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남 언론대표로 첫 방북 본사 홍석현사장 귀국

    중앙일보 홍석현 (洪錫炫) 사장이 7박8일에 걸친 북한 방문을 마치고 29일 베이징 (北京) 을 경유해 귀국했다. 남한의 언론사 대표로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방북 (訪北) 길에 나

    중앙일보

    1998.08.31 00:00

  • “남북 문화재위 구성을”방북 홍라희 호암미술관장

    북한측과 문화교류협력사업을 논의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 중인 洪羅喜 호암미술관장은 23일 평양에서 張正信 조선중앙역사박물관장을 만나 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과 고구려 고분벽화

    중앙일보

    1998.08.25 00:00

  • [북녘은 지금]중.백두서 금강까지 7도 산하 누볐다

    세차례에 걸친 우리의 방북 답사활동은 '산 넘고 물 건너' 북한 전역을 가로지르는 대장정이었다. 북녘의 동서남북을 종횡으로 누볐다. 동으로 원산 송도원과 금강산, 서로 구월산과 정

    중앙일보

    1998.07.28 00:00

  • [북녘스케치]하.남·북 원로작품들 분위기까지 닮아

    15평쯤 돼 보이는 선우화백의 연구실 겸 화실 정면에는 사실적 수묵담채의 금강산 풍경 (1백호 정도) 과 흰 저고리에 검은 치마를 입고 있는 모습의 김정숙 초상화 (60호 정도)가

    중앙일보

    1998.07.25 00:00

  • [북녘산하 북녘풍수]19.인민대학습당과 주체탑

    평양은 수성 (水星) 의 땅이다. 이익의 '성호사설 (星湖僿說)' 천지문 '지경 (地鏡)' 조에는 고려 선종 3년 평양 남쪽 거리에 지경이 나타나 70여 보 밖에서 보면 물과 같은

    중앙일보

    1998.06.27 00:00

  •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22.조선중앙력사박물관 상

    오늘은 박물관에 가는 날이다. 외국 여행을 해본 분은 누구나 경험했듯이 한 도시의 관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박물관이고, 생각 밖으로 힘든 것이 박물관 관람이다. 그래서 박물관

    중앙일보

    1998.06.03 00:00

  •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16.문흥리 고인돌

    우리는 북한을 방문하기 앞서 미리 답사 희망 유적지를 구체적으로 명기해 신청했다.다만 고인돌만은 "평양 인근의 고인돌" 이라고 포괄적으로 제시했다.북측 안내단은 일정표를 짜면서 이

    중앙일보

    1998.04.15 00:00

  • [유홍준의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8.보현사 8각13층석탑

    향산호텔에 여장을 풀고 우리는 당연히 제일 먼저 보현사 (普賢寺) 를 찾아갔다. 묘향산 보현사는 북한에서 가장 큰 절일뿐만 아니라 북한 불교의 총림 (叢林) 격이었다. 남한으로 치

    중앙일보

    1998.02.18 00:00

  • [북한 문화유산 답사기]6.정릉사…동명왕願刹 첫확인

    동명왕릉 주차장에 도착해 차에서 내려 관람객 진입로를 돌아서는데 길가에 작은 비석 하나가 곱상한 연꽃무늬 돌받침 위에 얹혀 있는 것이 보였다. 조선시대에 세운 하마비 (下馬碑) 였

    중앙일보

    1998.02.04 00:00

  • [인터뷰]'북한 문화유산 답사기'연재하는 유홍준 영남대 박물관장

    15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둔 17일 중앙일보는 분단 52년만에 처음으로 북한 문화유산을 취재하기 위한 방북 (訪北) 조사단이 북경을 거쳐 평양으로 떠났다는 기사를 1면 머리로 보

    중앙일보

    1997.12.22 00:00

  • [유홍준교수 방북인상기]상.평양의 문화유산들

    이 시대의 베스트셀러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전3권) 를 통해 독자들에게 이 땅의 자연과 민족문화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유홍준 (兪弘濬) 영남대 교수가 지난 9월2

    중앙일보

    1997.12.17 00:00

  • 북한 미술

    평양(平壤) 한복판 김일성(金日成)광장에 있는 조선미술박물관의 2층 마지막 전시실에는 해방후 남한에서 활동하다 작고한,혹은 활동하고 있는 화가들의 여러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김은호

