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붓을 든 풍류객' 겸재·단원 … 쩌렁쩌렁한 화폭

    '붓을 든 풍류객' 겸재·단원 … 쩌렁쩌렁한 화폭

    ▶ 절벽을 타고 떨어지는 폭포의 장엄하고 씩씩한 기세를 실경보다 더 가슴에 와 닿게 그린겸재 정선의 ‘박연폭도’. 기와 세가 넘치는 조선 후기의 시대 움직임이 시원하게 담겼다. 내

    중앙일보

    2005.03.30 19:31

  • 간송미술관 '大겸재전'…100여 점 1, 2층 가득 채워

    간송미술관 '大겸재전'…100여 점 1, 2층 가득 채워

    ▶ 부드러운 선묘에 화사한 청록색으로 어루만진 산천과 솟구친 돌무더기의 대비가 아름다운 ‘독백탄’. 남북한강이 어우러지는 양수리 강촌의 풍광이다.▶ 겸재가 바깥 사랑채에서 글을 읽

    중앙일보

    2004.05.11 17:14

  • 2005년 10월 독일서 전시할 '한국의 책 100권'

    내년 10월 한국을 주빈국(主賓國)으로 열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한국을 알리는 책으로 특별전시될 책 100권이 지난 8일 선정됐다. 세계 최대 규모인 이 도서전에서는 해마

    중앙일보

    2004.03.12 16:05

  • '무진기행' 등 100권 한국 홍보책에 뽑혀

    내년 10월 한국을 주빈국(主賓國)으로 삼아 열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특별전시될 한국 책 100권이 뽑혔다. 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주빈국 조직위원회(위원장 이강숙)

    중앙일보

    2004.03.08 18:25

  • [문화] 표암 강세황展을 보고

    18세기의 영.정조대는 아름다운 시대였다. 진정으로 우리를 소중하게 여기는 자존의식이 강했고, 진정한 자존을 위해 자기와 남을 돌아보는 지혜가 있었다. 보수와 진보가 서로 엇갈려

    중앙일보

    2004.01.18 15:37

  • 학고재 재개관展 '유희삼매' 20일부터

    "흙벽에 종이창을 내고/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으며/시와 음악 속에 살아가리."조선시대 화원이었던 단원 김홍도가 '포의풍류도'(그림)에서 그린 선비의 모습이다. 조선시대 5백년이 낳은

    중앙일보

    2003.11.16 17:47

  • 雲甫 친동생 北화가 김기만씨 아직 생존

    "김기만씨는 몸 놀림이 불편하긴 해도 정정한 편이었다. 타계한 친형 운보 김기창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며 서울에서 전시회를 열고 싶다는 강한 뜻을 나타냈다." 9월 말 북한을 방문

    중앙일보

    2003.10.28 17:42

  • 雲甫 친동생 北화가 김기만씨 아직 생존

    "김기만씨는 몸 놀림이 불편하긴 해도 정정한 편이었다. 타계한 친형 운보 김기창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며 서울에서 전시회를 열고 싶다는 강한 뜻을 나타냈다." 9월 말 북한을 방문

    중앙일보

    2003.10.28 17:42

  • 雲甫 친동생 北화가 김기만씨 아직 생존

    雲甫 친동생 北화가 김기만씨 아직 생존

    "김기만씨는 몸 놀림이 불편하긴 해도 정정한 편이었다. 타계한 친형 운보 김기창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며 서울에서 전시회를 열고 싶다는 강한 뜻을 나타냈다." 9월 말 북한을 방문

    중앙일보

    2003.10.27 18:07

  • 간송미술관 '…산수인물 명품전' 정선·김홍도등 100選 걸작으로 본 조선회화

    강변의 모래톱과 버드나무, 관악산은 겸재 정선의 전통적인 진경산수화풍으로 묘사하고 중심의 절벽은 단원 김홍도의 산수화풍을 받아들여 가볍고 정취있게 묘사했다. 정자의 풍류객뿐 아니

    중앙일보

    2002.05.14 00:00

  • '자유인' 장승업 불꽃 예술혼 스크린에 활활

    임권택(66)감독은 인터뷰 내내 천재화가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1843~97)에 대해 '이 분''그 분'이란 표현을 썼다. '환쟁이'란 말도 서슴지 않았다. 1백여년을 앞서

    중앙일보

    2002.02.14 00:00

  • 조선시대 닭이 그림속에서 '꼬끼오'

