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 대리운전에 반한 88년생, 中 뒤흔든 ‘헬로 세계’ 만들다 유료 전용
2012년, 중국의 한 젊은 창업가가 서울에 왔다. 목적은 대리운전 시찰. 한국에서 성업하고 있는 대리운전 시스템을 공부하기 위해서였다. ‘이 서비스를 어떻게 하면 중국 대륙에
-
중고차 거래 ‘엔카지원센터’ 50개 지점 돌파 눈앞
국내 최대 자동차 거래 플랫폼 엔카닷컴이 직영으로 운영하는 ‘엔카 광고지원센터’가 전국 50개 지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중고차 신뢰 거점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엔카 광고
-
[자동차] 엔카닷컴, 신뢰 바탕으로 중고차 업계 선도…지원 센터 50개 지점 돌파 눈앞
엔카 광고지원센터는 매물 사진 촬영은 물론 차량 상태 검수까지 진행한다. 지원센터는 IT기술-서비스-오프라인 지점을 잇는 중고차 O2O 시스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사진은 수
-
‘2023 대한민국 브랜드 명예의전당’ 부문별 수상자는? ⑤
국내 대표 싱크탱크 산업정책연구원(IPS)은 지난 한 해 동안 산업별로 소비자에게 가장 사랑받은 브랜드를 발표했다. 올해는 금융/통신/자동차/공공, 가전/소비내구재, 유통/교육/
-
이용자 1800만 명 좋긴 한데…당근마켓, 돈은 언제 벌 거야? 유료 전용
Today’s Interview,‘더 좁은 동네’가 생존 전략이다황도연 당근마켓 대표 반경 6km ‘슬세권’의 힘. 대면 중고거래를 이어주던 당근마켓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
[KCSI 우수기업] ‘총체적 경험’으로 비즈니스를 혁신하라
KCSI 향상 위한 전문가 제언 최근 디지털 전환 및 비대면 경제 활성화 등의 큰 변화와 맞물려 기업들은 ‘총체적 경험 제공’을 경영 목표로 ‘고객과 상호작용’을 통해 성공적 비
-
적자난에 주가 폭락까지… 미니소의 해결책 ‘틱톡’도 안 통하는 이유
지난 2022년 7월 13일 미니소가 홍콩증시에 상장했다. [사진 sprg_asia] 지난 13일 홍콩 증시에 미니소(9896, HSI)가 상장했다. 지난 2020년 10월 뉴욕
-
[팩플] "상장 어려운 카카오택시 최대주주 노릇, 이제 그만" 본심 드러낸 카카오
[사진=뉴스1] ━ 무슨 일이야 카카오가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의 보유 지분을 줄여, 최대주주에서 물러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공식 확인했다. 카카오 계열사 전반의 투자
-
'코로나 수혜' 中 의약 업체, 알고보니 '숨은 적자왕'
최근 들어 가장 큰 ‘블랙스완’. 코로나19를 가리키는 말이다. 2년여간 우리 사회와 기업을 두렵게 만든 코로나19는 물류·유통·여행 등 다양한 업계에 타격을 줬다. 반면 코로나
-
알리바바부터 틱톡까지… IT 기업은 왜 의료기기 산업에 뛰어들까
중국의 대형 인터넷 거물들이 의료기기 시장 선점에 나섰다. 중국의 경제 발전과 건강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급증하며 중국 의료기기 시장은 발전의 기회를 맞이했다. 최근 몇 년간
-
'집 나갔던' 미니소, 홍콩 상장으로 성장 궤도 되찾나
‘다이소 짝퉁’ 오명 벗고 연매출 3조원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미니소. 샤오미에 이어 ‘대륙의 두 번째 실수’라 불리며 큰 인기를 끈 중국 라이프스타일 스파(SPA) 브랜드
-
[팩플] 번개장터·중고나라엔 있는 수수료, '당근페이'가 안 받는 이유
지난해 8월 중앙일보와 인터뷰한 김용현 당근마켓 대표. 김성룡 기자 매달 1700만명이 쓰는 당근마켓이 지역 기반 결제·송금 서비스 ‘당근페이’를 14일 선보였다. 당근페이는
-
[KCSI 우수기업] 변화의 시대, 고객 경험의 관점을 전환하라
KCSI 향상 위한 전문가 제언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경제의 활성화로 고객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O2O·O4O를 경험하고 있으며, 제조업체와 소비자가 직접 거
-
‘대한민국 CEO 명예의전당’ 고객만족/브랜드전략/서비스혁신/안전경영/글로벌 수상자는?
