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학박물관 전문화 바람

    대학에 본격적인 전문박물관시대가 열리고 있다. 경기대의 농업박물관, 동국대의 불교박물관 개관에 이어 인하대가 교통박물관, 서울시립대가 서울시사박물관, 부산수산대가 수산해양박물관 개

    중앙일보

    1984.08.27 00:00

  • (22)

    바다의 중요성을 말할때 흔히 「인류의 마지막 자원보고」라고 표현한다. 실제로 지구전체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지구상의 총동·식물중 5분의4가 서식하고있으며 식량자원의 기초생산능

    중앙일보

    1984.06.07 00:00

  • 신탄진에도 희귀고란초

    ○…부소산산탁난사(충남부여읍) 약수터바위틈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희귀식물고란초가 충남대덕군신탄진읍용호리 용호교옆 금강변바위절벽틈에서 발견됐다. 고란초가 발견된 곳은 신탄진

    중앙일보

    1983.08.03 00:00

  • 사향 노루와 인간의 관계

    우리가 애써 야생 동유물을 보호하려는것은 그들을 지나치게 잡아 없앰으로써 멸종되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산이나 들에 뛰노는 짐승이나 새, 어느 고산이나 외딴 섬 바위밑에

    중앙일보

    1983.08.02 00:00

  • 설악산 「식생도」 완성-임량재교수(중앙대생물학과)가 2년걸려 조사

    국립공원 설악산의 식물 되는 설악산 식생도 (식생생태를 파악하는데 기본이 도·Vegetation map)가 국내최초로 완성됐. 중앙대 생물학과 식물생태학 연구실 임량재교수가 한국자

    중앙일보

    1982.09.09 00:00

  • 정상에 서면 동해가 한눈에

    설악산은 높고 낮은 기암절벽과 계곡마다 흐르는 옥류, 바위 하나, 소 한군데도 빼어나지 않은 곳이 없다. 높이로도 한나산·지리산 다음으로 높은 해발 1천7백8m. 설악산의 수많은

    중앙일보

    1982.09.09 00:00

  • 설악산

    설악산이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됐다. 우리 나라에선 처음이다. 「생물권 보전지역」(Biosphere Reserves)은 유네스코가 1970년 총회에서 채택한 「인간

    중앙일보

    1982.09.02 00:00

  • (17)|담양 전씨|제자: 초정 권창륜

    「무엇을 대대로 전가해야할 것인가. 충효와 인의와 예절이 아니던가. 인간에 무슨 보물이 이보다 더 할 손가. 세상 사람이 고루 써도 바닥 나지 않을 것을…. 공과 세만 믿다보면 흉

    중앙일보

    1982.05.29 00:00

  • 마지막 보고…해저자원 구내서도 탐사추진

    해저광물의 주인은 누구인가. 지난2월초순에 있은 심해저의 광물자원개발을 위한 미·영·서독·프랑스의 독자적협정체결과 3월8일부터 열리고 있는 유엔해양법회의를 계기로 해저자원개발에 대

    중앙일보

    1982.03.31 00:00

  • 반가운 보고

    엊그제 한 TV는 철새들이 떼죽음을 한 광경을 보여주었다. 갯바닥에 아무렇게나 내동댕이쳐진 그 주검들을 보면서 섬뜩한 두려움을 느낀 사람도 적지 않았다. 그 잔혹의 현장은 환경공해

    중앙일보

    1982.01.21 00:00

  • 후조와 댐

    낙동강 하구개발문제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그것은 국제자연보호연맹이 하구개발계획을 중지하도록 촉구하는 결의를 채택함으로써 제기된 것이다. 그 결의는 아직 공식적으로 우리정부에 전달

    중앙일보

    1981.11.06 00:00

  • (2)사라져 가는 천적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 불려오던 우리의 산과 들과 강과 바다가 찌들어가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희귀목·희귀석·희귀어가 마구 잘려나가고 바위마다 칼자국이고 계곡마다 쓰레

    중앙일보

    1978.06.03 00:00

  • 「파브르」정신

    『곤충기』로 유명한「파브르」는 원래 시인이었다. 출세나 사치스런 도시생활과는 담을 쌓고 지냈다. 그의 고향인 남불의 한 한촌에서 향토 시나 쓰며 젊은 시절을 보낸 것이다. 그는 책

