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소년중앙] 소중 책책책 - 서평 쓰고 책 선물 받자

    [소년중앙] 소중 책책책 - 서평 쓰고 책 선물 받자

    첫눈이 내린다는 절기 ‘소설(小雪)’이 지나고 겨울이 부쩍 다가와서인지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밖으로 나가기 싫은 계절, 따뜻한 집 안에서 마음을 따뜻하게 해줄 소설과

    중앙일보

    2021.11.29 09:00

  • 국민들 논리적 글쓰기 능력 향상시키고 싶어요

    국민들 논리적 글쓰기 능력 향상시키고 싶어요

     ━  2021 쉬우니까 한국어다 〈11〉 장소원 국립국어원장   “모든 국민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장소원 신임 국립국어원장. 정형모 기자 올해 30주년을

    중앙선데이

    2021.11.27 00:21

  • [우리말 바루기] 얼만큼(?) 올랐느냐고요?

    올해 수학능력시험은 자신의 계열을 떠나 선택과목을 고를 수 있는 첫 통합형 수능으로 주목을 받았다. 대체로 지난해보다 어려웠다는 평가며, 평소보다 점수가 나오지 않았다며 울상 짓

    중앙일보

    2021.11.25 00:03

  • [우리말 바루기] 한국어가 된 ‘파이팅’

    과거 우리말 바루기에서 ‘파이팅’에 대해 다룬 적이 있다. ‘파이팅’은 대표적인 콩글리시라는 것이다. 격려할 때, 회식할 때 등 여기저기서 “파이팅”을 외치다 보니 혹 외국인에게

    중앙일보

    2021.11.01 00:03

  • 이성경 "그런 말 안써요"···"머리 올린다" 했다 면박당한 김종국

    이성경 "그런 말 안써요"···"머리 올린다" 했다 면박당한 김종국

    사진 JTBC '세리머니 클럽' 최근 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처음 골프장에 나갈 때 쓰는 '머리 올린다'는 표현히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5

    중앙일보

    2021.09.19 13:05

  • [분수대] “두고 보자”

    [분수대] “두고 보자”

    김현예 P팀장 ①앞으로 결과가 좋지 아니할 것이라고 벼르거나 앙갚음을 하겠다고 할 때 이르는 말. ②어떤 결과가 될지를 일정 기간 살펴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풀이된 ‘두고 보

    중앙일보

    2021.09.17 00:20

  • [에디터 프리즘] 정치인의 선택, 유권자의 선택

    [에디터 프리즘] 정치인의 선택, 유권자의 선택

    박신홍 정치에디터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다. 이 세상에 태어난 것도, 지금의 부모를 만난 것도 나의 선택은 아니었지만 성인이 되면서 자기 결정권을 갖게 된 뒤로는 직장·결혼에 내

    중앙선데이

    2021.09.11 00:26

  • [한 週 漢字] 像(상)-이미지의 범람 속에서 허우적대는 꼴

    [한 週 漢字] 像(상)-이미지의 범람 속에서 허우적대는 꼴

    한자 8/28 『한자어원사전』에 따르면 “像(형상 상)… 형성. 人(사람 인)이 의미부고 象(코끼리 상)이 소리부로, 사람(人)들이 상상하는 코끼리(象)의 ‘모습’을 말하며, 이

    중앙선데이

    2021.08.28 00:24

  • [분수대] 돌려막기

    [분수대] 돌려막기

    강기헌 산업1팀 기자 “한국의 신용위기가 플라스틱 버블로 재현될 조짐을 보인다.”   2002년 4월,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신용카드 대란을 이렇게 압축했다. 199

    중앙일보

    2021.08.16 00:22

  • 미용실, 주로 여자들이?…사전 뜻풀이서 '여성' 빠진 단어들

    미용실, 주로 여자들이?…사전 뜻풀이서 '여성' 빠진 단어들

    연합뉴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미용실', '기름종이', '스카프' 등 일부 단어의 뜻풀이가 바뀌었다. '주로 여자들이' 등 여성 관련 부분이 삭제됐다.   3일 국립국어원의 표준국

    중앙일보

    2021.08.03 14:49

  • [우리말 바루기] ‘탕비실’이 뭔가요

    ‘탕비실’이 무슨 뜻일까? 한의원에서 한약을 달이는 방일까? 아니면 경비실의 다른 이름인가? 아마도 이 단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감이 잘 오지 않을 것이다.   ‘탕비실’은 회

    중앙일보

    2021.07.05 00:03

  • SNS 난리난 경주 한우물회, 사장이 일러준 맛있게 먹는 순서

    SNS 난리난 경주 한우물회, 사장이 일러준 맛있게 먹는 순서

    일반적인 물회 같아 보이지만 횟감이 다르다. 고춧가루 양념 육수 위에 해산물 대신 한우를 올리는 것이 경주식 한우물회다. 주로 한우는 기름기가 적은 꾸리살이나 우둔살, 홍두깨살을

