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76화 호맥인맥|두가지 기록

    내게 조그마한 복이 있었든지, 화가의 이름 덕이었는지 몰라도 전쟁말기의 어려운 시기를 여주에서 군수·경찰서장·판사들과 어울려 별 어려움 없이 지냈다. 그 중에서도 여주경찰서 유촌경

    중앙일보

    1982.01.13 00:00

  • NTV의 용기

    일본의 민간TV방송인 NTV(일본TV)가 최근 한 다큐멘터리 프로를 통해 일제의 한국침략사를 비교적 솔직하게 파헤쳐 화제가 되고있다. 일본은 일의대수의 가까운 이웃나라요, 진실을

    중앙일보

    1982.01.13 00:00

  • 「사할린」 한국교포생활 그린 영화

    □…2차대전중 일본에 의해 강제로 「사할린 에 징용돼간 4만3천여명의 한국인 생활을 그린 『망각의 해협』이란 반기록영화가 완성돼 금주말 동경과 「요꼬하마」에서 상영될 예정이다. 이

    중앙일보

    1978.02.04 00:00

  • 일제때 징용으로 끌려간 양칠성씨 여동생, 33년만에 오빠소식 들어 체포돼 총살… 전우인니인 추천으로 영웅추숙

    「인도네시아」에서 「독립의 영웅」으로 추앙을 받고있는 외국인 세병사-. 「인도녜시아」국립묘지에 잠들고 있는 이 세병사는 모두 일본인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그중 1명이 일제때 징용

    중앙일보

    1978.01.25 00:00

  • 무명동포의 유해

    「메리애나」군도는 일명 「라드론」군도라고도 한다. 태평양에 자리잡고 있는 이 군도는 「필리핀」에서 동쪽으로 1천5백「마일」쯤 떨어져 있다. 이 섬들은 1521년 「포르투갈」의 탐험

    중앙일보

    1977.05.16 00:00

  • 해방직후 재일 한국인 백66만명 백4만3천여명이 귀국을 희망

    【동경=김경철특파원】제2차 대전이 끝난 직후 일본땅에 한국인은 모두 1백66만8천명이었음이 최근에 공개된 일본외교 문서에서 밝혀졌다. 이는 일본외무성이 지난달 31일부터 일반공개

    중앙일보

    1976.06.02 00:00

  • 조총련계 교포의 가족 재회

    추석을 며칠 앞두고 조총련계 재일 동포 약1천명이 성묘차 계속 모국에 돌아오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해방 30년만에 처음으로 고향 땅에 발을 디디는 사람들이다. 일제 때 징용과 징

    중앙일보

    1975.09.18 00:00

  • 한국인 원폭 피해자

    인류사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발명은 획기적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인간의 지적 능력을 극대화한 과학적 성과로서 평가될 놀라운 사실이었다. 그러나 원폭 실험에 성공했을 때 과학자 「오

    중앙일보

    1975.08.08 00:00

  • 광복30주년 맞아 40년대 비장사진공모|역사의 현장을 「영원한 기록」으로

    중앙일보·동양방송은 광복30주년을 맞아 독자와 더불어 해방전후의 고초와 감격을 다시한번 되새겨보기 위해 당시의 사진을 공모, 게재하고자 합니다. 개인이 비장한 사진을 영원한기록으로

    중앙일보

    1975.07.18 00:00

  • 광복 30주년 맞아 1940년대 비장사진 공모

    중앙일보·동양방송은 광복30주년을 맞아 독자와 더불어 해방전후의 고초와 감격을 다시 한번 되새겨보기 위해 당시의 사진을 공모, 게재하고자 합니다. 개인이 비장한 사진을 영원한 기록

    중앙일보

    1975.06.27 00:00

  • 『구 식민지자료 조선 편』-자료 재 출판 싸고 일 정부·출판사 법정시비 3년

    【동경=박동순 특파원】한국을 비롯, 대만 「사할린」·중국·남태평양제도 등 구 식민지역에서의 일본인의 활동상황을 해방직후인 47년 말 일본대장성이 주관, 집대성한 11편 37권의 방

    중앙일보

    1975.04.14 00:00

  • (1)프롤로그|해외의 한국인 모두 80만-70년 현재

    고국을 떠나 이역에 가서 산다는 것은 하나의 도피일수도 있고 새로운 출발일 수도 있는 행위다. 그러나 그 어느 경우든 살을 깎아 내리는 고행인 것은 마찬가지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중앙일보

