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새 문화시설

    올 하반기중 문화활동의 특징은 대규모 문화공간이 새로 문을 연다는 것이다. 독립기념관·국립중앙박물관·궁중박물관·국립현대미술관 등을 대표적으로 손꼽을 수 있다. ▲독립기념관=8월15

    중앙일보

    1986.07.01 00:00

  • 병풍·복식 등 전통자수 백 50점 수록

    한국자수문화협회(회장 이학)가 자수공예도록『한수문화』를 펴냈다. 85년 5월 한국자수문화협회와 문화방송이 공동 주최한「한국 전통수 명품전」의 출품작과 박물관·사찰 및 개인이 소장하

    중앙일보

    1986.06.12 00:00

  • 첫 조선 통신사전 동경서 오늘 개막

    【동경=최철주 특파원】한일 문화 교류의 역사를 재조명해 보는 최초의 조선 통신사전이 29일 동경 국립 박물관에서 개막됐다. 한국 국립 중앙 박물관과 동경 국립 박물관 및 일본 국제

    중앙일보

    1985.10.29 00:00

  • 「기독교 역사화전」 열고 있는 김학수 화백

    풍속화의 대가 혜촌 김학수 화백(66·시온감리교회 장로)이 한국 기독교 선교 1백주년 기념으로 롯데 미술관에서 11월 4일까지 「한국 기독교 역사화」와 「예수 성화전」을 열고 있다

    중앙일보

    1985.10.29 00:00

  • 조선통신사의 길을 가다(27)

    상오 11시35분에 시즈오까(정강)역을 출발한 국철 도오까이(동해)선 상행열차는 불과 10분만에 취재팀을 시미즈(청수)역에 내려주었다. 시미즈시는 1924년까지도 에지리(강고)라는

    중앙일보

    1985.10.17 00:00

  • 조선통신사전 개최|서울·동경 박물관서

    【동경=연합】한국과 일본의 과거문화교류사료를 모은 『조선통신사전』이 도오꾜(동경)와 서울국립박물관에서 각각 개최된다. 한일국교정상화 20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열리는 이 전시회는

    중앙일보

    1985.10.12 00:00

  • 경북 달성군 가창면 우록동

    경북달성군가창면우록동-. 산자수명한 가창골 깊숙이 들어앉은 1백25가구마을. 87가구 우록김씨가 4백년 뿌리내려 사는 마을이다. 천혜의 요새인 팔조령이 사방을 병풍처럼 둘러싼 이곳

    중앙일보

    1985.09.07 00:00

  • 맥끊긴「금사경」되살렸다

    「금사경」(금분으로 불경을 베끼는 것)재현에 성공한 불교서예가 송파 윤장용씨(59·부산시 남구 남천동 보림선원)가 중앙일보창간 20주년을 기념하는 금사경작품을 제작했다. 순금가루를

    중앙일보

    1985.08.07 00:00

  • 선조의 재능·솜씨 영구보존 의지|과학기술문화재 18점 첫 국보·보물지정

    이번에 문공부가 과학기술문화재를 국가지정 유형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1차로 국보3점, 보물15점을 지정했다. 5천년 역사에서 우리민족은 어느 민족보다 뛰어난창의적

    중앙일보

    1985.08.05 00:00

  • 강호시대 조선통신사| 일 화가그림 처음공개

    【대판=최철주특파원】일본에도(강호)시대 조선통신사의 환영행렬을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이 발견됐다. 일본화가가 그린 이 그림은 26일 오오사까(대판)의 재일동포 신기수씨(청구문화홀

    중앙일보

    1985.06.27 00:00

  • (10)한일국교정상화 20년맞아 다시찾아본 문명의 젖줄

    오까야마의 덴만야버스 터미널에서 우시마도항까지는 급행버스로 1시간 거리였다. 순백의 깨끗하고 맛있는 소금으로 유명한 가시노의 옛 거리를 벗어나 작은 고개를 넘자 우시마도의 긴 포구

    중앙일보

    1985.04.30 00:00

  • 본지 창간 20돌 특별 기획 | 조선 통신사의 길은 가다 | 한일 국교 정상화 20년 맞아 다시 찾아본 문명의 젖줄

    원폭의 도시 히로시마(광도)에서 산요(산양)선 완행 열차를 타고 서남쪽으로 1시간 30분을 달리면 야나이(유정)라는 제법 큰 도회가 나타난다. 여기서 택시로 바꾸어 타고 다시 2O

