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상묵 교수 인터뷰 “나를 살린 건 줄기세포 아닌 IT 장비”

    이상묵 교수 인터뷰 “나를 살린 건 줄기세포 아닌 IT 장비”

    교통사고로 목 아랫부분이 마비된 이상묵 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에서 어떻게 강의 준비와 연구 활동을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 교수가 이마에 ‘스티커 센서’를 붙이고 고개를 움직이면

    중앙일보

    2008.03.05 04:27

  • ‘서울대의 스티븐 호킹’ 이상묵 교수 특별한 수업

    ‘서울대의 스티븐 호킹’ 이상묵 교수 특별한 수업

    4일 오후 1시 서울대 자연대 강의실. 전동휠체어를 탄 중년의 남자가 들어왔다. 그의 몸은 벨트로 휠체어에 고정돼 있다. 팔과 다리 역시 끈으로 묶인 채였다. 그가 움직일 수 있는

    중앙일보

    2008.03.05 03:58

  • 대학 영재교육원 - 창의적 해결력서 결판난다

    대학 영재교육원 - 창의적 해결력서 결판난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전형이 마무리됐다. 2004년 4만2313명, 2005년 6만475명이 응시했던 국가영재교육원은 2008학년도에는 총지원자수가 10만명에 육박했다. 영재교

    중앙일보

    2008.02.19 16:08

  • [JERIReport] 한국 ‘과기행정 업그레이드’ 일본서 배워라

    [JERIReport] 한국 ‘과기행정 업그레이드’ 일본서 배워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정부조직·기능 개편안에서 가장 큰 관심을 끄는 것이 ‘인재과학부’와 ‘지식경제부’의 창설이다. 그대로 된다면 국가 과학기술행정체제와 국가 연구개발

    중앙일보

    2008.01.21 18:40

  • [분수대] 고리 1호기

    [분수대] 고리 1호기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는 양성자·중성자로 이뤄진 핵과 그 주변을 도는 전자로 이뤄진다. 우라늄 235나 플루토늄 239의 핵에 중성자를 충돌시키면 핵이 쪼개지고 여러 개의 중성자가

    중앙일보

    2008.01.17 20:49

  • [시론] 기상 전문인력 아웃소싱 필요

    기상청이 지난 주말 중부지방 강설 예보를 잘못해 곤욕을 치르고 있다. 기상 관련 기술의 전반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예측기술의 한계 때문에 국지성·지역성에 크게 좌우되는 강수예보의

    중앙일보

    2008.01.15 20:39

  • 환경머니 860억 달러 … 한국엔 기회

    환경머니 860억 달러 … 한국엔 기회

    4일부터 유엔 기후변화협약 총회가 열리고 있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11일 환경운동가들이 펭귄 차림을 하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지구의 온도 상승으로 남극에 서식 하는 새들이

    중앙일보

    2007.12.12 04:57

  • 1층 찍고, 4층 강의실까지 … 침팬지 엄마 '스쿨 어택'

    1층 찍고, 4층 강의실까지 … 침팬지 엄마 '스쿨 어택'

    세계적 침팬지 연구가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가 15일 이화여대 강의실에서 학생들을 상대로 특강을 하고 있다. [이화여대 제공] 15일 오후 1시 이화여대 학관 교양 강의실

    중앙일보

    2007.11.16 05:03

  • [Family키즈] 손에서 손으로 건너온 책 "이곳에서 새로 태어났네"

    [Family키즈] 손에서 손으로 건너온 책 "이곳에서 새로 태어났네"

    아름다운 가게가 운영하는 헌 책방 ‘뿌리와 새싹’에 놀러온 유지현·지은(왼쪽부터) 자매가 직원(맨 오른쪽)으로부터 책방 이용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김형수 기자]“책도

    중앙일보

    2007.11.11 18:52

  • [NIE] 나무도 ‘노인병’ 앓아요

    [NIE] 나무도 ‘노인병’ 앓아요

    나무도 주변 환경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고, 아픔도 느낀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서울 여의도공원 한국 전통의 숲에서 대기오염 등으로 허약해진 나무가 영양제 주사를 맞고 있다.

