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에 내년부터 빚·재테크 상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앞으로 저소득층이나 사회 취약계층 등 ‘금융소외계층’도 주요 지자체 서민금융지원센터에서 금융회사 프라이빗뱅킹(PB) 같은 부채·자산 관리 서비스를 받게 될 전망이다. 3일 금융위원회와 국회 정무위원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 같은 내용의 ‘서민 대상 금융멘토제’를 내년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금융멘토는 쉽게 말해 금융 정보를 접하기 힘든 서민층의 재무 설계를 도와 이들이 자산을 불릴 수 있도록 멘토링해주는 역할을 맡는다.

이에 따라 서민층은 각자의 형편에 맞는 금융상품은 무엇인지, 지출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짜야 하는지 등에 대해 조언을 받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효율적인 부채 및 신용 관리▶미소금융·햇살론 등 서민 금융상품 이용▶신용회복 절차▶채무조정 지원 등에 대한 상담도 받게 된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은행·증권·보험사 등 금융회사 퇴직자를 대상으로 후보자를 선발한 뒤, 별도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160명을 금융멘토로 양성할 계획이다.

이들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16개 광역지자체에 설치된 서민금융지원센터에 10명씩 배치돼 서민의 자산 관리와 금융 교육을 전담하게 된다. 이는 최근 가계부채와 금융상품 불완전 판매 등이 사회 문제가 되면서 금융소비자 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여러 금융회사·협회에서 산발적으로 이뤄지는 서민 대상 금융 상담을 일원화시켜 효율성을 높일 필요성도 커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미 비슷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미국 등에서는 멘토링을 통해 신용을 회복하는 것은 물론 자산 형성에까지 도움을 주는 등 효과가 검증됐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