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 이슬람의 두 얼굴

    돼지고기를 금기(禁忌)시하는 이슬람교도들에게 또 하나의 금기가 있다.초승달 모양으로 생긴 크롸상이라는 빵이 그것이다. 크롸상은 흔히 프랑스 빵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빵이 처음 만들

    중앙일보

    1995.08.23 00:00

  • 창설 50周 유엔 사무총장 부투로스 갈리

    실제로 하는 일이나 이루는 업적보다 이름이 더 많이 알려진 유엔,상징성이 훨씬 높은 평화유지기구.그 유엔이 올해로 창설 50주년을 맞았다.세계 도처에서 기념행사도 많이 열린다.성과

    중앙일보

    1995.08.23 00:00

  • 7.인기잃은 케말리즘 터키

    터키의 이스탄불.메카와 맞먹는 술탄 아흐메트사원.알리 세빔은무섭지 않다고 했다.무슬림이라면 누구나 치러야할 순네트(할례)를 하루 앞두고 알라께 출정신고를 온 것이다.『애한테 새좀

    중앙일보

    1995.08.19 00:00

  • 4.70년만의 解禁되살아난 코란 열풍

    중앙아시아에 황새가 돌아왔다.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레닌광장 맞은편에 위치한 곡차회교사원에서 정오예배를 알리는 성직자의 목소리가 울려퍼진다.『알라흐 아크바르(알라는 위대하다)

    중앙일보

    1995.08.05 00:00

  • 2.빈곤속 풍요 리비아

    리비아로 가는 길은 멀고 험하다. 지난 88년 영국 스코틀랜드 로커비 상공에서 폭파된 팬암機 테러용의자로 지목된 리비아人 2명의 인도를 거부하는 바람에 리비아는 92년4월부터 유엔

    중앙일보

    1995.07.21 00:00

  • 프랑스 新철학 기수 베르나르-앙리 레비

    -귀하는 20여년전 발표된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에서 공산주의의 몰락을 일찍이 예견한 바 있습니다.공산체제의 몰락과 냉전 종식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승리라고 보십니까.또

    중앙일보

    1995.07.14 00:00

  • 2.코카서스의 中東 아제르바이잔

    공산주의의 서슬이 아직 시퍼렇던 91년8월.카프카스의 심장 아제르바이잔에서 반란이 일어났다.자원민족주의를 주창하고 나선 인구 3백40만명의 나라 아제르바이잔이 독립을 선포하고 나선

    중앙일보

    1995.07.11 00:00

  • 카오스 豫感되는 지방선거

    D-13 하루를 아침부터 저녁까지 나는 부천에서 보냈다.좋은살림꾼과 좋은 정치인을 구분할 수 있고 구분해야 한다는 논리에나는 찬성하지 않는다.정치란 살림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집안

    중앙일보

    1995.06.15 00:00

  • 왜 미래학자가 없나

    가끔 서점에 가보면 미래예측에 관한 신간(新刊)서적들이 많이눈에 띈다.『미래기업』『경제이동』『2020년』등 21세기사회를예측한 다양한 책들이 선보이고 있다.21세기를 눈 앞에 둔

    중앙일보

    1995.06.08 00:00

  • 코카콜라 북한상륙 파장-진출현황

    공산주의 국가나 사회주의 국가의 민주화 바람에는 어김없이 코카콜라가 등장했다.「자본주의의 우유」로 불리는 코카콜라가 출현했다는 자체가 공산주의의 붕괴를 알리는 신호로 통했다. 자본

    중앙일보

    1995.01.15 00:00

  • 그들의 노동에 함께 하였느니라,거인

    ◇그들의 노동에 함께 하였느니라(존 버거 지음)=농촌생활 묘사로부터 실향과정,그리고 거대한 도시로 변한 세계로의 귀향 과정을 소재로 한 장편소설.〈설순봉 옮김.민음사.전3권 각 3

    중앙일보

    1994.10.15 00:00

  • 新세기 新질서 창간기념 대담

    中央日報는 창간 29주년을 맞아 한국.일본 두나라의 대표적 지성(知性)이어령(李御寧)前문화부장관(60.문학)과 하가 도오루(芳賀徹)동경대 명예교수(63.비교문학)를 11일 서울 호

