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한,장애자 7천명 강제이주 수용

    ◎시베리아 벌목 북 지도원 러시아서 폭로 북한의 인권문제가 국내외에서 초미의 관심대상이 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전국의 장애자와 기형자 7천여명을 두곳의 수용소에 집단수용,인권의

    중앙일보

    1993.03.06 00:00

  • “북,주민 20% 「못믿을 계층」분류”/유엔인권위 참석 러 대표

    ◎24시간 감시… 수용소로 끌려가기도 【브뤼셀=연합】 북한은 전인구의 20%를 「믿을 수 없는 계층」으로 분류,24시간 감시통제하고 있음이 4일 밝혀졌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중앙일보

    1993.03.05 00:00

  • 러TV,북한 강제노동수용소 방영

    【모스크바 AFP=연합】 러시아 TV는 27일 시베리아에 있는 북한의 강제노동수용소 장면을 방송했다. 러시아 TV는 이 노동수용소에서 일하다 지난해 8월 탈출,남한으로 망명한 강봉

    중앙일보

    1992.12.28 00:00

  • 시베리아 유형(분수대)

    「유형지 시베리아」하면 얼른 떠오르는 것이 톨스토이의 명작소설 『부활』이다. 살인혐의를 받은 카튜샤가 시베리아로 유배되고 그녀를 찾아 시베리아로 간 네흘류도프에 의해 시베리아의 유

    중앙일보

    1992.11.18 00:00

  • 국내 가족·친지들 옐친방한때 호소문 전달키로

    ◎45∼48년 시베리아유형 북인사/20만명 생사확인·상봉 등 요청 해방후 북한지역에서 반탁·반소·반공운동을 하다 구소련땅 시베리아로 유형된 인사들의 가족·친지모임인 시베리아유형애국

    중앙일보

    1992.11.17 00:00

  • “한건주의식 북방정책은 곤란”(국회본회의:지상중계)

    ◎대선전 시장·군수 수평이동 실시용의는/「전시외교」비판속에 대통령 방일 왜 하나 ◇이한동의원(민자)=대통령 직선제는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극한적 결과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중립

    중앙일보

    1992.10.26 00:00

  • 나토 유고군사개입 근거 마련/회원국별 파병규모 확인작업

    ◎안보리도 “모든 필요조치” 결의안 준비 【워싱턴·브뤼셀 로이터·AP=연합】 미·영·프랑스 등 유엔안보리의 서방측 상임이사국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에 인도적 구호물자가 공급될 수

    중앙일보

    1992.08.11 00:00

  • 강제수용소의 충격적인 참상 폭로『싸이베리아』

    시베리아 강제노동수용소의 충격적인 현장을 냉철하게 묘사한 영화『싸이베리아』(Lostin Siberia)가 국내 개봉된다. 감독 알렉산드르미타는 그 자신 10년간 수용소생활을 체험한

    중앙일보

    1992.04.09 00:00

  • 콜호스(분수대)

    콜호스­. 집단농장을 뜻하는 러시아어 콜렉티브노예 호자이스트보(Kollektivnoe Khoziaisto)의 준말이다. 소련에 집단농장이 처음 생겨난 것은 1929년초. 스탈린의

    중앙일보

    1992.01.08 00:00

  • 소 건국이후의 권력투쟁사

    ◎스탈린에 밀린 트로츠키 처참한 최후/흐루시초프도 여름휴가중 정변 실각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이 19일 흑해연안 크림반도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던중 보수파정변에 의해 실각한 것

    중앙일보

    1991.08.20 00:00

  • 모스크바 국립 청소년극장 극장장 샤츠여사

    공연예술을 통한 어린이 및 청소년교육에 평생을 바쳐온 소련 모스크바 국립청소년극장 예술감독 겸 극장장 나탈리아 샤츠여사(89)가 한국문화재단 초청으로 한국에 왔다. 80여명의 발레

    중앙일보

    1991.05.14 00:00

  • 혁명기 러시아미술 새롭게 각광

    1917년 혁명전후 러시아아방가르드 미술이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서구 세계에 알려지면서「현대미술의 숨겨진 보고라는 획기적 평가를 받고 있다. 러시아 아방가르드 미술은 프랑스 등 서

