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성택 숙청' 말해서 체포…中서 '간첩 복역' 일본인 17명 사연
루쉰(魯迅)에 반해서 평생 일·중 교류에 몸 담았던 친(親)중파가 한순간에 간첩이 됐다. 베이징에서 귀국을 위해 공항으로 가다 납치당하다시피 잡혔다. 3년 전 한 식사 자리에서
-
[김정기의 소통카페] 길 없는 길
김정기 한양대 명예교수 커뮤니케이션학 철조망 건너편의 스님이 말했다. “길이 어디 따로 있겠습니까, 걸어가면 길이지요.” 20년도 더 된 일이다. 북한산 산행의 시작 무렵에 변경
-
중국 정부가 ‘청년들 농촌으로 가라’고 한 까닭은
아시아의 양대 아이러니가 있다고 한다. 한국이 자본주의 국가인 것과 중국이 사회주의를 채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만큼 중국인들이 이재(理財)에 밝다는 의미다. 중국에서 공산당
-
부인 펑리위안까지 활용한다, 시진핑의 지독한 현실주의 유료 전용
「 제1부: 시진핑의 머릿속에 무엇이 들었나 」 ━ 제5장: 시진핑 DNA 5, 신하에도 허리 굽히는 현실주의 “총명한 사람은 시대에 맞춰 변화하고(明者因時而變) 지혜
-
[신경진의 민감(敏感) 중국어] 공을기의 두루마기
민감중국어 ‘공을기(孔乙己)의 두루마기(長衫·장삼)’는 올해 중국을 달구는 유행어다. 중국의 문호 루쉰(魯迅) 선생이 1919년에 지은 2600여 자 짧은 소설의 주인공에 젊은
-
너도 나도 노동자란 中청년, 자조 섞인 '다궁런' 신드롬의 시작은?
중국 관변매체는 한때 「굿모닝, 다궁런!(早安,打工人!)」이란 글에서 고된 일을 하면서도 낙관적인 '다궁런'의 사례를 들며 자기계발 욕구와 노력으로 가득 찬 '괴물적 주체'를 내
-
[책꽂이]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外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 그들은 왜 최후의 승자가 되지 못했나(한순구 지음, 삼성글로벌리서치)=항우는 중국 통일 눈앞에서 유방에게 역전패한다. 그가 게임이론을 알았다
-
챗GPT에 물었다. “중국에서 살기 좋은 도시는?”
챗GPT가 각 분야에서 주목받으면서, 중국에서도 관련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중국의 살기 좋은 도시에 관한 챗GPT의 답변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매
-
“우리는 모두 쿵이지였다” 100년 전 루쉰 다시 읽는 中 청년들
루쉰 선생은 알았을까? 본인이 쓴 단편소설《쿵이지》가 100년 후 중국 청년들의 마음을 이렇게 울릴 줄을. ■ 📌루쉰(魯迅) 「 《광인일기》《아큐정전》 등을 쓴 중국의 문학
-
[비즈 칼럼] 디지털 치료기기 세계로 뻗게 ‘고속도로’ 정비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지난 1월 어느 주말,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에게 물었다. “대한민국 조선왕조에 대해 말해 줄래?” 채 1분도 되기 전에 답을 한다. 이번엔 그림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조선이 식민지가 된 책임은? 역사의 정치적 해석은 위험
━ 정치권에서 제기된 식민지 책임론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최근 정치권에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책임이 어디에 있는가를 둘러싼 논쟁이 제기되었다. 한국 역사학
-
중국 우주 굴기 이끈 동력은 'SF 소설'?
