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통 건축 60년 외길' 전흥수 대목장 별세…대목장 1명만 남았다

    '전통 건축 60년 외길' 전흥수 대목장 별세…대목장 1명만 남았다

    지난 2002년 4월 전흥수 대목장이 사재로 지은 고건축박물관에서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다. 중앙포토   국가무형문화재 제74호 대목장 전흥수 보유자가 전날(22일) 85세의 나이

    중앙일보

    2023.10.23 13:21

  • 4대 대물림된 굴레의 사랑과 미감

    4대 대물림된 굴레의 사랑과 미감

    인간문화재라는 말을 짓고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도를 탄생시킨 이가 예용해(1929~95) 선생이다. 한국일보 논설위원을 지내며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현장을 누볐던 선생

    중앙선데이

    2017.01.01 00:26

  • 포석정 본뜬 연못, 해태석상 두개 한·미 장인 함께 지은 우호의 상징

    포석정 본뜬 연못, 해태석상 두개 한·미 장인 함께 지은 우호의 상징

    4 응접실 중앙 벽난로 위 굴뚝에 커다란 ‘평안할 영(寧)’자가 새겨져 있다. 박상문 기자 주한미국 대사관저 ‘하비브 하우스(Habib House)’는 덕수궁 돌담길에 자리잡은

    중앙선데이

    2016.05.08 00:32

  • 서울 근교 이색 게스트 하우스

    서울 근교 이색 게스트 하우스

    제주에서 집을 통째로 빌리는 렌털 하우스가 인기라면 서울 근교에서는 독특한 컨셉트를 지닌 게스트 하우스가 인기다. 복합문화 공간부터 전통 한옥까지 이색 게스트 하우스에서는 관광형

    중앙일보

    2014.06.10 03:37

  • 숭례문 부실공사 분야별 쟁점

    숭례문은 지난 5월 열린 준공식을 기점으로 다시 국민 곁에 돌아왔다. 하지만 5개월도 지나지 않아 ‘부실공사’ 논란에 휩싸였다. 목재에 곱게 칠해져 있어야 할 단청이 벗겨져 떨어지

    중앙일보

    2013.12.02 02:30

  • ‘5000년’만이군요 … 한·중·일 대목장이 만났다

    ‘5000년’만이군요 … 한·중·일 대목장이 만났다

    한·중·일 3국 대목장들이 경기도 수원화성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구인사(충북 단양)의 실물크기 공포(?包·지붕을 받치기 위해 기둥 머리에 짜 맞춘 나무) 앞에 모였다. 왼쪽부터 오가

    중앙일보

    2012.10.26 00:37

  • “12층 아파트 높이 백제 5층 목탑 … 못 하나 안 박고 목재만으로 얽어”

    “12층 아파트 높이 백제 5층 목탑 … 못 하나 안 박고 목재만으로 얽어”

    백제문화단지 총지휘 최기영 대목장백제문화단지 건립을 총 지휘한 최기영(65·사진) 대목장(大木匠). 최 대목장은 “어려운 일이었지만 역사를 쓴다는 생각에 주저 없이 일을 맡았다”고

    중앙일보

    2010.09.15 00:04

  • 삼성 한남동 승지원선 이건희-빌 게이츠 만남도

    삼성 한남동 승지원선 이건희-빌 게이츠 만남도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서울 삼청동 북악터널을 지나 꼬불꼬불 산길을 따라가다 보면 '한국의 베벌리힐스'라 불리는 성북동 부촌이 나타난다. 산수가 수려한 언덕길 양

    중앙선데이

    2010.04.05 13:43

  • 삼성 한남동 승지원선 이건희-빌 게이츠 만남도

    삼성 한남동 승지원선 이건희-빌 게이츠 만남도

    서울 삼청동 북악터널을 지나 꼬불꼬불 산길을 따라가다 보면 '한국의 베벌리힐스'라 불리는 성북동 부촌이 나타난다. 산수가 수려한 언덕길 양쪽엔 각국 대사관이 띄엄띄엄 터를 잡고

    중앙선데이

    2010.04.03 23:37

  • “광화문 북쪽은 중세, 남쪽은 현대 … 세계서 드문 대비”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광화문의 역사와 복원을 다루는 다큐멘터리가 영국 찰스 왕세자 자선재단의 지원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2007년 촬영을 시작한 이 다큐는 내년

    중앙선데이

    2009.12.14 14:59

  • “광화문 북쪽은 중세, 남쪽은 현대 … 세계서 드문 대비”

    “광화문 북쪽은 중세, 남쪽은 현대 … 세계서 드문 대비”

    광화문 복원은 현재 돌로 쌓은 육축 위에 나무로 만든 문루까지 진척돼있다. 아래 작은 사진은 2007년 복원에 쓰일 금강송을 베면서 치러진 행사, 지난달 27일 열린 상량식, 그

    중앙선데이

    2009.12.13 03:20

  • 서울대 캠퍼스에 아담한 한옥, 학생들이 지었다

    서울대 캠퍼스에 아담한 한옥, 학생들이 지었다

    “한옥 짓는 과정이 이렇게 섬세한 작업인 줄 몰랐죠. 이 수업을 들으며 사람의 삶과 집을 짓는 재료, 그리고 짓는 방식을 하나로 잇는 연결 고리를 한옥에서 찾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중앙일보

