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권혁재사진전문기자의네모세상] 덕유산 상고대

    [권혁재사진전문기자의네모세상] 덕유산 상고대

    겨울 덕유산에 꽃이 핀다. 가파른 능선을 넘나들며 온 산을 휘도는 안개가 나무며 바위며 마른 풀포기에조차 그대로 얼어붙어 희디흰 꽃으로 피어난다.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

    중앙일보

    2005.12.15 15:38

  • 동양 최대 '경북도수목원' 개장

    동양 최대 '경북도수목원' 개장

    동양 최대 규모의 경북도수목원이 23일 문을 연다. 경북도는 이날 포항시 죽장면 상옥리 경북도수목원에서 조연환 산림청장, 이의근 경북도지사, 이상희 전 내무부장관 등 관계자와 전

    중앙일보

    2005.09.22 21:39

  • 전국 향토 명물 청계천 '총집합'

    전국 향토 명물 청계천 '총집합'

    ▶ 오는 10월 완공되는 청계천에 전국 각지의 향토 명물이 몰려들고 있다. 신답철교와 고산자교 사이에 심어놓은 충주 사과나무에 사과가 열려있다. 강정현 기자 "이게 정말 갈대인가요

    중앙일보

    2005.06.16 10:01

  • 꽃나무·야생화 심기 행사

    꽃나무·야생화 심기 행사

    "꽃나무와 야생화 심고 이름과 기념 글도 남기세요."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식목철을 맞아 4월 24일까지 예정으로 지난 26일부터 전국 자연 휴양림 7곳에서 국민들이 참가

    중앙일보

    2005.03.27 20:54

  • 울주 가지산에 500세 철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해야

    키 5.5m에 밑둥치 둘레가 3.5m나 되는 500세 먹은 나무를 비롯해 150세이상의 거목만 740여 그루가 모여서 자라고 있는 철쭉나무 군락지. 봄이면 30여만평에 22만여 그

    중앙일보

    2004.10.10 20:40

  • 지리산 잇단 대규모 산사태

    해발 1800m가 넘는 경남 함양군 마천면의 지리산 중봉. 정상에서 서쪽으로 150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해 칠선계곡 쪽으로 가문비나무와 잣나무.구상나무 등이 무성했던 숲이 온데간

    중앙일보

    2004.10.10 18:49

  • [지방에서는] 제주 자연파괴 두고만 볼 것인가

    한반도 남단, 아름다운 섬 제주에 불도저의 굉음이 울리기 시작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수십년간 경제논리와 개발이란 이름으로 깎고, 자르고, 파헤쳐 왔다. 드디어 제

    중앙일보

    2004.01.29 18:43

  • [week& 레저] FRIDAY 추천 일출 명소

    [week& 레저] FRIDAY 추천 일출 명소

    세밑이 다가오면 겨울 여행에 대한 기대가 모락모락 피어난다. 특히 짙푸른 바다를 홍시 빛으로 물들이는 해돋이 여행은 색다른 감동 속에 한 해의 각오를 다지기에 적격이다. 새해 첫

    중앙일보

    2003.12.25 15:04

  •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 순례] 7. 한라산의 기생화산 윗세오름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 순례] 7. 한라산의 기생화산 윗세오름

    어느 계절, 어느 때, 어떤 일로 가든 제주도는 꿈의 섬이다. 한반도의 좁은 땅덩이가 한스럽게 생각되다가도 제주에만 오면 이게 우리로서 얼마나 큰 복이냐는 기쁜 마음이 절로 일어난

    중앙일보

    2003.12.04 17:32

  • [이원규의 지리산 가을편지] 신화는 계속된다

    [이원규의 지리산 가을편지] 신화는 계속된다

    한밤중에 홀로 노고단을 오릅니다. 노고단은 아무래도 탯줄로 이어지는 신화의 초입이지요. 아직 어린 구상나무로 서서 이미 져버린 원추리 꽃을 생각하는데 한 여인이 희푸른 달빛을 타

    중앙일보

    2003.10.27 18:06

  • 한라산 400회 올라 생태 관찰 책 펴내

    "제주도가 곧 한라산이고, 한라산이 곧 제주도입니다. 백록담을 정점으로 제주 전역에 3백68개의 기생화산을 거느린 한라산에게 이제서야 그 고백을 하게 되네요." 하늘을 끌어당길 듯