    중앙일보

    2007.10.23 05:24

  • 여름 장마보다 무서운 가을 장마

    여름 장마보다 무서운 가을 장마

    남부지방 주민들이 수확철인 9월에 장마철보다 더 많은 비가 내려 고통을 받고 있다. 청명한 9월이 우기(雨期)로 바뀐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올해는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중앙일보

    2007.09.18 05:00

  • [시론] 장마인가 호우인가

    [시론] 장마인가 호우인가

    올해는 장마가 끝났다는 기상청의 공식 발표에도 불구하고 8월 들어 많은 비가 내렸다. 이 같은 이상 강우는 일상생활이나 경제사회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

    중앙일보

    2007.08.20 20:11

  • 비 속 열대야 '습기이불 효과' 로 푹푹

    비 속 열대야 '습기이불 효과' 로 푹푹

    여름 날씨에 대한 상식이 파괴되고 있다. 낮에는 비 때문에 기온이 상대적으로 오르지 않다가 저녁때 열대야가 나타나고 있다. 이제 겨우 8월 중순인데 이미 예년에 여름 내내 발생한

    중앙일보

    2007.08.17 04:36

  • 장마 대신 우기로?

    장마 대신 우기로?

    기상청이 여름철에 비 내리는 시기를 '우기(雨期)'로 구분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여름 비의 양이 많아지고, 장마가 끝난 뒤에도 비가 계속 내리는 한반도 기

    중앙일보

    2007.08.14 04:36

  • 장마가 다시 왔나

    3~4일 중부지방에 퍼부었던 집중호우가 5~6일엔 남부지방까지 확대됐다. 비구름은 다시 북으로 이동해 7~8일 중부지방에 큰비를 내릴 전망이다. 11일에도 또 한 차례 비가 예고된

    중앙일보

    2007.08.07 04:34

  • 장호완 교수 '개천에서 용 나기' 정책 반발

    장호완 교수 '개천에서 용 나기' 정책 반발

    "소외 계층의 대학 진학률을 높이려면 공교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 그게 교육 문제의 핵심이다." 서울대 장호완(지구환경과학부.사진) 교수협의회장은 27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노

    중앙일보

    2007.06.28 04:26

  • "총장들 불러모아 면박 … 현 정부 근육질적 교육관 드러나"

    서울대 장호완(지구환경과학부) 교수협의회장은 27일 "토론을 빙자한 코미디였다"고 말했다. 전날 있었던 노무현 대통령과 대학총장들 간 토론회를 두고 한 말이다. 장 회장은 이날 오

    중앙일보

    2007.06.28 04:01

  • [내생각은…] 기상위성 전문인력 양성 서둘러야

    [내생각은…] 기상위성 전문인력 양성 서둘러야

    우리나라가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의 집행이사국으로 선출됐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1904년 목포에 한국 최초의 기상관측소가 설립된 이후 발전해 온 우리 기상 분야를

    중앙일보

    2007.06.06 20:52

  • [내 생각은…] 기상 이변 … 물 관리 체계 강화하자

    [내 생각은…] 기상 이변 … 물 관리 체계 강화하자

    이상기상 현상이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결과다. 지난달 서울에서 열린 기상학술 심포지엄에 참석한 영국의 존스 교수는 지구 온난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중앙일보

    2007.04.11 21:11

  • [한반도 아열대] ② 바다사막화(갯녹음)로 어장 초토화

    지금 전 세계는 기상이변으로 온통 몸살이다. 대부분의 학자는 지구 온난화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그 결과 한반도는 아열대 지대로 바뀌고 있다는 이야기가 파다하다. 과연 그렇게 되

    중앙일보

    2007.04.07 10:28

  • 정운찬 "교육부 고등교육서 손떼야"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이 22일 오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소천국제회의실에서 '한국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공개강의를 끝낸 뒤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서울=

    중앙일보

    2007.03.22 18:29

  • "교육부 3불정책이 대학 경쟁력에 암초"

    서울대 장호완(지구환경과학부) 장기발전계획위원회 위원장은 21일 "교육부의 3불정책이 대학 경쟁력 확보에 암초 같은 존재"라고 비판했다. 이날 확정된 2025년까지의 서울대 장기발

    중앙일보

    2007.03.22 04:37

  • [단독입수] 슈퍼태풍 한반도 덮친다

    [단독입수] 슈퍼태풍 한반도 덮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한반도에 상륙하는 태풍의 강도가 점점 세지고 있다. 대재앙 앞에 선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태풍 전문가인 제주대 문일주 교수의 ‘지구 온난화와 슈퍼태풍

    중앙일보

    2007.03.21 18:02

  • 교수 '때 되면 승진' 관행 없앤다

    내부 평가를 통해 대부분의 부교수가 무난히 정교수로 승진했던 서울대의 관행이 없어질 전망이다. 서울대 장기발전위원회는 13일 교수 승진과 정년 심사를 엄격히 하는 내용의 장기 발전

    중앙일보

    2007.03.14 0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