    2009.06.10 00:37

  • 작은 궁궐같은 … 완도에 한옥 산림박물관

    작은 궁궐같은 … 완도에 한옥 산림박물관

    전남 해남군 남창에서 달도를 지나 완도에 들어서자마자 우회전해 동부도로(국도 77호선)을 따라 4㎞ 남짓을 달리다 ‘완도수목원’ 표지판을 보고 좌회전했다. 산길을 약 4㎞ 지나 수

    중앙일보

    2009.03.30 02:52

  • 큰 목수의 큰마음

    언론계에 떠도는 말 중에 “기자가 기사만 안 쓰면 참 좋은 직업인데” 하는 농담이 있습니다. 서울역 앞 거지부터 청와대 안 대통령까지 기자가 만나지 못할 이가 없으니 얼마나 좋은

    중앙선데이

    2008.02.24 00:56

  • 조선 장인의 魂 으로 숭례문을 세워라

    조선 장인의 魂 으로 숭례문을 세워라

    목수(木壽) 신영훈(73) 한옥문화원장은 1961년 숭례문을 중수(重修)할 때 현장에서 뛴 대목장이다. 당시 각 분야에서 첫손 꼽히는 장인들의 작업을 지켜보며 각종 기록을 도맡았

    중앙선데이

    2008.02.24 00:53

  • [week&] 구중궁궐 그 깊은 속을 아시오?

    [week&] 구중궁궐 그 깊은 속을 아시오?

    고건축을 대표하는 양대 산맥이 있죠. 궁궐 건축과 사원 건축입니다. 두 분야에서 최고로 통하는 달인이 있습니다. 신응수(64) 대목장(大木匠, 궁궐사찰성곽 등을 건축하는 도

    중앙일보

    2006.12.14 15:52

  • 전통 기와·벽돌 맥 잇는 김영림·이상배씨

    전통 기와·벽돌 맥 잇는 김영림·이상배씨

    대를 이어 전통 벽돌과 기와를 굽고 있는 김영림씨(오른쪽)와 사위 이상배씨. 왼쪽 배경 사진은 이씨가 새로 개발한 패널 공법으로 시공한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뒤뜰의 장식이다. 경복궁

    중앙일보

    2006.02.10 05:53

  • [즐겨읽기] 도편수가 쓴 ‘근정전 복원’ 보고서

    [즐겨읽기] 도편수가 쓴 ‘근정전 복원’ 보고서

    "지금까지 역대 장인들은 건축 보고서를 전혀 남기지 않았던 것이 안타까워 1980년경 스승인 이광규 대목장에게 (보고서 펴내는 일을) 여러 번 제의를 드렸다.…15년 넘게 경복궁

    중앙일보

    2006.01.13 21:06

  • [취재일기] 초대받지 못한 설계자

    국립중앙박물관을 설계한 정림건축 박승홍 사장은 지난 10년을 박물관 건설에 매달려 지냈지만 정작 28일 개관 기념식에는 초대조차 받지 못했다. 엄격히 400명으로 제한된 주요 초

    중앙일보

    2005.10.28 21:08

  • [이 사람] 청도 한옥학교 변숙현 교장

    [이 사람] 청도 한옥학교 변숙현 교장

    경북 청도에 가면 한옥학교(www.hanokschool.net)가 있다. 한옥 건축을 실기 중심으로 가르치는 곳이다. 학교는 군청에서 낙대폭포로 올라가는 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중앙일보

    2005.04.10 20:38

  • "전통기술이 가족 인연 맺어줬죠"

    광주 시내에서 망월동 5·18묘지로 가는 길 오른쪽에 자리한 주룡마을.반듯한 양옥들이 많은 동네지만 이곳에는 도편수가 둘이나 산다.맨 윗쪽 대나무숲 아래 기와집에 사는 윤석운(尹錫

    중앙일보

    2003.01.26 19:27

  • [이헌익의 인물 오디세이] 경복궁 복원 도편수 신응수씨

    조선총독부 건물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한 건 지독한 아이러니였다. 일제하 36년뿐만 아니라 한국 역사 전체가 식민화된 것 같은 감정 때문이었다. 그러나 새 박물관도 없이 그 건물

    중앙일보

    2001.11.05 00:00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10. 숭례문

    주변을 휘감듯 지나가는 수많은 차량과 분주히 주변을 오고 가는 사람들, 도심의 고층빌딩에 둘러싸여진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崇禮門). 남대문으로 더 자주 불리는 숭례문, 그리고

    중앙일보

    2001.03.14 00:00

  • [내 마음속의 공간1번지] 10. 숭례문

    주변을 휘감듯이 지나가는 수많은 차량과 분주히 주변을 오고 가는 사람들,도심의 고층 빌딩에 둘러 쌓여진 대한민국 국보 1호 숭례문(崇禮門). 남대문으로 더 자주 불리는 숭례문,그리

    중앙일보

    2001.03.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