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미래의 전염병" 로리 가렛 지음

    원제 『The Coming Plague』.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가장 마지막 지점에 위치한 생물은 사람이다.호랑이와 사자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라고 질문을 던지는 것도 맹수를 우리에

    중앙일보

    1994.12.10 00:00

  • 항생제 오.남용 위험수위-폐구균 페니실린 내성률 세계최고

    항생제 남용으로 인해 국내의 폐구균(肺球菌)에 대한 페니실린내성률이 94년 현재 86%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생제 오.남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이같은

    중앙일보

    1994.11.23 00:00

  • 6.녹즙

    보사부.공진청.소비자보호원등 6개 기관 관계자로 구성된 실무소위원회는 시판되고 있는 17종 녹즙기 전부가 무해하다고 최근판정한 바 있다.그 판정의 주역인 공진청은 녹즙이 음용수기준

    중앙일보

    1994.10.21 00:00

  • 5.항생제 남용

    얼마전 암.당뇨.심장병 등 만성병엔 아직 뾰족한 완치수단을 갖고 있지 못한 현대의학이 그래도 큰 소리 칠수 있는 분야가 항생제를 이용,폐렴.결핵.레지오넬라균原병등의 완치였는데 그것

    중앙일보

    1994.10.07 00:00

  • 2차대전이후 전염병 최악-페스트.콜레라등 급증

    인도에서 폐(肺)페스트가 창궐하는 가운데 콜레라.장티푸스등 인류가 이미 정복한 것으로 판단한 고전적 전염병들이 세계 각지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국제보건기구(WHO)는 민족및 인

    중앙일보

    1994.09.30 00:00

  • 비리耐性만 키우는 對症대책

    16일 발표된 공직자부조리 근절 대책은 공무원비리 예방과 응징을 위해 동원 가능한 수단이 거의 망라돼 있을 만큼 서슬퍼렇다. 정부발표대로라면 이제 감히 부정과 부패에 눈을 돌릴 공

    중앙일보

    1994.09.17 00:00

  • 킬러세균 대반란 인간을 위협한다-타임紙 최신호 경고 특집

    연인과 달콤한 사랑을 나누면서도 상대방의 에이즈감염 여부를 의심해야 하는 것이 오늘날 미국이 안고 있는 고민이다. 그러나 앞으론 햄버거를 먹는 것도,유람선을 타거나 숲속을 거니는

    중앙일보

    1994.09.16 00:00

  • 살파먹는 박테리아 연쇄상구균이란

    ◇연쇄상구균(連鎖狀球菌.Streptococcus) 공모양으로된 지름 1㎛(1천분의 1㎜)내외의 세균이 십수개씩 사슬모양으로 연결됐다 해서 연쇄상구균이라 부른다.자연계서는 토양.물.

    중앙일보

    1994.05.27 00:00

  • 살파먹는 박테리아?/증상­치료­주의점/전문의 진단

    「살을 갉아먹는」 박테리아로 온통 난리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질병을 인체주변에 흔한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의해 드물게 생기는 괴사성 근막염으로 추정,이 병은 신종 질병이 아니고

    중앙일보

    1994.05.27 00:00

  • 살파먹는 박테리아-증상.치료.주의점 전문醫진단

    「살을 갉아먹는」박테리아로 온통 난리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질병을 인체주변에 흔한 용혈성 연쇄상 구균에 의해 드물게 생기는 괴사성 근막염으로 추정,이 병은 신종 질병이 아니고 이미

    중앙일보

    1994.05.27 00:00

  • 병원이 병만든다(특진 중병앓는 의료현장:16)

    ◎치료중 균감염… 숨져도 감추기 일쑤/손씻기등 기본만 지켜도 큰효과 심장수술을 받은 김모씨(40·여)는 수술 사흘뒤 열이 심하고 혈압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심장판막이 좁아져 혈액순

    중앙일보

    1994.05.26 00:00

  • 슈퍼 세균이 쳐들어 온다-항생제에 耐性가진 돌연변이 속출

    항생제를 이겨내는 「내성을 가진 세균들」이 많아지는 바람에 지금까지 간단하게 처리됐던 세균성 질환에 의해 목숨까지 잃는 사람이 늘어나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세균은 항생제에 의해

