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어사전 외래어표기 통일하자

    외래어의 표기혼란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오래전부터 끌어오고 있는 난제로 비록 신문에서 뿐만이 아니고 언어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국어사전마저 낱말의 표기가 달라 어리둥절하게

    중앙일보

    1990.01.25 00:00

  • 「-읍니다」는 「-습니다」로|새 한글 맞춤법 오늘부터 시행

    문교부가 지난해 1월 개정, 고시한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이 1년여의 고시 기간을 거쳐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문교부는 새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을 고시하면서 국민학교

    중앙일보

    1989.03.01 00:00

  • 표준어 맞춤법 실생활에 맞게 개정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일부가 언어현실의 변화에 맞도록 바뀌어진다. 문교부는 14일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규정 개정안을 확정·고시하고 내년3월1일부터 개정된 맞춤법과 표준어를 적용한다고

    중앙일보

    1988.01.15 00:00

  • 표준어 맞춤법 실생활에 맞게 개정

    한글맞춤법과 표준어 일부가 언어현실의 변화에 맞도록 바뀌어진다. 문교부는 14일 한글맞춤법 및 표준어규정 개정안을 확정·고시하고 내년3월1일부터 개정된 맞춤법과 표준어를 적용한다고

    중앙일보

    1988.01.15 00:00

  • 외래어 장음표기 없앤다

    문교부는 28일 「외래어표기법」을 확정, 고시했다. 현행 외래어표기원칙인 「로마자의 한글표기법」 (58년제정) 을 27년만에 개정한 새표기법은 장모음을 없애고 받침은 ㄱ· ㄴ· ㄹ

    중앙일보

    1985.12.28 00:00

  • 현지음에 충실·간결한 표기채택

    개정 외래어표기법은 국제화시대에 맞춰 현지음에 충실했고 생활의 편의를 위해 표기방법을 간결화한 것이 특징이다. 「뉴우요오크」보다는「뉴욕」이 편리하고「타우어」보다「타워」가 간결하다.

    중앙일보

    1985.12.28 00:00

  • 남북한의 한글

    지난번 북한의 고향방문단이 남녘 땅을 밟자마자 그 쪽 대표 한사람이 대뜸 『나를 안내할 놈이 어디 있느냐?』고 물어 우리 쪽을 당혹케 한 일이 있다. 북에서 쓰는「놈」이란 말이 남

    중앙일보

    1985.10.09 00:00

  • 외래어 표기 개정안 마련

    문교부는 23일 외래어표기법개정안을 마련, 공청회를 거쳐 연내에 이를 확정하고 내년부터 시행키로 했다. 문교부가 학술원어문연구의원회 외래어표기법 소위원회(위원장 여석기) 시안을 국

    중앙일보

    1985.07.23 00:00

  • 기분좋은 말씨

    「말 한마디에 천냥빚을 갚는다」던가. 말에대한 속담이나 격언들을 보면 그모두가 고운말과 진실된말을 높이 사는것들이 많다. 『너거 엄마 집에 있나?저녁먹고 우리집에 좀 오라캐라!』

    중앙일보

    1983.12.08 00:00

  • 최초의 국어발음사전 편찬

    국어학계의 오랜 과제이던 국어발음사전의 편찬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학계에서 남광우(인하대)·남기심(연대)·남풍현(단국대)·배량서(한양대)·유창균(계명대)·유만근(성대)·이병

    중앙일보

    1982.04.09 00:00

  • "우리말을 아름답게 가꾸면 곱고 깨끗한 마음은 저절로"|533돌 「한글날」을 맞아-남 기 심

    곱게만 가꾸어 쓴다면 우리나라 말처럼 아름다운 말이 세상에 또 있으랴! 물론 제 나라말을 나쁘다고 할 사람은 세상에 없겠지마는 우리에게는 우리나라 말이 가장 아름답고 무엇보다도 소

    중앙일보

    1979.10.09 00:00

  • 교양인이 두루 쓰는 서울말

    문교부가 40여년만에 표준말·맞춤법등 일대 개정안을 마련한 것은 시대의 급변과 국어순화 운동의 절실함에 비추어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외래어및 국어의 「로마」 자표기법에 걸치는 이

