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볼품있고 맛있게 설날 상차림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정월초하루는 연중 가장 큰 명절.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일 가족들을 위한 설음식 장만과 손님접대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할때다. 정초에 찾아오는 손님접대

    중앙일보

    1975.12.29 00:00

  • 「맛있는 김장 담그기」

    『맛있는 김장 담그기』 (사륙판 1백70「페이지」)를 소개한 「핸드·북」 (부록) 이 『여성중앙』 12월호에 끼어 발간되었다. 김장김치의 재료 구입에서부터 각 도별의 특색있는 맛김

    중앙일보

    1975.11.20 00:00

  • 인도김치|그 진미를 찾아서|황해도|섞박지 김치

    황해도 김장김치의 맛은 담박하고 시원하다. 젓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시원하고 심심한맛」이라는 점에서 북쪽지방의 김치와 비슷하나 생새우와 고수를 넉넉히 넣어 얕은맛이 더한 것이

    중앙일보

    1975.11.18 00:00

  • 인도김치 그 진미를 찾아서

    눈이 내리는 한겨울에도 밭에는 무 배추가 파랗게 자라고 있는 제주도는 김장김치의 양이 비교적 적다. 멸치젓을 쓰고 고춧가루·소금을 넉넉히 사용해 간이 세다는 점에서 다른 남도 김치

    중앙일보

    1975.11.17 00:00

  • 이상고온|포근한11월

    전국에 서리가 내리고 첫눈이 내릴 11월 중순의 기온이 예년보다 6∼7도나 높은 이상고온 현상을 보여 도시에서는 연탄소비량이 15%가량 줄어드는가 하면 농촌에서는 보리가 웃자라고

    중앙일보

    1975.11.14 00:00

  • 강원도|서거리 깍두기(시인 김혜숙씨의 솜씨)

    시인 김혜숙씨(40·고대 신동욱교수부인)의 고향은 강원도 강릉. 싱싱한 해산물이 흔한 바닷가라 김치에도 생선이 많이 쓰인다. 그 중에서도 생동태(냉동하지 않은것)는 시원한 맛을 특

    중앙일보

    1975.11.11 00:00

  • 평안도 동치미|박문희씨의 솜씨

    가슴을 찡하게 울리는 담박하고 시원한 동치미는 평안도가 제고장이다. 이를 맛보며 자란 사람들은 고향을 떠나 오랜 객지생활을 했어도 좀처럼 못 잊어하는 고향의 미각이다. 평양이 고향

    중앙일보

    1975.11.10 00:00

  • 인도김치 그 진미를 찾아서|경상도 고cnt잎 김치

    고춧가루·마·마늘·생선을 넉넉히 넣고 멸치젓국에 버무려 담는 경상도 김장은 볼품보다는 맛과 영양가를 위주로 한 실속있는 김치다. 기후에 맞춰 맵고 짠 자극적인 맛이 두드러지는 것이

    중앙일보

    1975.11.07 00:00

  • 팔도김치 그 진미를 찾아서(3) 서울『깍두기』 윤용려여사의 솜씨

    전통적인 서울지방의 김장은 다른 음식이 모두 그렇듯이 맛말고도 빛깔과 모양등 볼품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런 김치로 맑은 조기젓국을 사용한 담박한 맛의 배추김치를 비롯해 곤쟁이젓갈로

    중앙일보

    1975.11.05 00:00

  • 팔도김치 그 진미를 찾아서|우수자여사의 솜씨

    예부터 깔끔하고 맛갈스러운 음식의 고장으로 이름난 개성의 진미, 김치는 「쌈김치」. 요즈음에는 「보쌈김치」라 해서 상당히 일반화된 김치지만 역시 참맛은 제고장사람의 솜씨라야 한다.

    중앙일보

    1975.11.04 00:00

  • 팔도김치 그진미를 찾아서(1)|홍난희여사의 솜씨

    충청도 지방의 별미김치는 「새웅지」라 불리는 호박김치. 김장철 가을 설겆이로 거두어 들인 크고 단호박을 담수에서 잡힌 새우를 삭혀 만든 새우젓으로 양념해 담그는 것이다. 충청도태생

    중앙일보

    1975.11.03 00:00

  • 편리한 김장용구|값·종류를 알아본다

    김장철이 눈앞에 다가왔다. 올 김장은 작년에 비해 2배 이상의 비용이 들 것이라는 우울한 예보도 있다. 미리 준비해야할 김장용구들을 알아본다 (시세는 서울 기준). 김장의 일은 배

    중앙일보

    1975.10.28 00:00

  • (37)스웨덴의 전화기「디자이너」박근홍씨(1)