    중앙일보

    1994.09.22 00:00

  • 5.카시카르

    長安(西安)을 떠난 카라반이 실크로드를 따라 大秦(로마)으로가는 길에 中國땅에서 마지막으로 묵는 오아시스가 타클라마칸사막의 서쪽끝 카시카르(喀什喝爾)였다.長安에서 장장 3천7백㎞-

    중앙일보

    1994.08.31 00:00

  • 베들레헴 기독교 성지 명성 흔들

    모든 기독교인들의「마음의 고향」이라 할 수 있는 베들레헴이 커다란 회오리바람에 싸여있다.이유는 다름아닌 인구의 불균형.기독교인들이 안전한 곳을 찾아 외국으로 속속 빠져나가면서 이슬

    중앙일보

    1994.07.24 00:00

  • 러 방문 사흘째/푸슈킨시 낭송하자 뜨거운 박수

    ◎모스크바대서 명박…“청년이 양국 가교 돼달라”/옐친 “친구는 오래될수록 좋다” 우리 속담 인용 방러 3일째인 3일 김 대통령은 모스크바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고 모스크바 시장

    중앙일보

    1994.06.03 00:00

  • 88.인류문명의 고향 요르단

    찬송가「요단강 건너가 만나리」에 나오는 요단을 나라이름으로 쓰고 있는 요르단.「비옥한 초승달 지역」(인류 최초의 문명이라는 메소포타미아문명이 발생한 지역이 초승달 모양인데다 초승달

    중앙일보

    1994.05.29 00:00

  • 최악으로 치닫는 보스니아 사태

    ◎세르비아계,“공습” 위험 불구 공세강화 22개월째 내전이 계속되고 있는 보스니아 수도 사라예보의 한 노천시장에 5일 포탄이 떨어져 최소 68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2백여명이 부상

    중앙일보

    1994.02.07 00:00

  • 김대중씨 월간중앙 신년호 기고문 요지

    金大中 前民主黨대표가『月刊中央』94년 1월호에 기고한 논문을통해『21세기 초반의 유럽 공동체(EC).北美자유무역협정(NAFTA).아시아-태평양 지역의 3極구조를 거쳐 곧 亞太 단독

    중앙일보

    1993.12.19 00:00

  • 非러시아계 거주자 모스크바서 추방-각종 범죄 관련많아

    지난달 초 유혈사태 이래 모스크바에는 非러시아系 출신자들은 발붙일 곳이 없다.市청사와 방송국 무력점거에 가담한 反정부 보수.민족주의자들에 대한 일제 검거령과 함께 범죄소탕작전이 전

    중앙일보

    1993.11.02 00:00

  • 자본주의 경제의 바른길

    日本에서 만난 어느 아프가니스탄 경제인의 얘기다.후지사과가 하도 맛이 좋고 탐스러워 그 씨앗을 자기 나라에 가져가 심었더니 얼마후 콩알만한 것들이 열렸는데 하루는 저녁을 먹는데 부

    중앙일보

    1993.10.21 00:00

  • “따뜻한 손길에 모국애 움터”/안정 되찾는 타지크

    ◎한국말 모르지만 「설」만은 꼭 지켜/통금·검문 제외하면 내전느낌 가셔 【두샨베=김석환특파원 3신】 세계의 지붕이라는 파미르고원과 접해있는 두샨베는 거대한 분지에 형성된 도시다.

    중앙일보

    1993.01.29 00:00

  • 구소 5개국/「중앙아 인민연방」추진/CIS의 「약한 결속」비판

    ◎카자흐·우즈베크 등/안보·경제협력 강화 모색 【타슈켄트·모스크바 AFP·로이터=연합】 카자흐를 비롯한 구소련 소속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들은 4일 독립국가연합(CIS)에서 이탈해

    중앙일보

    1993.01.05 00:00

  • (54)콴탄지역 열대림·백사장이"손짓"|「관광입국」말레이시아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6개국 가운데 최근 들어 가장활기를 보이는 말레이시아는 관광자원으로도 가능성이 크게 엿보인다.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인도네시아·브루나이·필리핀 등 아세

    중앙일보

    1992.10.25 00:00

  • (53)인도네시아 발리

    「지구상의 마지막 낙원」「세계의 아침」등으로 불려온 발리는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휴양지임에도 태고의 자연미를 그대로 갖추고 있는 동양 최대의 관광 휴양지. 여행객들은 현대문명의 복

    중앙일보

    1992.10.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