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포럼>왜 미래학자가 없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가끔 서점에 가보면 미래예측에 관한 신간(新刊)서적들이 많이눈에 띈다.『미래기업』『경제이동』『2020년』등 21세기사회를예측한 다양한 책들이 선보이고 있다.21세기를 눈 앞에 둔 현시점에서 과연 다음 세기(世紀)의 세상은 어떻 게 변모할 것인지 우리 모두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예측書들이 국내 학자들이 쓴 것이 아니라 외국학자들이 쓴 책을 국내에서 번역.소개한 것이 대부분이다.
국내에서는 21세기위원회등이 국가발전전략과 관련,국내문제에 관한 미래예측을 내놓은 것이 고작이다.한마디로 국내에는 전세계적인 정치.경제.사회.문화등을 광범위하게 분석하고 예측할만한 미래학자가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미래예측서적 가운데 필자의 흥미를 끄는 것은 자본주의 종언(終焉)이후의 사회에 관한 것이다.그 대표적인 것으로 미국의 저명한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교수의『자본주의 이후의 사회』와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의 기 소르망교수의『자본주의 종말과 새 세기(世紀)』,그리고 인도태생의 미래학자 라비 바트라교수(美메소디스트大)의『세계 대공황(大恐慌)』을 들 수 있다.
이들 세 교수는 21세기에는 현재의 자본주의가 종말을 고하고새로운 시스템이 등장한다고 예측했다.이들은 저서를 통해 세계는자본주의의 모순을 적극적으로 극복.발전시켜 21세기에는 현재보다 월등히 나은 사회를 이룩할 것이라는데 공통 점을 갖고 있다.접근방법이 다를 뿐이다.
드러커교수는 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세상은「지식사회」혹은「脫자본주의사회」로 단정한다.그것은 선진국이 주도한다는 것이다.앞으로 지배적인 자원,그리고 절대적으로 결정적인「생산요소」는 더이상 자본도,토지도,노동도 아니고 그것은 바로「 지식」이라고 주장한다.따라서 脫자본주의사회의 경제적 도전은 지식작업과 지식근로자의 생산성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20여개국을 직접 여행하며 체험한 것을 바탕으로 21세기를 조망한 소르망교수는 인도.이슬람등 제3세계의 원리주의를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우리에게 정신적으로 더 큰 만족을 가져다줄 수 있는 다른 체제를 상상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런 예측을 한 것이다.
가장 현실감있고 흥미를 끄는 것은 바트라교수의 미래예측이다.
그는 명상(瞑想)과 그의 모든 예측을 일체화시킨 것이 특징이다. 그는 95년을 시작으로 세계경제는 대공황에 접어들게 되고,경우에 따라서는 특정지역에서 전쟁이 발발하는 가운데 자본주의는2010년 안에 붕괴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그러나 그 이후의 세계는 지금보다 월등한 사회시스템을 이룩하여「황금의 시대」를 맞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새 시스템을 프라우트(PROUT)라는 이름을 붙였다.지구상의 모든 자원을 진보의 힘에 의해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의미다. 바트라교수는 95년에 시작되는 대공황의 서막은 뉴욕주식시장의 폭락과 뒤따라 일어나는 도쿄(東京)주식시장의 붕괴라고 진단했다.그 시기는 짧으면 5년,길면 7년까지 계속된다는 것이다.뉴욕주식시장에 대한 예측은 다소 빗나갔지만 도쿄주식 시장의폭락은 제대로 맞힌 셈이다.
그는 전쟁발발이 자본주의 붕괴의 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했는데 그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한반도를 꼽았다.그러나 94년을 넘기면 전쟁가능성은 사라진다고 전망했다.핵문제를 둘러싼 北-美 협상과 관련,상당히 설득력있게 들린다.
그는 지난 78년에 이란-이라크전쟁의 발발,공산주의의 붕괴등을 예측,세계의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이 세 권의 책을 읽으면서 저자들의 풍부한 자료수집과 체험,날카로운 분석력과 식견을 접하게 된다.그러면서 국내에는 왜 이런 예측력을 갖춘 미래학자가 없나하고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구미(歐美)지역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수많은 학자들이 주요대학.연구소등에 포진해 있는데도 이런 값진 책을 내놓은 학자는없다. 주변의 몇몇 학자들에게 이런 의문을 제기하면 그들은 「할 말이 없다」면서 대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선 대학의 운영제도및분위기,그리고 출세지향의 사회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대학입시개선에 중점이 두어진 이번 교육개혁안에 이런 문제도 제기됐어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논설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