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때 되면 승진' 관행 없앤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내부 평가를 통해 대부분의 부교수가 무난히 정교수로 승진했던 서울대의 관행이 없어질 전망이다. 서울대 장기발전위원회는 13일 교수 승진과 정년 심사를 엄격히 하는 내용의 장기 발전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발전위는 우선 서울대의 조교수와 부교수들이 동료 교수가 아닌 국내외 석학들에게 승진 및 정년 심사를 받도록 했다. 8년 안에 승진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면 교수직을 내놓아야 한다. 이미 정년(65세) 보장 심사를 통과한 정교수에 대해서도 성과에 따라 급여를 차등 지급하는 연봉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교수들에 대한 평가를 해외 석학들에게 맡기는 방식은 지난해 자연대와 공대에서 먼저 시행됐다. 이를 2010년까지 대학 전체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평가위원은 학과별로 10명 이내로 하되 교수들이 실력을 인정하는 해외 유명 대학 교수가 절반 이상 포함돼야 한다. 인문계의 경우 국내 전문가도 포함시키기로 했다. 평가 방법도 논문 수 등 연구 업적에만 국한된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강의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도 실적까지 포함하게 된다.

그동안은 서울대 교수 2명과 다른 대학교수 1명이 교수 승진 및 정년 심사를 담당했다. 하지만 탈락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새 방식이 도입되면 '서울대 교수직은 철옹성'이라는 생각이 깨질 것으로 교수들은 전망하고 있다. 발전위 장호완(지구환경과학부) 위원장은 "국민의 세금으로 유지되는 서울대에서 평가를 벗어난 존재는 있을 수 없다"며 "연구와 강의를 게을리 하는 교수는 설 자리가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발전위는 이 같은 방안을 이달 말 이장무 총장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동국대 오영교 신임 총장도 이날 학교 경영전략이 담긴 '108 프로젝트'를 공개하고 "교수들을 상대로 성과 중심의 누적식 연봉제를 내년에 전면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같은 직급 간에도 연봉 차이가 최고 1000만원이었던 KOTRA의 경우를 참고해 성과급 차등 폭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 총장은 또 "강의 평가 결과가 저조한 교수는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교육을 받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권근영.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