    중앙일보

    2003.04.23 18:02

  • 새상품

    ◇제일제당은 '내추럴 에어'란 신규 브랜드 아래 첫 제품으로 '내추럴 에어 제주 삼다 맑은 공기'를 내놨다. 이 제품은 한라산에서 채취한 맑은 공기를 10분의 1로 압축해 캔 형

    중앙일보

    2002.10.04 00:00

  • 한라산 맑은 공기 상품화 출시

    한라산의 맑은 공기를 캔에 담아 사람들이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제주 삼다 맑은 공기' 상품이 13일 출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은 한라산의 맑고 청정한 공기의

    중앙일보

    2002.03.13 14:14

  • 하회마을 '英여왕 나무' 枯死

    ○…엘리자베스2세 영국 여왕이 1999년 4월 경북 안동의 하회마을을 방문한 기념으로 심은 구상나무가 지난해 가을 말라죽은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16일 안동시에 따르면 당시 여

    중앙일보

    2002.02.17 00:00

  • 국외반출때 정부 승인 생물자원 165종 추가

    1999년 도쿄 등 일본 주요 백화점에서는 한국산 '변산바람꽃'이 불티나게 팔렸다. 이 꽃은 한라산.지리산.마이산.변산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한국 고유종인데도 아무 제한없이 외국에

    중앙일보

    2002.01.09 00:00

  • [세밑 산행 어디가 좋을까…]

    슬픈 사슴의 전설을 간직한 한라산 백록담(1천9백50m)이 ‘동화속 은빛 세계’로 바뀐다. 백두대간을 따라 불어온 매서운 북서풍이 한바탕 휘몰아 친 태백산의 주목은 흰옷을 걸친 상

    중앙일보

    2001.12.28 00:00

  • 한라산 청정공기 캔에 담아 판다

    한라산 국립공원의 청정공기가 내년 3월부터 시판된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18일 "지난 7월 시범 출시했던 압축 청정공기에 대한 반응이 좋아 시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금

    중앙일보

    2001.12.19 09:55

  • 한라산 청정공기 캔에 담아 판다

    한라산 국립공원의 청정공기가 내년 3월부터 시판된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18일 "지난 7월 시범 출시했던 압축 청정공기에 대한 반응이 좋아 시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금까

    중앙일보

    2001.12.19 00:00

  • 한라산 청정공기 캔에 담아 판다

    한라산 국립공원의 청정공기가 내년 3월부터 시판된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18일 "지난 7월 시범 출시했던 압축 청정공기에 대한 반응이 좋아 시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금까

    중앙일보

    2001.12.18 18:12

  • [친선축구] 제주월드컵의 상징 '테우'

    9일 열리는 한국과 미국축구대표팀의 친선경기를 보기 위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들은 처음 들어보는 '테우'라는 단어에 고개를 갸우뚱거린다. 뗏목이라는 뜻의 제주 방언인 테우는 통나무를

    중앙일보

    2001.12.09 15:21

  • [이곳에 가면… ] 단풍놀이 길 흥 돋궈줘요

    남녘 산야도 울긋불긋 가을단장이 한창이다.단풍놀이를 오가며 잠시 들러 쉬며 공부도 할 수 있는 곳들을 소개한다. #진안 용담댐=진안읍에서 7백95번 지방도를 타고 정천면 방향으로

    중앙일보

    2001.10.20 00:00

  • 생명공학 산업의 핵심 '생물자원 보존관' 설립키로

    세계적으로 녹색혁명을 가능케 했던 밀의 유전자는 우리나라 토종인 '앉은뱅이밀'에서 유래됐으나 정작 국내에서 앉은뱅이밀이 사라진 지는 이미 오래다. 또 미스킴 라일락.원추리.구상나무

    중앙일보

    2001.10.15 09:08

  • 생명공학 산업의 핵심 '생물자원 보존관' 설립키로

    세계적으로 녹색혁명을 가능케 했던 밀의 유전자는 우리나라 토종인 '앉은뱅이밀'에서 유래됐으나 정작 국내에서 앉은뱅이밀이 사라진 지는 이미 오래다. 또 미스킴 라일락.원추리.구상나무

    중앙일보

    2001.10.15 00:00

  • [한라산 백록담 왜 말라가나]

    지난해 12월 말 백록담의 수량이 줄어든 이유를 밝히기 위해 지질학자.임학자.토양학자 등 아홉명의 전문가가 현장을 답사했다. 전문가들은 조사 후 백록담 경사면의 흙 유실에 따른 백

    중앙일보

    2001.02.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