    중앙일보

    1997.05.29 00:00

  • 북한 문화재 엉터리 복원.훼손 심각

    북한의 국보급 문화재 상당수가 고증을 제대로 하지 않은채 엉터리로 복원되거나 그대로 방치,훼손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이호관(李浩官)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이 9월3일부

    중앙일보

    1996.08.31 00:00

  • 日아쓰유기 김정일시대 북한미술 전망

    49년의 독재기간동안 북한 전역을 자신의 동상과 초상으로 뒤덮었던 김일성을 이어 북한 최고권력자로 부상한 김정일은 북한미술을 어느쪽으로 끌고갈 것인가. 영화와 음악등 예술분야 전반

    중앙일보

    1994.08.01 00:00

  • 북한 문화재 반출(분수대)

    북한지역에는 한민족 5천년의 찬란한 역사를 일깨우는 문화재와 유물들이 수두룩하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7세기경 고구려 벽화고분인 강서3묘를 비롯해 동명왕릉·공민왕릉·덕흥리총같은 것들

    중앙일보

    1993.02.15 00:00

  • 팔순 앞두고 『전작도록』준비 운보 김기창 화백

    한국화단의 거목 운보 김기창 화백의 8순(93년10월)을 앞두고 그의 작품을 망라하는 『운보 전작도록』의 발간이 추진된다. 전5권(각권 3백24쪽, 가로·세로 30㎝)으로 발간될

    중앙일보

    1992.05.23 00:00

  • 남북 미술교류 물꼬튼다

    올해는 남북 미술 교류의 물꼬가 트일 것인가-. 최근 여러 창구와 방법을 통한 남북 미술의 만남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일본·중국 등 제3국가에서 남북의 미술 작품을 한자리에 선

    중앙일보

    1992.03.12 00:00

  • 대동강변서 첫 개인 미전

    ○…평양 대동강변에 위치한 「조선미술박물관」에서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례적으로 개인미전이 일리고 있다고 북한의 중앙방송이 2일 보도했다. 이 미전은 유영관이란 화가의 개인미전인데

    중앙일보

    1991.10.04 00:00

  • 월북 화가 배운성 40년만에 "햇빛"|『월간미술』 4월호에 작품 등 발굴 특집

    월북 화가 배운성-. 그 동안 베일에 가려져 왔던 그의 생애와 업적이 40년만에 본격적으로 조명돼 관심을 모은다. 배 화백은 우리 나라 최초의 유럽 유학생으로 유럽 화단에서 활약했

    중앙일보

    1991.04.03 00:00

  • 고구려 벽화 훼손 부분 "창작 모사"|『월간 미술』 7월호, 「월북 화가 정현웅의 생애와 작품」 특집

    화가 정현웅( 1911∼76년). 지금은 함께 활동했던 몇몇 원로 화가들이나 그를 어렴풋이 기억할 뿐 미술계에서는 잊혀져 가는 「월북 화가」다. 그는 일제시대인 27년, 불과 16

    중앙일보

    1990.07.03 00:00

  • 공민왕능 고분벽화에 해·별·짐승머리 그려져|결혼식 현대화로「전통혼례」는 보기 힘들어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위치한 공민왕릉은 벽화고분으로 고려왕릉 가운데 대표적인 무덤이라고 북한의 중앙방송이 21일 보도했다. 공민왕릉인 현능(1372년)과 노국공주의 무덤인

    중앙일보

    1988.08.31 00:00

  • 「기독교 역사화전」 열고 있는 김학수 화백

    풍속화의 대가 혜촌 김학수 화백(66·시온감리교회 장로)이 한국 기독교 선교 1백주년 기념으로 롯데 미술관에서 11월 4일까지 「한국 기독교 역사화」와 「예수 성화전」을 열고 있다

    중앙일보

    1985.10.29 00:00

  • (5)관식·불상등 보잘 것 없어

    북한의 금속공예부문 문화재는 도자기와 마찬가지로 한국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빈약하다. 천마총·98호 고분등의 금관과 무령왕릉 금관식같은 한국의 찬란한 신라·백제금관이나 각종 장

    중앙일보

    1981.12.08 00:00

  • (4)회화·도자|도자기는 한국의 지방박물관 수준

    북한문화재의 도자·회화부문은 질·양면에서 한국과는 비교조차 안될 정도로 빈약하다. 특히 고려청자·이조백자등의 도자기는 모두를 합쳐도 한국의 1개 지방박물관소장 수준에도 못 미친다.

    중앙일보

    1981.12.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