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빨간 인공색소는 해롭다-대한생화학회 이종진 박사 조사서

    식품에 사용되는 각종 인공색소의 유해성이 최근 외국에서 또다시 제기되고있어 식용인공색소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워싱턴 카이저 재단의 페인골드 박사의 실험에 따르면 사탕

    중앙일보

    1974.04.11 00:00

  • 과자·엿·청량음료·빙과·두부등 9개식품 제조업 신규허가금지

    보사부는 8일 개정식품위생법상의 「영업허가의 제한권」을 처음으로 발동, 시·도지사가 갖고있는 식품영업허가권을 일부제한, 과자류·엿류·청량음료·두부·빙과·면류·어육연제품·장류·첨가물

    중앙일보

    1974.04.08 00:00

  • 공업용 소다회 섞어 인공감미료를 밀조

    서울지검 보건부 박희태 검사는 27일 식품첨가물인 감미료를 무허가로 대량 제조 판매한 풍전식품공업사 대표 이창학씨(30)와 영진화학공업사 대표 차영문씨(38) 등 2명을 보건범죄

    중앙일보

    1974.03.27 00:00

  • 두부공장 조사

    보사부는 23일 서울시와 함께 서울시내 1백49개 두부공장에 대한 일제조사에 나섰다. 보사부는 이번 조사에서 시설미비·식품첨가물의 기구·용기·포장 등의 규격, 종업원의 건강진단여부

    중앙일보

    1974.02.25 00:00

  • (57)튼튼한 신장에 건강이 깃들인다

    일반적으로 위장을 비롯해서 심장, 허파(폐), 간 등에 대해서는 건강법이나 주의사항이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들 장기의 병적 상태가 어떻게 건강을 해치는지에 대해서도 비교적 널

    중앙일보

    1973.12.22 00:00

  • (54)암과 입

    『암의 발생은 육류의 소비와 비례한다. 자연발생 암이 육식으로 초래된다는 사실은 동물실험으로 확인된바 있다. 생활수준이 높아질수록 암 발생율이 치솟는다는 사실도 전혀 새롭지 않다.

    중앙일보

    1973.12.03 00:00

  • (53) 간은 고달프다

    『간이 좀 나쁘군요.』의사들이 전가의 실력처럼 휘두르는 말이다. 어느 환자이건 의사들의 이같은 선고를 미심쩍어 하거나 저항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비로소 명의를 만나게 되었

    중앙일보

    1973.11.24 00:00

  • 명지대 학술 강연회

    명지대는 16일 상오 10시 동교 강당에서 제3회 학술 강연회를 갖는다. 주제는 『물질 문명과 도덕』. 발표 내용 및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과학으로서의 도덕학에 관하여 (광지천

    중앙일보

    1973.10.04 00:00

  • SF 마크제도를 폐지

    보사부는 26일 포장을 뜯어 나누어 팔 경우 값싼 저질품이나 이물질을 섞을 우려가 있는 일부식품의 소분 판매를 금지하고 식품의 과대광고행위도 금하는 개정식품 법 시행규칙을 공포했다

    중앙일보

    1973.09.26 00:00

  • 로스구이 고기에 발색첨가물 사용-일부음식점서 신선하게 보이기 위해

    시중 일부「로스」구이 집에서 구이용으로 쓰는 생육을 신선하게 보이기 위해 사용이 허용돼 있지 않은 발색제 아질산염을 뿌리고 있음이 국립보건연구원 위생부 조사결과로 밝혀져 보사부에서

    중앙일보

    1973.09.19 00:00

  • (41)식품 첨가물의 독성|미량 먹어도 서서히 건강 좀먹고 만성병 유발

    『생명이 없는 식품은 생명의 양식이 되지 못한다.』아름답게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넣는 갖가지 색소, 식품을 오래도록 맛을 내려고 첨가하는 방부제, 억지로 맛을 내려고 집어넣는 인공

    중앙일보

    1973.09.01 00:00

  • (하)첨가의 실효성

    「햄」 「소시지」 「베이컨」 등 시판되고 있는 5∼6개 사의 제품이 거의 모두 방부제를 쓰고 있다. 법정방부제는 「소르빈」산·동「칼륨」 및 AF2 등 두 가지. 이 중 대 「메이