    결혼한 다음해인 1959년 봄 박근홍씨는 27세라는 나이를 잊고「스톡홀름」공업전문학교(4년제)에 입학했다. 이미 의사가 되겠다던 꿈을 바꾸었기 때문에 그는 하나의 전문직을 딸 결심

    중앙일보

    1975.02.15 00:00

  • 김치는 건강식품

    아무리 풍성한 식탁이라도 김치가 곁들여져 있지 않으면 무언가 부족한 느낌이 든다. 불고기를 배불리 먹고 나서 김치로 입을 씻지 않으면 도무지 답답하고 입안이 텁텁한 경험은 누구나

    중앙일보

    1974.11.26 00:00

  • 맛있게 익었을 때 영양최고

    우리나라는 온 가족이 한상에서 재미있게 담소하며 식사하는 것을 단란한 가족의 상징처럼 생각하고 있다. 한상에서 먹는 것은 좋은데 대개의 경우 반찬까지 한 그릇에 담아놓고 수저로 떠

    중앙일보

    1973.12.06 00:00

  • 배추 한접에 6천∼8천원

    입동이 지나 어느덧 겨울에 접어든다. 이제부터 김장과 월동준비로 주부들의 손이 바빠지게 됐다. 본격적인 김장은 25일께부터 시작되리라 보지만 주말을 맞아 시장에 들러 올해의 김장

    중앙일보

    1973.11.10 00:00

  • (2)-개성출신 김세암 여사의 자랑 경기·개성편

    추석을 전후한 초가을 개성에는 송이버섯과 과일이 집집마다 풍성하다. 송악산과 박연폭포 근방에서 나는 송이버섯은 그 향기와 맛이 뛰어난 개성특산품이다. 지금은 고향을 떠나와 살고있는

    중앙일보

    1973.09.19 00:00

  • (1)-황해도편

    입맛이 나는 계절 가을이 온다. 음식을 만들기에도 먹기에도 좋은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각 지방 각 가정의 고유한 음식 맛을 찾아 「팔도별미」를 엮어본다. 황해도 음식은 일반적으로

    중앙일보

    1973.09.17 00:00

  • 곳곳서 잇단 식중독

    30도 이상의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수박·「토마토」 등 상한 과일을 먹고 식중독을 일으킨데 이어 1일에는 기숙사에서 여공들이 집단식중독을 일으키는 등 여름철 식중독사고가 잇따르

    중앙일보

    1973.08.01 00:00

  • 천대와 고독의 나날|귀국 홍만길씨가 전하는-「사할린」동포 억류 30여년의 생활상

    「사할린」에 억류된 4만여 교포들의 생활장이 다시 생생히 알려지고 있다. 지난1일 31년만에 고국땅을 밟은 홍만길씨(46)는 30여년 동안 민족적 차별대우화 역경을 딛고 고국에 돌

    중앙일보

    1973.07.03 00:00

  • 밭에서 기른 싱싱한 채소 대량으로 나와 값도 떨어져 열무한단에 30원, 햇통배추는 백원, 상치 1관 4백원

    따뜻한 날씨가 계속되며 초하에 접어들자 온상에서 가꾸지않은 싱싱한 채소들이 쏟아져나와 값은 조금씩 떨어졌다. 뚝섬·시흥 등 서울 근교에서 재배된 열무김치는 실팍한 것으로 1단에 3

    중앙일보

    1973.05.18 00:00

  • 보사부서 권장한 새 식단 작성법|한식 반찬을 간소하게

    보사부는 9일 새로운 「한식 식단 작성법」을 마련, 전국의 관광「호텔」, 일반 숙박업소, 유흥음식점에 권장하기로 했다. 이 새 식단은 종래의 12첩 반상을 7첩 반상으로, 9첩 반

    중앙일보

    1972.12.11 00:00

  • 김장감 고르는 요령 요리연구가 마찬숙·한정혜 씨에 알아본다

    초겨울의 추위가 계속되는 요즈음 김장이 제철에 접어들었다. 맛있는 김장을 담그려면 무엇보다 배추와 무우를 용도에 따라 좋은 것으로 골라야 한다. 배추와 무우를 고르는 요령과 갑작스

    중앙일보

    1972.11.28 00:00

  • 별미김치

    (씀바귀의 일종) ▲재료=고들빼기 1관·마늘5통·생강2쪽·갈치속젓·꼴뚜기젓·멸치젓·북어3마리·밤5개·통깨·실고추·고춧가루 ▲담는법=씀바귀의 일종인 고들빼기는 적어도 1관 이상 준비

    중앙일보

    1972.1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