    중앙일보

    1991.03.14 00:00

  •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두번째 내한공연

    거장 로스트로포비치의 뒤를 잇는 소련출신의 이스라엘 첼리스트 미샤 마이스키(42)가 88년에 이어 또다시 한국에 온다. 중앙일보사 초청으로 5월7일 오후8시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에

    중앙일보

    1990.04.23 00:00

  • 세계 성체대회 특집방송

    양TV에서 4일 개막되는 제44차 세계성체대회와 관련, 특집방송을 마련했다. KBS-lTV와 MBC-TV는 오는 7일 오후1시 서울에 도착하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한 환영행

    중앙일보

    1989.10.04 00:00

  • 「녹음카셋」만들어 반체제 앞장

    80년대 후반의 소련을 상징하는 페레스트로이카(개혁) 뿌리의 한쪽엔「20차 당 대회 세대」로 불리는 지식인·예술인들이 있다. 젊은 시절「흐루시초프」에 의해 스탈린주의가 공식 비판받

    중앙일보

    1989.07.05 00:00

  • 솔제니친 복권 확실시

    【모스크바 UPI=연합】소련의 반체제 작가로 현재 미국에서 망명 생활 중인 「알렉산드르·솔제니친」(69)은 3일 소련 작가 동맹이 그의 시민권 회복 및 작가동맹 복귀, 주요 작품

    중앙일보

    1989.07.04 00:00

  • 완벽한 리듬과 독특한 서정성|노벨 문학상 브로드스키의 생애

    러시아인으로는 「이반·부닌」(1933) 「보리스·파스테르나크」(1958) 「미하일·솔로호프」(1965) 「알렉산드르·솔제니친」(1970)에 이어 5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된 「조제프

    중앙일보

    1987.10.23 00:00

  • 서구에 "소련 열풍"

    【파리=주원상 특파원】영화『람보』시리즈 등에 열광하는데서 보듯 미국 사회가 반소·반공 무드로 팽배해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사회의 각 분야에서는 최근 소련 열풍

    중앙일보

    1986.04.23 00:00

  • 프랑스

    『거대한변혁』이란 「기·베아르」의 「샹송」이 대유행이다. 이 노래속에는 지난 2세기동안 서구시민들이 기대했던 『장미빛 인생』에 대한 좌절감이 배어있다. 80년대의 문턱에서 서구인은

    중앙일보

    1979.09.03 00:00

  • 2차대전의 죄인은 독일만이 아니다.

    2차 대전에 관한 지금까지의 역사서적은 대개 이 전쟁이 인류에 가져다준 온갖 재앙의 원흉이 오직 「게르만」민족이었다는 대전제에서 쓰여져 왔었다. 그런데 최근 이와같은 일방적인 전승

    중앙일보

    1978.06.14 00:00

  • 아직도 실현 안 된 60년 전의 약속

    「러시아」공산 혁명은 60년이 지난 지금 아직도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고있다. 혁명초기의 지도자들은 자기나라에 진정한 공산주의 사회를 이룩하고 소련이 평화롭고 군비 없는 세계의 지도

    중앙일보

    1977.10.31 00:00

  • 불의 해묵은 빚 독촉에 곤욕 치르는「브레즈네프」

    【파리=주섭일 특파원】「브레즈네프」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전례 없는 후문을「파리」에 뿌리고 갔다. 그가 개선문의 무명용사 무덤에 화환을 증정하던 순간 일단의 우파「데모」대가 게양됐던

    중앙일보

    1977.06.29 00:00

  • 소, 반체제 시가 애송되고 있다

    개인의 자유가 극도로 제한된 「소비에트」체제에 반발, 옛 반체제시인들의 시가 소련전국에서 전에 없이 열렬히 애송되고있다. 무용가 「이저도라·덩컨」의 전 남편인 민족시인 「세르게러·

    중앙일보

    1975.10.27 00:00

  • 반소지식인은 이렇게 「스탈린」손에 넘어 갔다

    「루스벨트」 「처칠」, 그리고 「스탈린」의 3거두는 「유럽」의 분할과 한반도의 분단점령 등만 「얄타」회담에서 결정한 것이 아니었다. 2백여만명의 반소적 망명가·포로·피난민들을 「스

    중앙일보

    1975.0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