    중앙일보

    1985.04.09 00:00

  • 『조선시대의 안방세간』 종류와 배치

    조형미와 실용성이 합치된 전통의 격조높은 안방분위기는 어떤것이었을까. 문화재전문위원 맹인재씨는 『조선시대의 안방세간』(『월간문화재』2월호)에서 그분위기를 재현하고 있다. 우선 아랫

    중앙일보

    1985.02.25 00:00

  • 「내성외왕」의 학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가 미국 콜럼비아대학에서 출판되었다. 역자는 위치토 주립대의 「마이클·칼턴」교수. 국내에서도 82년에야 겨우 『퇴계선집』으로 역주되었는데, 미국의 동양학연구

    중앙일보

    1984.12.18 00:00

  • 18세기 평양시지도 일서 발견

    【동경=신성순특파원】l8세기 것으로 보이는 평양시의 목판·색채 고지도가 일본 오오사까(대판)의 한일관계사연구가 신기수씨(53·영상문화협회대표)에 의해 발견돼 귀중한 사료로 평가되고

    중앙일보

    1984.11.13 00:00

  • 조선통신사

    조선과 일본의 근세교린(교린)을 설명하는 자료로 「조선통신사도」가 있다. 최근 일본의 오오사까에서는 한 재일동포가 소장한「조선통신사」의 그림이 공개되어 새삼 그 시절의 소묘를 볼

    중앙일보

    1984.09.05 00:00

  • 소장전에 가짜가 많다

    최근「인기연예인」「고서화」개인이름 등이 붙은 소장전이 이 화랑 저 미술관에서 잇달아 열리고 있다. 이 같은 전시회에 가짜 작품이 걸려있어 애호가들의 손가락질을 받았다. 20∼30년

    중앙일보

    1984.07.13 00:00

  • 7월의 산 가야산|더위 쫓는 계곡피서지로 제격

    여름산 하면 계곡이 아름답고 산세가 수려하며 관광지로 손꼽히는 경남 합천의 가야산 일게다. 가야산하면 해인사, 해인사 하면 가야산이 떠오르게돼 등산과 피서·관광까지 겸할 수 있어

    중앙일보

    1984.07.13 00:00

  • (85)충주박씨

    충주박씨의 시조는 고려중엽 부정을 지냈던 박영. 그는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다섯째 아들 언창(사대왕)의 후손으로 전한다. 시조 영의 8세손 박광리는 고려말 충박의 대표적 인물.

    중앙일보

    1983.11.05 00:00

  • 순조때 그린『천하제도』발견

    조선조 순조때(1800∼1834년)의 우리나라 전체인구와 호구·병마수 총전답 넓이 등을 기록한 조선 8도및 중국·일본전도를 그린 지리지인『천하제도』가m 19 대구에서 발견됐다. 학

    중앙일보

    1983.05.23 00:00

  • 자녀교육열 높은 「글마을」

    경북봉화부양운면 글마을(문촌리)-. 정남향으로 비봉산, 동남향으로 남산, 북향으로 속칭 부처등 능선이 고만고만하게 병풍을 둘러있으며 조선조 태백산사군가 위치했던 천연의 요새. 부처

    중앙일보

    1983.04.16 00:00

  • 남하하는 단풍전선

    단풍전선이 점차 남하하고 있다. 설악산단풍은 지난 9,10일 설악산을 고비로 서서히 내림세. 더구나 올해는 가을 가뭄이 심해 예년에 비해 단풍시즌이 짧았다. 이제부터 각광을 받는

    중앙일보

    1982.10.21 00:00

  • 관광·등산 함께 즐기는 가야산|정상 오르는 길 다양

    가야산(1,430m)은 소백산맥의 지맥인 대덕산 줄기가 동남으로 흐르다가 경남 합천·거창군과 경북 성주군 사이에 빚어놓은 영산이다. 주봉인 상왕봉을 중심으로 두리봉(1,135m)남

    중앙일보

    1982.05.27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377)|제76화 화맥인맥 월전 장우성(96)|예술원 회원들

    오랫동안 예술원회장을 역임한 문단의 원로 월탄 박종화선생과는 일제시대부터 알고 지냈다. 그 양반과는 여러차례 술자리도 같이 했다. 월탄은 기분이 좋을 땐 말술(두주)을 삼가지 않는

    중앙일보

    1982.03.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