    중앙일보

    1976.08.13 00:00

  • 남기고싶은 이야기들(1518)|등산 50년

    관모고원의 등반은 아우성치는 강풍과 천지간에 대하흐르듯 하는 무시무시한 눈보라를 헤쳐가는 영하15도속 고난의 장정. 짐꾼 김·임씨를 교대로 한사람씩 데리고 나섰으나 봉 하나 넘기

    중앙일보

    1975.12.20 00:00

  • 인류 생존에 관련된 자연 환경 보존 문제-삼성문화재단 주관 한국 경제 「세미나」

    우리나라의 자연은 예로부터 조상들에 의해 아끼고 보호돼 왔다. 근래 인구의 증가, 수차의 전란, 최근까지 계속되고 있는 근대화의 물결은 자연의 개발과 그에 따른 파괴를 결정적으로

    중앙일보

    1975.12.05 00:00

  • 해양수족관|정한수씨 사재로 설립

    세계각지에 분포돼있는 어류·열대산호초·우리나라 희귀어류등 2백여종의 산 모습과 습성을 생생히 보여주는 「해양수족관」이 국내에선 처음으로 마련됐다 (27일부터 일반공개). 서울 동대

    중앙일보

    1975.11.25 00:00

  • (2)파리서 출간된 소 반체제 작가 솔제니친 신작

    어떻게 하여 사람들은 이 비밀의 군도에 가게 되는가? 친애하는 독자여, 나처럼 죽기 위해 그곳에 가는 사람들은 체포라는 과정을 통해 홀로, 그리고 강제로 그 곳에 갈 수가 있다.

    중앙일보

    1974.01.05 00:00

  • 세계희귀조「저어새」발견|낙동강 하구에서 세마리

    세계적인 희귀조로 알려진 저어새(천연기념물「205호)3마리가 낙동강 하구인 금부군오지리앞 대마섬과 장자섬 사이 물가에서 발견됐다. 철새도래지 실태조사를 위해 지난10일 낙동강하구를

    중앙일보

    1973.06.14 00:00

  • 까막딱다구리

    새(조)는 음악적인 생물이다. 아름다운 음성은 물론이고, 그 나(비)는 모습도 마치 현악기를 탄주하듯 율동적이다. 일본 어느 도시의 번화가에서 횡단보도를 건널 때면 파란 불과 함께

    중앙일보

    1973.02.20 00:00

  • 천연 동·식물의 보고…세계적인 관광지 감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은 5일 민통선 인접지역 자연종합학술조사결과 3개의 천연보호구역과 2개의 천연기념물을 지정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국자연보존연구회(회장 강영선·서울문리이대교

    중앙일보

    1972.12.08 00:00

  • 사라져 가는 야생동물

    산업의 급격한 성장은 물론 세계적인 도시화의 속도가 생활환경을 크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많은 생물들이 멸종의 위기에 있다고 야생 보존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야생동물 보존가들의 성

    중앙일보

    1971.11.22 00:00

  • 자연의 실체-울릉도

    이번 한국자연보존연구회가 실시한 울릉도 학술조사는 문화공보부의 위촉에 의한 것이므로 천연기념물의 보존실태를 파악하여 과학적인 보존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천연자원의 개발방도를 강구하려

    중앙일보

    1971.08.23 00:00

  • 국학 20년…그 집성의 한계|『한국 문화사대계』완간서 드러난 문제점

    한국학 정리의 기초 작업으로 이루어진 고대민족문화연구소 간행의 한국 문화사대계 전6권이 연초에 완간을 보았다. 10년을 걸려 30여 만장의 원고를 수록한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학을

    중앙일보

    1971.02.04 00:00

  • "미답의 보고"|본사·서울대 합동조사단|동해안…해양자원조사 첫 성과

    【속초=김현방·김정찬 기자】동해안에 대해서 최초의 학술적「메스」를 가하기 위해 나선 중앙일보사와 서울대학교 합동 해양자원 조사단은 작업 2일만에(22일) 해양생물 분포 상에 귀중한

    중앙일보

    1970.08.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