    채마밭에서 홍당무를 갉아먹고 있는 들쥐와 깊은 산속의 준수한 사슴. 연꽃 위를 날고 있는 잠자리, 떼지어 춤추는 호랑나비와 솔가지에 붙은 매미. 활짝 핀 국화와 늙은 단풍나무, 패

    중앙일보

    2001.10.17 08:25

  • 간송미술관, 조선시대 화훼영모전 열어

    채마밭에서 홍당무를 갉아먹고 있는 들쥐와 깊은 산속의 준수한 사슴. 연꽃 위를 날고 있는 잠자리, 떼지어 춤추는 호랑나비와 솔가지에 붙은 매미. 활짝 핀 국화와 늙은 단풍나무, 패

    중앙일보

    2001.10.17 00:00

  • '조선시대 좋은 그림전' 열려

    서울 사간동 대림화랑(733-3738)은 오는 21~29일 '조선시대 좋은 그림전'을 연다. 탄은 이정·양포 최전·수은 유덕장·현제 심사정·표암 강세황·단원 김홍도·학산 윤제홍·소

    중앙일보

    2000.12.19 14:35

  • [미술계 쪽지] '조선시대 좋은 그림전' 열려 外

    *** '조선시대 좋은 그림전' 열려 서울 사간동 대림화랑(733-3738)은 오는 21~29일 '조선시대 좋은 그림전' 을 연다. 탄은 이정.양포 최전.수은 유덕장.현제 심사정.

    중앙일보

    2000.12.19 00:00

  • [길따라 바람따라] 동해안길

    단풍 걷힌 동해안은 다시 초록이 살아 온다. 길섶의 가을 새싹, 산죽(山竹), 해송의 완고한 푸르름이 바닷물빛과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갯바위에 부딪힌 파도의 포말처럼 아름다운 감동

    중앙일보

    2000.11.15 00:00

  • 조선 풍속화의 쌍벽 단원과 혜원이 만나면…

    조선조 풍속화의 쌍벽 단원 김홍도(1745~1806)와 혜원 신윤복(1758~1820?). 이들의 작품이 나란히 걸리는 보기드문 전시가 있다. 한국민족미술연구소(소장 전영우)가 서

    중앙일보

    2000.10.17 00:00

  • [200주기 맞아 '개혁군주' 재조명 활발]

    1800년 음력 6월 28일. 조선 제 22대 임금 정조(正祖)의 기일(忌日)이다. 올해 오늘은 꼭 2백번째 기일. 어린 시절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을 목도하는 비극을 겪고, 재위

    중앙일보

    2000.07.29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최완수 학교

    서울광화문에서 삼청터널을 지나 성북초등학교 쪽으로 내려가다보면 왼편으로 '간송미술관' 이라는 안내판을 볼 수 있다. 입구를 들어서면 잘 가꿔진 정원과 돌로 된 사자 한쌍이 손님을

    중앙일보

    1999.09.14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29. 간송과 간송미술관

    간송미술관 (관장 전영우) 은 일제 시대 사재를 털어 문화재의 해외반출을 막았던 선각자 간송 (澗松) 전형필 (全鎣弼.1906~62) 의 뜻을 기리는 곳이다. 38년 간송이 수집한

    중앙일보

    1999.09.14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 24.북한의 현대수예

    북한이 남한에 대고, 또는 세상에 내놓고 자랑할 수 있는 현대예술 장르를 나는 수예라고 생각한다. 묘향산 입구에는 국제친선전람관이라고 해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위원장이 외국 사절

    중앙일보

    1999.01.30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1.조선미술박물관의 겸재

    얼마 전에 열린 한 문화재 관계 세미나장에서 제자뻘 되는 후배가 정감의 표시로 가볍게 던진 인사말이 내게는 약간 당황스러웠다, "선생님은 역시 겸재 (謙齋) 를 별로 높이 보지 않

    중앙일보

    1999.01.09 00:00

  • [북한문화유산 답사기]20.조선미술박물관의 단원그림

    평양의 조선미술박물관 회화 수장품 중에는 예외적이라 할 정도로 이인상 (李麟祥).이인문 (李寅文).김홍도 (金弘道) 의 작품이 여러 점 있었다. 이인상은 '소나무 아래서' 라는 대

    중앙일보

    1998.12.26 00:00

  • [북한문화유산답사기]2부-1.금강예찬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본지에 '유홍준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 를 연재했던 유홍준 (兪弘濬) 교수가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제3차 방북조사단원으로 다시 북한을 다녀와 오늘부터 매주

    중앙일보

    1998.08.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