    중앙일보

    1979.09.03 00:00

  • 「어문관계 시안」토론회

    국어국문학회(대표이사 김기동)는 제22회 전국국어국문학연구발표대회(16일·건국대)에서 맞춤 법·표준말등 문교부에서 마련한 어문관계시안에 대한 토론회를 갖고「재검토」할 것을 바라는

    중앙일보

    1979.06.19 00:00

  • 표준말 등의 언어 현실화

    문교부가 공개한 4가지 어문관계 개 정 시안은 시대 변화에 따라 달라진 우리 말과 글을 현실 언어 생활에 맞게 수정·보완하려는 것으로, 이를 데면 국어 영역에 있어서의 혁신적 현실

    중앙일보

    1978.12.18 00:00

  • 교양 있는 서울말

    앞으론 "교양 있는 서울 사람" 이 되려면 구슬 사탕을 눈깔사탕이라 해야 한다. 농담이 아니다. 으뜸가게 "교양 있는 서울 사람" 80여 분이 7년 전부터 3백80번이나 회의를 거

    중앙일보

    1978.12.18 00:00

  • 현실에 맞춘 표준어 정의 폭넓게 복수로 표현돼야

    우리가 지금 표준말로 규정하고 있는 말은 40년 전에 조선어학회 (한글학회) 에서 사정한 것인데 그 사이에 8·15와 6·25의 큰 역사적 변동기를 두 번이나 겪었기 때문에 우리

    중앙일보

    1978.12.18 00:00

  • 「현실화」되는 우리말과 글|4개 언문관계 표기법개정 시안 골자|교과서·사전도 대폭 개편

    문교부가 16일 발표한 4개 어문(어문)관계표기법 개정시안(시안)은 우리말과 글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로 평가되고 있다. 이 시안을 만들면서 그동안 한글학회·국어국문학회·국어학회·한

    중앙일보

    1978.12.16 00:00

  • 표준말 개정시안

    ◇받침 부엌(부엌) 동녘(동녘) 갓모(갈모) 강낭콩(강남콩) 옹콤 (옴큼) 옹큼 (움큼)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 꼽추 (곱추) 가을갈이 (가을카리) 거시기 (거시키) 채 (째

    중앙일보

    1978.12.16 00:00

  • (12)충분한가 도의교육 말씨

    『야 「말숙이」, 너 또 「쌩말고」「묵념」해.』 국민학교 6학년 어린이들이 주고받는 대학의 한 토막이다. 얼핏 정상 말인지 잘 알아들을 수가 없다. 어린이들 사이에 통하는 은어-.

    중앙일보

    1978.02.16 00:00

  • (10)학술

    논쟁과 표절, 내용 없는 「세미나」 등이 어느 해에 못지 않게 풍성했던 한해였다. 국학분야의 고전국역 및 사료정리를 비롯한 고고 학계의 신안 유물 연구 등은 금년 학계의 가장 두드

    중앙일보

    1977.12.28 00:00

  • 된소리 인정은 언어순화에 역행

    -김송자 30년대에 제정했던 표준말은 시대의 변천 등으로 많이 바뀌어져 새로운 표준말 제정은 불가피하다. 다만 새 표준말을 기준했다는 『두루 쓰이는 말』이 어느 것이냐 하는 것을

    중앙일보

    1977.07.26 00:00

  • 새 표준말

    머지않아 우리나라의 표준어가 바뀌어질 것이라 한다. 지난 70년부터 정부의 위촉을 받고 표준말 및 맞춤법 개정작업에 착수했던 국어조사연구위원회는 지난 21일 표준말개정안을 확정,

    중앙일보

    1977.07.26 00:00

  • "현실발음 좀더 과감히 인정했어야"-국어연구위의 표준말개정안을 말한다

    나는 국어조사연구위원회의 맞춤법·표준말개정 두 작업에 참여하고 나서 현행 맞춤법이나 표준말의 문제점이 얼마간 해결될 것으로 보아 다행하게 생각한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표준말

    중앙일보

    1977.07.26 00:00

  • (1572) 외국유학시절 정인섭(28)|이희승과 로마표기방법 연구|고심끝에 동경외대 음성학실험실 찾아|X선으로 음파찍기도

    나는 또 동경신전구 일교에 있던 대학음성학 실험실을 찾지않으면 안되게 됐다. 그이유는 외래어표기법 문제때문이었다. 「한글학회」서는 1933년「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 전국민이

    중앙일보

    1976.0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