미래를 가장 많이 생각하는 사람이 바로 공상과학(SF) 소설 작가다. 미래를 알고 싶다면 SF 소설을 보면 된다. 올해 초, tvN에서 방영한 '알쓸인잡'에서 물리학자 김상
-
[중앙시평] 한·중 수교 30년: 대하소하, 사소사대
박명림 연세대 교수·정치학 한·중 수교 30주년이다. 수교 이후 두 나라 경제·무역·교육·교류 분야에서의 급속한 발전을 생각할 때 한·중 수교가 두 나라와 동아시아, 그리고 국제
-
[중국 이해 키워드 30] 중국에 한국의 문화정서를 전할 '한국통(韓國通)'을 기대한다
한중(韓中) 수교 30년을 회고하며 우리는 양국이 상호 이해와 인식 면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고 자평하고 있다. 정치경제 분야를 차치하고 민간교류만 놓고 보더라도 두 나라는 확실히
-
[중국 이해 키워드 30] 막힌 한중 관계, 루쉰에게 내일의 길 물어야
친한 벗과의 우정을 논한다면, 어쩔 수 없이 오늘 이 시점을 놓고 말하게 된다. 30년 지기 한중(韓中)의 우정도 오늘의 친연으로 과거의 행적을 재단하게 됨은 퍽 자연스런 일이다
-
[에디터 프리즘] 천 개의 바람이 되어
박신홍 정치에디터 요즘 페이스북은 온통 꽃잔치다. 예년보다 조금 늦은 대신 더 예쁘게 핀 벚꽃 사진이 SNS를 화려하게 수놓고 있다. “신이 가장 사랑하는 생명체는 꽃과 나무인
-
“수교 30년 한·중, 미래 30년 여는 새로운 눈 갖자” [한·중 언론인 대화 개막연설 전문]
한중 언론인과 싱크탱크 관계자, 그리고 학계 인사 등이 참여하는 ‘제2회 한중 고위급 언론인-싱크탱크 대화’가 16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한 한중 공공외교’를 주제로 서울
-
[중국읽기] 『추악한 중국인』 사라지나
중국과 대만의 양안(兩岸) 사이에 바람 잘 날이 없다. 대만해협 위로 중국과 대만의 전투기만이 쫓고 쫓기는 숨바꼭질을 하는 게 아니다. 문학 작품을 두고도 미묘한 신경전이 펼쳐진
-
[전문기자 프리즘] 다시 따져본 노벨문학상 공식
신준봉 전문기자/중앙컬처&라이프스타일랩 결과론적인 얘기지만, 2주 전(10월 7일)에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발표한 스웨덴 한림원은 올해도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아무도 수상자를
-
풍속·경제·추리소설·에세이…다시 읽는 이병주
이병주 문학선집 낙엽 등 12권 이병주 문학선집 낙엽 등 12권 이병주 지음 바이북스 1920년 무렵에 태어나 전문학교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4000여 명이
-
“루쉰을 알면 현대 중국 모든 문제가 훤히 보인다”
9권이 한꺼번에 출간된 『중국 루쉰 연구 명가정선집』과 번역을 주도한 박재우 교수. 신인섭 기자 중국 작가 루쉰(魯迅·1881~1936)은 우리에게 친숙하다. ‘아큐정전’이나 ‘
-
미 실용주의 철학자 존 듀이, 중 현대 사상·문화에 큰 영향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688〉 중국 체류 기간 옛 제자 후스(왼쪽 첫째)와 장멍린(오른쪽 첫째)의 안내로 이허위안(颐和园)을 유람 중인 듀이 부녀.
-
"윤봉길 이름 못넣는다" 30년간 퇴짜…양재시민의숲 무슨일
지난해 7월 8일 서울 서초구 양재시민의 숲에서 시민들이 우거진 나무 터널 아래 산책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서울시는 최근 서초구 양재동에 있는 시민의숲 명칭을 '매헌 시민의
-
시진핑 초대 '붉은 귀족'···마오쩌둥 손자 빼고 부른 그 사람
중국 독립기자 가오위가 4일 트위터에 올린 사진. 지난 1일 천안문 창당 100년 기념대회 관람을 마친 원로 후손들의 기념사진을 싣고 “귀빈루 홍색 혈통의 전가복(全家福, 가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