    중앙일보

    1973.08.29 00:00

  • 방부제

    여름철에 있기 쉬운 부패 현상과 세균의 번식을 막기 위하여 식품에 어느 정도 방부제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기는 하다. 그러나 그 방부제의 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면 이는

    중앙일보

    1973.08.27 00:00

  • (중)베일 속의 사용실태

    우리 나라의 식품별 방부제 사용실태는 거의 「베일」에 싸여있다. 연전 인공감미료 파동 때 첨가물식품 대한 소비자들의 경계가 뚜렷해지자 방부제를 사용하는 각 「메이커」들도 몸을 도

    중앙일보

    1973.08.25 00:00

  • (상)종류와 허용 한도

    각종 방부제가 식품의 불가결한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으나 효용 못지 않게 인체에의 유해여부로 문제가 되고 있다. 얼마 전엔「톱·메이커」의 식빵에 방부제를 허용량 이상 넣었다해서 수사

    중앙일보

    1973.08.24 00:00

  • (39)빈혈

    피(혈액)는 건강의 신호등이자 생명의 「심벌」이다. 피가 깨끗하지 않고서는 건강을 누릴 수 없다. 피는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해주는 생명의 보급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러 가지 원

    중앙일보

    1973.08.18 00:00

  • 식품첨가물 제조 업소 50%가 시설 미달

    전국의 식품첨가물 제조 업소 중 50.8%에 이르는 업소가 식품위생법 시행규칙에 정해진 시설 기준에 미달되고 있음이 보사부 조사 결과 나타났다. 보사부는 지난 6월28일부터 7월1

    중앙일보

    1973.08.10 00:00

  • 8개회사 빵수거…감정의뢰

    서울지검보건부 김재기검사는 3일 시중에서 팔리고 있는 대부분의 빵류에 방부제인 「프로피은산·칼슘」이 기준량을 초과해서 함유돼있거나 또한 표시를 하지 않고 방부제를 사용했다는 경고에

    중앙일보

    1973.08.03 00:00

  • 미, 식유·사료 등 41종 수출 금지|국내 농산품 수급 조정 위해

    【워싱턴 5일 AP급전합동】미국 정부는 지난 27일의 대두 및 면실 금수 조치에 이어 5일 농산물 금수를 식용유·동물성지방·단백질사료·사료곡물·땅콩 등 41개 품목으로 대폭 확대한

    중앙일보

    1973.07.06 00:00

  • 환경 암

    최근 「이탈리아」의 「볼로냐」시에서 열린 제2회 국제 암 검진과 예방 「심포지엄」에서는 환경과 암 발생의 상관관계에 관한 중점적인 논의가 전개되어 개발의 부산물인 오염된 환경이 무

    중앙일보

    1973.04.28 00:00

  • 35개 식품서 발암물질 검출|젓갈·「소사지」등서 아질산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먹는 각종 생선·젓갈·통조림·김치 등 식품 중에서 발암물질 「니트로자민」을 생성하는 아질산염과 제2급「아민」이 계속 검출되어, 특히 음식물의 조리과정이 시급히

    중앙일보

    1973.04.06 00:00

  • 라이프 사이언스 장수를 위한 건강법 자연식

    식품에 대한 가공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의 식탁은 분명히 아름답게 모양을 갖추게 되었고 맛이 한층 좋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맛·빛깔·간편이 잘 조화된 식탁이 건강을 증진시키기는 커녕

    중앙일보

    1973.03.23 00:00

  • 부정식품 근절 위한 감독권 강화|보사부장관에 영업허가제한 권·지도명령권 신설

    비상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식품위생법 중 개정법률은 부정·불량 식품을 줄여 나가기 위한 식품 영업의 규제강화를 의도한 것이다. 개정법률은 이 규제강화를 위해 보사부장관의 ①영업허가 제

    중앙일보

    1973.02.14 00:00

  • 2천여 식품업소 대상|식품수거, 검사|연말까지

    서울시는 12일 시내 2천여개의 식품업소를 대상으로 수거검에 나섰다. 서울시는 이 수거검사를 연말까지 계속하여 결과가 규격기준에 맞지않거나 인체에 해로운 것으로 밝혀지는 식품에 대

    중앙일보

    1973.02.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