 수준이 요구되는 일자리는 장기적으로 사회적기업 형태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