산업정책연구원(IPS)은 ‘2021 대한민국 CEO 명예의전당(5th Korea CEO Hall of Fame)’을 통해 21개 부문 25명의 수상자를 선정했다. 이 중
-
플랫폼 어쨌길래…을지로위원회·공정위에 미국까지 벼른다 [팩플]
플랫폼을 바라보는 시선이 차가워지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한때 '혁신의 상징'이던 플랫폼 기업, 요즘 전세계 곳곳에서 위기에 처해 있다. '플랫폼이 크더니 횡포 부린다'란
-
골목 식당 배달 매출 늘리고, 택시 승차 거부·귀갓길 걱정 덜어
━ [SPECIAL REPORT]플랫폼 비즈니스 빛과 그림자 서울 중랑구에서 30년 넘게 중국집을 운영하는 박노식(가명·62)씨는 10년 전까지만 해도 배달원 세 명을 직
-
문어발 확장 ‘네카라쿠배’ 독점적 지위 악용, 맘대로 수수료 올려도 제재 못해
━ [SPECIAL REPORT]플랫폼 비즈니스 빛과 그림자 이른바 ‘타다금지법’으로 불렸던 ‘개정 여객자동차법’이 시행된 지난 4월 서울역 인근에서 카카오T 택시가 이동
-
[팩플] 카카오페이로 본 '차이나 리스크'
팩플레터 62호. 2021.02.23. Today's Topic 카카오페이로 본 '차이나 리스크' 안녕하세요. 팩플레터 박수련 팀장입니다. 화요일 잘 시작하셨나요? 🙋
-
[팩플]"몸값 100조? 당근 가능" 3조 당근마켓 김용현 승부수
당근마켓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 대열에 합류했다. 18일 1789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로 기업가치 약 3조원을 인정받으면서다. 2년 전 2000억~3000억이
-
자본시장 꿰뚫고 M&A로 몸집 불려…시총 ‘100조 클럽’ 가입
━ [SUNDAY CEO 탐구]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국내 2호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6일 코스피에 상장하면서 세간의 관심은 또 한 번 ‘카카오 왕국’에 모아지
-
"'수수료 0원'이 가능하냐고?…배민·쿠팡이츠와는 출발이 달라"
‘수수료 0원’.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배달 플랫폼 시장에서 이런 파격적인 조건이 가능할까. 위메프오는 지난해 9월부터 서버비를 주당 8800원만 내면 수수료가 없는 ‘
-
리빙픽 ‘대한민국 동행세일’ 동참, 중소기업 아이디어 상품 특별전 진행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활로 개척을 위한 내수 회복 프로젝트인 ‘대한민국 동행세일’에 리빙픽이 재작년에 이어 올해 다시 한번 발 벗고 나섰다. 미디어커
-
[차이나인사이트] 디지털 위안화 실험, 달러패권 도전 아닌 보조금 지급 용도
━ 중국, 비트코인 때린 까닭 중국 베이징의 번화가 왕푸징 쇼핑몰의 한 매장 계산대에 놓인 디지털 위안화 결제 단말기. 디지털 위안화( 數字人民幣, e-CNY) 사용을 환
-
샤넬서 잘 나가던 그, e커머스업체로 옮긴 이유는
“럭셔리 커머스는 고객 경험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오프라인만큼이나 온라인에서도 차별화한 경험을 제공해야 합니다.” 온라인 명품 부티크(대규모 도매상) ‘발란’ 김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