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8)양돈

    국민소득이 1인당 l천 달러에 육박하면서 육류소비가 급격히 늘어, 부족사태를 빚고있다. 작년에는 쇠고기 8천t을 수입하고 돼지고기 수출을 억제했는데도 1년내 공급이 달려 아직도 육

    중앙일보

    1978.03.23 00:00

  • (107)시비

    나무에도 비료를 주어야 한다. 정부도 76년부터 조림용 비료를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비료를 만능으로 생각하고 여기에만 의존하는 것은 지극히 위험한 생각이다. 우리의 토양조건을

    중앙일보

    1978.03.15 00:00

  • 양송이 공장서 퇴비더미 무너져

    【남원】4일 하오 3시쯤 전북 남원군 금산면 상신리 동원물산 양송이공장 D동8호 재배실에서 퇴비를 쌓아놓은 철제받침이 내려앉는 바람에 윤종민씨(25·남원군 송동면 세전리) 등 작업

    중앙일보

    1978.01.05 00:00

  • 이상난동 보리가 웃자란다

    12월 들어 계속되고 있는 이상난동으로 전국 농촌에서는 보리가 평균 4∼5cm나 웃자라 본격적인 겨울철에 접어들었을 때 동해의 우려가 있고 일부지방에서는 높은 습도로 인해 황화현상

    중앙일보

    1977.12.13 00:00

  • 쌀 4천백70만 섬

    시인 「볼테르」는 이런 말을 한 일이 있다. -『한 잎사귀가 자라던 땅에서 두 포기가 자라게 하는 사람은 나라에 봉사하는 자이다.』 이런 사람을 「벤저민·프랭클린」은 『다리에 의지

    중앙일보

    1977.12.06 00:00

  • 감사에 시달리는 말단행정기관

    각급 행정기관의 일선공무윈이 빈번한 감사와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시달리고 있음이 정부조사로 나타났다. 국무총리행정조정실은 현지조사로 「공무원사회 저변층의 실태및 요망사항」을 만들어

    중앙일보

    1977.10.31 00:00

  • 우리의 멋 되살려 자주의 얼을 키운다 전국 민속경연 화보

    정월대보름과 8월 추석 등의 명절에 즐기는 농악의 일종으로 농심놀이·퇴비증산·추수놀이·팔진도 자매놀이·판놀이·여흥놀이 등 다채로운 연기를 보여줬다.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백옥포

    중앙일보

    1977.10.27 00:00

  • (103)조림과 육림(3)

    오동나무는 우리 나라의 기후·풍토에 가장 적합한 대표적인 속성수. 식재 후 7∼8년째부터 간벌 수입을 얻을 수 있어 수익성도 매우 높아 예부터「혼례수」로 인기를 얻고있다. 출산과

    중앙일보

    1977.10.26 00:00

  • (102)조림과 육림(2)

    살구의 원산지는 한국을 비롯, 중국 하북·산동성·남만주일대의 동북「아시아」지대다. 그러나 이제는 세계 곳곳에 살구나무가 없는 곳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구·미주에서는 원산지인 동북아

    중앙일보

    1977.10.20 00:00

  • (101)다각개발·혁신영농을 위한「시리즈」|조림과 육림|

    『헐벗은 산을 푸르게 가꾸자』-. 73년 산림부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된 치산 녹화 10개년 계획은 조림목표 1백만㏊ 가운데 올해까지 84%인 84만3천㏊에 식수를 끝냈다.

    중앙일보

    1977.10.12 00:00

  • 농작물과 어류의 오염

    이제 우리는 천연식품조차도 마음놓고 먹을 수 없는 식품공해의 바다 속에서 살고있음이 속일 보도되고 있다. 참깨·고추·땅콩 등 농작물에서 인체에 해독을 끼치는 「카드뮴」·납 등 중금

    중앙일보

    1977.10.04 00:00

  • (3)달리아

    「달리아」는 꽃의 모양이 다양하고 화려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대중적인 꽃이다. 원산지는 멕시코. 멕시코는 열대지방이지만 멕시코에서의 「달리아」는 해발1천5배그 고지에서