    1974.11.11 00:00

  • 채찍속에 노?노동…생지옥 지하갱

    【동경=박동순특파원】2차대전중 일본 최대의 탄광지대인 구주지방에 끌려가 인간이하의대우와 흑사를 당한 징용노무자들의 비극적인 삶이 종전29년만에 적나라하게 파헤쳐져 보고됐다. 이 종

    중앙일보

    1974.05.22 00:00

  • (41)제9화 고균 김옥균의 유랑 행적기(3)

    김옥균이 첫발을 디딘 곳은 일본 땅 구주의「나가사끼」. 이후 10여년간 도합 네 차례(망명포함)에 걸쳤던 일본체류기간 중에 그의 발길은 일본 전토를 거의 빠짐없이 누볐다. 뜻을

    중앙일보

    1973.12.25 00:00

  • 사할린 교포 사망자 2백85명·생존자 천25명 천3백명 명단 판명

    【대구】「사할린」에 끌려간 우리 동포들 가운데 새로 사망자 2백85명과 생존자 1천25명 등 총 1천3백10명의 명단이 더 밝혀졌다. (명단 8면에) 이로써 지금까지 총 4만 명으

    중앙일보

    1973.12.10 00:00

  • 끈질긴 추적벌인 일인 심천 종준씨 당시 한국인 책임자 만나러 내일 내한

    「미쓰비시」 중공업공장근무 2백 명은 원폭희생 해방되던 1945년9월 징용에서 풀려 귀국 도중 태풍을 만나 침몰 사망한 1천 여명의 한국인 노무자들이 일본「쓰시마」(대마도)와「이끼

    중앙일보

    1973.11.19 00:00

  • (22)제2장 일본 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

    (3) 북해도는 1년 중 거의 절반을 엄동설한에 묻혀 사는 곳이다. 북위45도6분부터 41도5분 사이를 차지한 이 땅은 우리 나라 함경북도 북단으로부터 멀리 만주와 「시베리아」의

    중앙일보

    1973.10.16 00:00

  • 2차 대전 때 일본에 끌려간 한국인 노무자|이렇게 혹사당했다|상 조사단의 보고에 나타난 그 가공할 참상

    【동경=박동순 특파원】제2차 대전 중징용이란 이름으로 북 해도에 끌려가 강제 노역을 당한 한국인 노무자들의 혹사 실태가 일본의「북해도 한국인 강제 연행 진상 조사단」(단장 미기 일

    중앙일보

    1973.05.15 00:00

  • 유황도의 악몽

    세계 지도상에서 유황도는 한 점으로 나타난다. 일본의 동경만에서 동남방으로 한참 내려가면 태평양 한 가운데에 「이오지마」(Iwo Jima)가 있다. 「괌」도와 동경만의 중간쯤이다.

    중앙일보

    1973.03.13 00:00

  • 유황도 격전서 구출되는 한국인 노무자-화보

    태평양 전쟁 말기의 최대 격전지로 1945년 2월 19일부터 3월17일까지 약 한달 동안 미·일 양군에서 4만9천6백 여명의 전사상자를 낸 유황도(이오지마) 전투의 기록영화가 28

    중앙일보

    1973.03.12 00:00

  • 「사할린」 30년의 공백

    해방 전인 43년에 「사할린」에 노무자로 건너갔다 억류 생활 30년만에 일본에 돌아온 홍만길씨는 현재 「사할린」에 살고 있는 4만명의 한국인 중 대부분이 고국으로 돌아가기를 열망하

    중앙일보

    1973.02.05 00:00

  • 일 경에 잡힌 「원정 금고털이」

    활선어수출 선원으로 가장하여 일본에 원정 범행 갔다 일본경찰에 붙잡힌 금고털이 송창환(55·서울 성북구 상계동173의785)은 상습절도의 해외원정이라는 보기 드문 기록을 세웠다.

    중앙일보

    1972.03.18 00:00

  • 『사이공』의 한국인 2세 자매 뱃사공

    【사이공=신상갑 특파원】「사이공」의 가장 화려한 거리「뚜도」가 끝나는 곳에 자리잡고 있는「프랑스」풍의「머제스틱·호텔」에서 길을 건너 조금 가면 유명한 수상 중국요리점「미깡」이 있다

    중앙일보

    1971.10.16 00:00

  • (69)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이 재1항공군 사령관에 취임한 것은 1943년7월20일이었는데 태평양전쟁의 양상은 더욱더 가열해져서 일제는 그후 꼭2년만에 무조건항복을 하여 8·15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중앙일보

    1970.07.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