    중앙일보

    2021.06.28 05:00

  • [더오래]아동과 어린이, 뭐가 다르지?…법마다 연령기준 뒤죽박죽

    [더오래]아동과 어린이, 뭐가 다르지?…법마다 연령기준 뒤죽박죽

     ━  [더,오래] 조희경의 아동이 행복한 세상(1)   모든 아동은 행복해야 한다는 미션으로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자 원고를 시작한다. 저개발 국가의 취약아동을 돕는

    중앙일보

    2021.06.07 15:00

  • "이런 거 맞혀야 공무원되나"···이의 속출한 9급 국어 문항

    "이런 거 맞혀야 공무원되나"···이의 속출한 9급 국어 문항

    [사진 사이버국가고시센터] 지난 5일 치러진 2021년도 지방직 공무원 신규임용 필기시험에서 '반나절'의 뜻을 묻는 국어 영역 3번 문항에 대한 이의 신청이 잇따르고 있다.  

    중앙일보

    2021.06.07 14:25

  • [분수대] 당신

    [분수대] 당신

    박해리 정치국제기획팀 기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정의하는 ‘당신’의 뜻은 다섯 가지다. ①듣는 이를 가리키는 말 ②부부 사이 상대편을 높이는 말 ③문어체에서 상대를 높이는 말 ④맞서

    중앙일보

    2021.05.18 00:28

  • [소년중앙] 생활필수품이자 첨단 기술의 집약체 자동차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소년중앙] 생활필수품이자 첨단 기술의 집약체 자동차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최첨단 기술 동원해 자동차 1대 만드는 21시간 압축해서 살펴봤죠 왼쪽부터 안건(경기도 관문초 4) 학생모델, 강라임(경기도 매송초 4) 학생기자, 김휘윤(서울 신도초 4)

    중앙일보

    2021.05.17 09:00

  • [소년중앙] 녹음이 짙어지는 5월, 흰색 꽃이 많이 피는 까닭은

    [소년중앙] 녹음이 짙어지는 5월, 흰색 꽃이 많이 피는 까닭은

    저마다 좋아하는 계절을 물으면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 봄이나 가을이란 대답이 나옵니다. 특히, 온 세상이 푸르러지고 온갖 꽃들이 피는 5월을 좋아하는 이들이 참 많아요. 어린이날·

    중앙일보

    2021.05.17 09:00

  • [우리말 바루기] ‘배 속’과 ‘뱃속’의 차이

    가장 인기 있는 태명은 무엇일까? 4년째 ‘튼튼이’가 첫손가락에 꼽혔다. 코로나 등 환경적 요인으로 아이의 건강을 기원하는 이름 짓기가 유행이다.   태명과 관련해 반드시 띄어야

    중앙일보

    2021.05.06 00:03

  • [시선2035] ‘○린이’와 어린이날

    [시선2035] ‘○린이’와 어린이날

    채혜선 사회2팀 기자 민망한 언어의 역사를 고백한다. 요리에 서툰 나는 주부인 친구들에게 “요린이(요리+어린이)”라며 레시피(조리법)를 물어보고는 했다. 주식에 첫발을 떼고 선

    중앙일보

    2021.05.03 00:20

  • 한우 암소 양지·유통에 산적 꾸미 ‘개성탕반’ 되살려

    한우 암소 양지·유통에 산적 꾸미 ‘개성탕반’ 되살려

     ━  [이택희의 맛따라기]   방배동 골목길에 위치한 ‘개성찬방’ 앞에 선 엄지아 대표. 박종근 기자 개성탕반을 복원했다는 연락을 받았다. 시식 행사를 여러 날 한다고 한다.

    중앙선데이

    2021.05.01 00:21

  • [소년중앙] 맨날 지적받는 내 단점, 콤플렉스로 만들지 않으려면

    [소년중앙] 맨날 지적받는 내 단점, 콤플렉스로 만들지 않으려면

    우리는 모두 다양한 분야에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생활하다 보면 너무나도 당연한 듯 단점에 대해 평가받고, 스스로도 그 평가를 인정하며 받아들이죠. 소년중앙 독자

    중앙일보

    2021.03.22 09:00

  • [우리말 바루기] 보조사 ‘이요’ 추가요!

    “짜장면과 짬뽕 중 뭘 먹을래요?” 늘 고민에 빠지게 하는 질문이다. 짜장면을 더 좋아한다는 설문 결과도 있지만 성별·연령에 따라 뒤바뀌기도 한다.   “오늘은 짜장면요!” “얼

    중앙일보

    2021.03.22 00:04

  • [우리말 바루기] ‘꾀다’와 ‘꼬시다’

    “대출 필요하시죠?” 지난 3년간 보이스피싱 피해자 4명 중 3명이 깜빡 속은 말이다. 금융사를 사칭해 돈을 빌려주겠다며 꾀어 가로채는 수법이다.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

    중앙일보

    2021.02.18 00:03

  • [우리말 바루기] 3인방에 대한 고찰

    기부천사들의 조용한 선행은 큰 울림을 준다. 나눔을 실천하는 이들을 두고 “소외된 아이들에게 따뜻한 겨울을 선사한 3인방”과 같이 표현해도 될까?   3인방에 쓰인 ‘방’이 어디

    중앙일보

    2021.01.28 00:03