    중앙일보

    1994.05.11 00:00

  • 하루 한번 먹는 藥 개발 붐

    하루 3~4번씩 시간에 맞춰 약을 먹기란 여간 번거롭지 않다.하지만 약은 6~7시간동안만 효과를 갖기 때문에 시간을 지켜약을 먹지 않으면 효과를 제대로 거둘수 없다. 특히 병균을

    중앙일보

    1994.03.26 00:00

  • 중독성약품관리 구멍|청소년 남용"위험수위〃

    오·남용으로 중독증을 일으켜 국민건강을 크게 해칠 수 있는 약품들이 국내 약국에서 자유롭게 판매돼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코카인·헤로인 등 마약류나 히로뽕과 같은 중추신경자극제

    중앙일보

    1993.05.27 00:00

  • 의료계가 진단한 한국병

    ◎“악성결핵균(부정부패) 감염에 백혈구(사정기관) 감소증”/간(관)에는 지방(뇌물)끼어 지방간증세/약물치료(사정)는 그동안 내성만 키워/채식(깨끗한 정치)하니 위장(기득권층) 공복

    중앙일보

    1993.04.16 00:00

  • 「두툼한 약봉지」 처방않는 미국(특파원 코너)

    ◎“영리보다 국민건강” 의료관행 철저 최근 심한 기침을 동반한 감기로 처음 미국 병원을 찾아갔다가 우리와는 너무 다른 몇가지 제도상 차이를 경험했다. 증상이 심한 것 같아 한국에서

    중앙일보

    1992.08.02 00:00

  • 산재 지정 의료 기관 과잉 진료 사례 많다

    산재 지정 의료 기관들이 산재 환자의 요양 기간을 적정 기간보다 길게 잡거나 약을 지나치게 많이 쓰는 등 과잉 진료를 일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부터 노동부 산하 지방 노

    중앙일보

    1992.06.01 00:00

  • 북경 독감기승|연말연시 과음·과로 피하라

    전국에 독감경보가 내려진 가운데 일부 병원에는 증상이 심한 호흡기질환 환자가 평소보다 60%이상 많이 몰리는등 유행성 독감이 아시아 일부지역과 미국등에 크게 번지고 있다. 특히 이

    중앙일보

    1991.12.18 00:00

  • 전립선염

    얼마전 한국성병학회 연례학술대회가 있었는데 그 주제가 「전립선염, 과연 불가해한 질병인가」였다. 왜 「불가해」란 단어를 인용했을까. 그 이유는 전립선염이 그야말로 똑떨어지는 증상이

    중앙일보

    1991.11.27 00:00

  • 병원 수술실 세균 무방비/서울대 병원연조사

    ◎환자 감염 사망사고 위험/72%가 공기청정기 없어/절반이 주1회청소 무시/마취실등과 분리 안된곳도 38% 일부 대학병원급을 포함한 중·대형 병원의 수술실이 각종 세균 감염에 무방

    중앙일보

    1991.10.17 00:00

  • 잇몸질환 “붙이는 항생제” 개발/서울대 치과대 정종평교수팀

    ◎항균 극대화… 인체무해 효과 빨라 잇몸질환 치료용으로 잇몸에 불이는(패치형) 항생제가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이로써 그간 항생제 복용으로 인해 빚어졌던 부작용을 줄일수 있을뿐더

    중앙일보

    1991.10.06 00:00

  • 남용하면 세균만 더 강해져 역효과-항생제

    전염병으로 희생되는 수많은 사람을 보아온 알렉산더 플레밍은 각종 세균을 실험실에서 배양하며 여러 가지 연구에 몰두하고 있었다. 조심스럽게 세균을 배양해도 불청객인 곰팡이가 침범해

    중앙일보

    1991.10.02 00:00

  • 실내낚시터 물고기에 항균제

    ◎일부 업소서 투여… 많이 먹으면 유해 최근 도심 레저시설로 인기를 끌고 있는 실내낚시터의 물고기에서 항균제가 검출되고 낚시터 물의 수질이 나쁠 뿐 아니라 대중음식점 허가도 없이

    중앙일보

    1991.04.07 00:00

  • 제4세대 항생제 첫 개발/럭키 김용주박사팀 개가

    ◎기존 제품보다 5∼10배 살균력/3년간 로열티수입 2백억 예상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강력한 항균력을 지닌 최신형 항생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주)럭키정밀화학연구소 김

    중앙일보

    1991.01.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