    중앙일보

    1977.07.18 00:00

  • 속성퇴비...20일이면 만든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양질의 퇴비를 만들 수 있는 토양 미생물제(퇴비부식제)가 개발되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응용미생물연구실(실장 배무) 「팀」이 최근 개발한 이 퇴비

    중앙일보

    1977.06.09 00:00

  • (6) - 라일락

    「라일락」은 키가 3m에 달하는 관목으로 잎은 길이가 12cm크기고 「하트」형에 가깝고 아름답다. 가지끝의 흰빛·보라빛 꽃은 늦은봄 훈풍에 감미로운 향기를 실어 보내며 그 향기는

    중앙일보

    1977.04.22 00:00

  • 과학자 학술 대회 2편의 발표 논문

    제4차 국내외 한국 과학 기술자 종합 학술 회의가 7, 8일 이틀동안 KIST에서 열렸다. 기초 과학 19편, 공학 15편 등 모두 34편이 발표된 이번 학술 회의에서 참석자의 관

    중앙일보

    1977.04.08 00:00

  • (81)|새 유실수종의 재배와 전망 용인자연농원 주최 「산지개발 신 전략」세미나

    제2회 산지개발 신 전략「세미나」에서는 유실수개발시책과 재배전망, 축산물의 수급전망과 양돈산업시책 등 두가지를 주제로 강연과 토론이 진행됐다. 「세미나」에서는 이 두가지 문제 중

    중앙일보

    1977.03.03 00:00

  • (79)다각개발·혁신 영농을 위한「시리즈」|축산시범단지(3)|용인자연농원 양돈장

    『개량종 생산보급』『외화획득』『퇴비공급』-. 용인자연농원 양돈장의 3대 목표다. 우리의 양돈역사는 멀리 삼한시대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품종개량에 소홀했기 때문에 재래종 돼지품종은

    중앙일보

    1977.02.12 00:00

  • 미가 재배기술의 혁신

    현 도수목표인 10a당 7백∼8백kg 쌀증산은 앞으로의 인구증가와 제한된 재배면적등으로 보아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증산을 위한 새로운 차원의 품종개량과 재배기술의 확립

    중앙일보

    1976.12.10 00:00

  • 전작물 재배기술 개선

    전곡의 생산추이는 해마다 감소의 경향을 보여 65년 2백만ha이던 재배면적이 작년에는 1백50만ha로 줄어들었다. 양곡자급을 위해서는 밭곡식의 증산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증산

    중앙일보

    1976.12.10 00:00

  • 가마니 무게 통일했으면…

    가마니의 중량이 2km에서 5·5km까지 큰 차이가 있어 농산물 거래에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내용물인 쌀의 용량이 제각기 틀려 거래상 모순이 생깁니다. 농민들은 무거운

    중앙일보

    1976.12.06 00:00

  • (73)쌀 증산왕 양해섭씨

    『한 때 농사를 포기하려고까지 했다가 농촌지도소의 끈질긴 권유와 영농지도에 힘입어 오늘의 영광을 차지했습니다.』 올해 전국미곡증산 왕으로 선정된 양해섭씨(63·전북 금제군 성덕면

    중앙일보

    1976.12.03 00:00

  • (72)|양돈과 산지 개발|김상철

    가축은 그 종류가 많다. 많은 가축 중에서 특히 돼지는 가장 대표적인 가축이다. 그 이유는 돼지의 경제적인 가치에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사료를 고기로 섭성하는 점에 있어서

    중앙일보

    1976.11.26 00:00

  • 열대과실「파파이아」재배 성공|통영군 광도면 최덕수씨 6년만에 첫 수확

    아열대식물인「파파이아」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재배돼 겨울식단에 기호품으로 오르고 있다. 경남 통영군 광도면 죽림리 홀리 부락 최덕수씨(41)는 10년 전부터「파이내플」등 열대식물을

    중앙일보

    1976.11.19 00:00

  • (71)|은행나무 이용과 재배|조무연 (임업 시험장 연구관)

    은행나무 (Ginkgo BilobaL)는 한과·한속·한종이며 원래 중국 원산으로 우리 나라에 도입 된지는 1천여년에 달한다. 현존하는 거목들은 충북과 전북을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중앙일보

    1976.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